신에게 솔직히

Sunday, November 18th, 2018

Honest-to-God-John-A-T-Robinson.jpg

신에게 솔직히1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성공회신학)

사람에게는 저마다 인생의 책이 있습니다. 자못 진지하게 삶을 생각하기 시작하는 사춘기 무렵의 책들이 그런 자리를 차지하고는 합니다. 국어 선생님이 되고 싶다는 오랜 생각을 접고, 우선 종교와 신학을 공부해보겠다고 다짐한 때가 고등학교 2학년 말이었습니다. 하라는 입시 공부는 안 하고 교과서 뒤에 몰래 펼쳐서 여러 신학책을 읽고는 했습니다. 아직 철모르던 때에 어느 분이 소개해 주신 책 하나가 제 마음을 크게 흔들어 놓았습니다.

<신에게 솔직히> Honest to God (1963년). 그 제목이 마음에 깊이 걸렸습니다. 현실의 교회가 하느님께 솔직하지 않다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렸지만, 저 자신도 물었습니다. ‘나는 하느님 앞에서 정직한가?’ 책의 저자 존 로빈슨(1919-1983년)은 자신이 겪는 신앙의 의문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흔들리는 신앙의 터전을 어떻게 하면 쇄신할까 고민했습니다. 그가 저명한 성서학자이고 성공회 주교님이라는 사실에 더욱 놀랐습니다. ‘신학자와 주교가 이렇게 터놓고 고민해도 되나?’

로빈슨 주교님은 자신과 비슷한 고민을 안고 씨름한 신학자들을 초대하여 대화합니다. 이 시대에도 하느님을 ‘저 하늘 위나, 이 세상 밖에서’ 찾을 수 있을지 질문합니다. ‘노인의 얼굴을 한 채 심판관을 자처하는’ 신을 상상하는 관습이 옳은 일인지 묻습니다. 그는 성서학자인 불트만을 따라 성서를 새로 읽고 해석하는 방법을 나눕니다. 조직신학자인 틸리히를 읽으며 하느님을 인간 존재의 힘이라고 새롭게 이해합니다. 히틀러에 저항하다 순교했던 본회퍼를 되새기며 세속사회 안에서 ‘하느님 앞에서, 하느님 없이, 하느님과 함께’ 걷는 신앙이 가능한지 성찰합니다.

주교님은 변화한 세상에서 신앙의 의미를 정직하게 나누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 솔직함때문에 교회에서 큰 비난을 받았습니다. ‘어찌 주교가 이런 망발을 하느냐?’는 험한 말도 나왔습니다. 친구들도 너무 나갔다고 핀잔했습니다. 신자들은 의심 없이 물려받은 신앙을 흔드는 이야기가 불편했습니다. 여러 공격을 받아 외로울 지경이었습니다. 그러나 교회를 떠나려 했던 이들과 교회 밖에 있던 이들은 이 책이 던진 질문으로 하느님과 신앙, 그리고 시대에 관하여 더 깊은 생각을 이어갔습니다.

30여 년 전 그 책을 제게 쥐여 주었던 분이 참으로 고맙습니다. 신앙의 고정관념을 벗어나자 잠시 혼란스러웠지만, 나중에는 솔직하고 깊은 신앙 안에서 자유와 기쁨의 은총을 체험했습니다. 가을 낙엽처럼 헤매는 이들과 동행하시는 하느님을 발견했습니다. 그 책은 다시 누군가에게 줘서 이제는 제 손에 없습니다. 그도 저와 같은 축복을 누렸으리라 믿습니다.

