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Sunday, August 13th, 2017

Henry_Ossawa_Tanner_The_Disciples_See_Christ_Walking_on_the_Water.jpg

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마태 14:22-33)

희망은 고난으로 단단해집니다. 신앙은 풍파로 흔들리는 삶의 진실 안에서 자라납니다. 믿음은 여리고 아픈 자신의 한계를 인정할 때 성큼 다가옵니다. 삶의 상처는 쓰라려서 우리를 주저하게 하지만, 잠시 멈추어 세상의 아픔까지 헤아리게 합니다. 새로운 용기와 신앙의 은총은 여린 상처 안에서 조용히 솟아오르려 꿈틀거립니다. 풍랑을 잔잔하게 하시고 물 위를 걸으셨다는 오늘 복음 이야기가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오천 명을 먹이신 사건에 이어 나오는 이유입니다.

예수님도 마음을 흔드는 상처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참담한 죽음 탓입니다. 그는 예수님을 뱃속부터 서로 알아보고 뛰놀던 사이였습니다. 두 분은 세례로 연결되었고, 요한이 갇히자 예수님께서 세상 전면에 나서셨습니다. 가장 큰 예언자, 가장 큰 인간이 처절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주님은 분노와 고통, 슬픔과 아픔 속에서 요한을 기억하며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하며 홀로 있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병자들과 배고픈 이들이 따라나섰을 때, 그들의 처지가 마음 아팠습니다. 친구를 잃은 슬픔 속에서 아픈 이들을 치유하시고 배고픈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셨습니다.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 슬픔의 눈길로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바라보며 펼치신 성찬례였습니다.

다시 예수님은 슬픔을 안고 땅과 하늘이 만나는 거룩한 시공간으로 들어갑니다. 시간이 필요합니다. 경쟁으로 몸부림치며 성취를 향해 달음질치는 시간이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들여다보려고 멈춰서는 시간입니다. 자신의 상처와 슬픔을 하느님께 내보이는 시간 속에서 우리는 삶의 희망과 신앙을 새롭게 발견하기 시작합니다. 엘리야가 절망 속에서 하느님을 찾다가 기대와 달리 ‘조용하고 가녀린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났듯이, 주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과 상실 안에서 눈물의 바다 위를 걸으셨습니다.

제자들과 우리를 넘실거리며 위협하는 파도는 절망과 상실의 눈물인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그것을 피하며 허둥댈수록 그것들은 우리를 더욱 위협하고 두렵게 합니다. 그러고 보면, 믿음은 그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눈물 속에 내 몸을 던지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그 눈물의 바다에 몸을 던져서 그 눈물 위를 걸으셨습니다.

베드로가 그것을 깨닫고 바다에 몸을 던졌을 때, 그는 물 위를 걸어 주님께로 다가갔습니다. 그러나 삶의 고난과 상실을 잊으려 하고 귀찮다고 생각할 때 오히려 삶의 무게가 파도가 되어 그를 두렵게 했습니다. 자신의 안전과 행복에 눈을 팔 자, 물속에 빠져 허우적거려야 했습니다.

여전히 우리는 세상의 배고프고 가녀리고 절망과 슬픔이 가득한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야 합니다. 다른 이들이 겪는 깊은 슬픔과 눈물을 살피고, 함께 밥을 굶고, 함께 밤을 새우며 함께 깊이 기도할 때, 우리는 주님과 더불어 그 눈물의 바다 위를 걷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의 슬픔과 상처의 눈물 위를 예수님과 함께 걷는 신앙인인가요?

하느님 나라 – 땅의 생명에 깃든 보물

Sunday, July 30th, 2017

Seed_Treasure.png

하느님 나라 – 땅의 생명에 깃든 보물 (마태 13:31-33, 44-52)

‘비유의 장’ 마태오 복음 13장 전체는 하느님 나라를 비춥니다. 하느님 나라에 관한 우리의 생각과 상상을 좀 더 넓고 깊게 펼쳐주며, 동시에 우리의 고정관념을 수정하라고 요청합니다. 지난 몇 주 동안 비유를 따로따로 살폈다면, 오늘 비유들은 그 전체의 벼리를 잡아당기는 대단원입니다. 이미 나눈 바와 같이, 비유는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전달하는 목적 말고도, 쉽고 당연하다고 생각하여 더 깊은 뜻이 왜곡되거나 좁아지는 일을 막는 목적도 있습니다. 우리의 감각 전체를 활용하여 더 깊이 느끼고 더 높이 상상하도록 우리의 머리와 몸을 이끕니다.

오늘 이야기를 포함하여 마태오 복음 13장은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가라지의 비유, 겨자씨의 비유, 누룩의 비유, 그리고 보물이 묻힌 밭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비유의 공통점이 눈에 띕니다. 씨는 땅에 뿌려집니다. 밀과 가라지는 땅에서 자라납니다. 겨자씨는 흙에서 자라납니다. 누룩은 무엇인가에 들어가서 작용합니다. 밭은 이 모든 것이 작용하는 흙입니다. 이 뜻은 분명합니다. 천상에나 있을 법한 하느님 나라는 이처럼 ‘흙과 땅’에 들어가 작용하여 드러난다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하느님 나라는 이 땅과 세상과 깊은 관련을 맺습니다. 죽어서 간다는 ‘저승’이나, 허공의 ‘하늘’과 연결짓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땅’에 뿌려지고 심겨서, 자라나고 부풀어 올라야 할 현실입니다. 성서의 하느님 나라는 저승과 허공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시작이 미약하더라도, 흩날려서 잃는 씨앗이 많더라도, 가라지 때문에 생육이 좋지 않더라도, 우리가 사는 이 땅과 현실에서 기어이 많은 수확을 내고 큰 나무로 자라나며, 빵처럼 부풀어 올라 커지리라는 희망 안에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수확과 큰 나무, 커다란 빵 자체가 하느님 나라의 목적은 아닙니다. 목적은 제대로 쓰일 때만이 의미가 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얻은 많