신에게 솔직히. 그 제목만으로도 여전히 마음이 뜨겁고 떨립니다. 신앙을 버릴까 하던 방황을 거쳐, 로빈슨 주교님과 함께 성공회 전통 안에서 정직한 신앙의 길을 걷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솔직한 고민과 정직한 배움 안에서 쉬지 않고 흔들리는 신앙이 참 아름답습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8년 11월 18일 치 []

[전례력 연재]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

Sunday, November 11th, 2018

N_Ferrar.png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기도서 2004>의 교회력은 새로운 기념일 제정에 사려 깊었지만, 성공회 전통을 우뚝 세운 성인들이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성공회 신학의 기틀을 세운 리차드 후커(11월 3일)나 성공회의 문학적 신앙 방법을 아름답게 드러낸 조오지 허버트(2월 27일)의 이름을 찾을 수 없다. 또 한 명의 이름이 잊혔으니, 니콜라스 페라(Nicholas Ferrar, 1592-1637, 12월 4일)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17세기 잉글랜드에 수도원 운동을 재건한 인물이다. 16세기 중반 헨리 8세는 잉글랜드에 있는 모든 수도원을 철폐했다. 수도원이 엄청난 재산을 가진 데다, 이를 로마 교회에 헌납하는 통로였기 때문이다. 부유함은 수도원의 이상과 맞지 않았고, 부패의 싹이 되었다. 그러나 수도원 자체의 철폐는 공동체로 기도하는 오랜 신앙 전통을 상실하는 표시이기도 했다. 페라는 폐허 위에 수도원 운동의 씨를 뿌렸다.

페라는 재산과 권력을 경계했다. 그는 중세 교회의 재산이 찬란했던 수도회를 세우려 하지 않았다. 그는 부제 성직을 받았지만, 결코 사제가 되려 하지 않았다.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시골로 내려간 그는 친척과 친구들을 모아 수도회 전통의 회칙에 따른 삶을 시작했다. 버려진 교회를 고쳐서 수도원으로 사용하는 한편, 지역에 있는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가난한 이웃의 건강과 복지를 살피는 사목을 펼쳤다. 그들은 금식과 기도 생활에 충실했다. 글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서 성서 이야기와 삶의 교훈을 담은 그림책을 편찬하기도 했다.

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수도회에 대한 호감은 거의 사라졌다. 경제적 형편이 나아지면서 금식과 절제 생활도 꺼리는 현상이 많았다. 그 탓인지 페라가 세상을 떠나고 얼마 되지 않아, 그의 수도원은 곧 사라졌다. 그러나 그가 보여준 이 수도원 생활은 초대 교회의 수도원을 되살리는 사례가 되었다. 그 씨앗은 2백 년 후인 19세기에 이르러 잉글랜드와 세계 성공회 전역에서 다시 수도회가 부흥하는 영적인 자산이 되었다.

현대 영미 문학계 최고 시인으로 손꼽히는 성공회 신자 T.S.엘리엇은 “리틀 기딩”(Little Gidding)이라는 긴 시를 남겼다. 그의 유명한 <사중주>로 편찬된 시집의 마지막 네 번째 장이다. 이 “리틀 기딩”은 니콜라스 페라가 내려가 수도원을 세웠던 마을이자, 그 수도원 교회의 이름이었다. 시인 엘리엇은 리틀 기딩을 방문하고 이렇게 노래했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교회력은 세상의 달력인 11월로 마감하며 12월로 다시 시작한다. 12월은 교회 시간(교회력)의 시작 달이지만, 세상 시간(세속력)의 마지막 달이기도 하다. 한 해를 끝내는 시간에 겹쳐 우리는 새로운 일을 다시 시작한다. 신앙인은 자신의 세상 삶을 마감하고 새로운 삶을 따르라고 부름받은 사람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세상의 권력과 부를 끝내고 작은 시골의 삶 속에서 새로운 수도원과 영성 생활을 시작하며 사람들을 보살폈다. 시간이 교차하는 11월과 12월, 낡은 삶이 끝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여, 이웃을 발견하고 보살피는 시간이 펼쳐진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1.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27일 치 []

[전례력 연재]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Saturday, September 8th, 2018

St_Chrysostom.png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축일 – 9월 13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4세기에 이르러 그리스도교는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 박해 중에도 교세가 늘긴 했지만 순교를 각오하던 처지에서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는 종교로 변한 것이다. 그 파장은 컸다. 지루했던 신학 논쟁을 정치 권력이 나서서 정리했다. 필요했던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회는 점차 세속 정치를 닮아갔다. 로마 정치의 위계질서와 권력 문화가 교회에도 들어왔다. 주교는 신앙의 교사, 사목자, 순교자라는 소명을 벗고, 점차 사회와 종교를 지배하는 권력자가 되었다.

요한 크리소스톰은 피의 순교 시대가 끝난 349년에 태어났다. 홀로 된 어머니의 깊은 신앙 아래서 자란 그는 지식과 교양의 중심지 안티오키아의 교육을 받았다. 당시 지식인의 유행은 수도원에 한동안 들어가 호젓한 생활을 즐기며 겸양과 교양을 젠체하는 것이었다. 요한도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다른 이들과는 달리 엄격한 규칙 생활과 공부를 자처하여 건강이 극도로 나빠졌고 오히려 수도원에서 쫓겨났다.

요한은 성 바실(330-373년)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이 사제 서품받기를 주저하는 이유를 나누었다. 사제직에 관한 그의 고민과 경고는 지금도 유효하다. “칭찬을 즐기지 않으며 자신의 성취[사제직]를 바라는 사람을 나는 알지 못한다. 칭찬을 즐긴다면 그는 받기 원할 것이고, 그가 받기 원한다면, 나중에는 그것을 잃을까 봐 전전긍긍하며 고통 속에 살아갈 것이다.”

요한은 이런 고민을 안고서 뒤늦게 사제가 됐다. 이후 그는 뛰어난 설교자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은 그를 ‘황금의 입’(크리소스토모스)이라고 불렀다. 그의 설교는 지적이고 도전적이었다. 당시에는 우화적 해석(알레고리)이 유행하여 성서의 가르침을 자기 멋대로 내면화하고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한은 성서와 복음이 던지는 도전을 생활의 근거와 명석한 논리, 그리고 뛰어난 연설 기법에 담아냈다. 그의 설교에는 가난한 여성과 어린이를 지켜내야 할 신앙인의 책임이 반복됐다. 마르고 작은 키, 큰 머리에 움푹 패인 눈을 한 그가 외칠 때 사람들은 예언자를 떠올렸다.

예언자 같은 주교가 쉽지 않지만, 그는 주교가 됐다. 398년, 군인들이 그를 납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데려가 주교로 성품한 것이다. 정치 관료들이 꾸민 이 일을 그는 하느님의 섭리로 받아들였다. 그는 주교로서 전례 개혁에 공을 들였다. 그의 성찬기도를 근거로 한 ‘요한 크리스소톰의 전례’는 지금도 동방 전례의 표준으로 쓰인다.

그는 당시 주교들과는 달리 호화로운 생활을 멀리하고 정치인들과 벌이는 사교 모임에도 발길을 들이지 않았다. 처세술이 부족하다고 동료들에게서 비난을 받았고 그의 솔직한 설교와 의견으로 적도 많이 생겼다. 이미 만연한 성직매매, 신자와 성직자 모두 연루된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 “이 수많은 신자, 성직자 가운데 구원받을 이가 얼마나 될까요? 수천 명 가운데 백 명도 안 될 겁니다.” 그는 황실의 향락을 비판하다가 유배를 떠나 407년 9월 14일 흑해의 동부 해안 코마나에서 이생의 죽음을 맞았다.

438년 1월 28일,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왔다. 서방교회는 그가 세상을 떠난 9월 14일에 축일을 지키다가, 7세기에 십자가 축일이 지정되자 13일로 옮겨 지킨다. 동방교회는 그의 유해가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온 날을 축일로 지킨다. 그는 이 생의 유배를 신앙의 순례로 삼아, 죽은 후에도 여러 곳을 옮기며 교회 신앙의 가르침과 본을 보여 주었다. 성인을 ‘교부’라 칭하는 이유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9월 8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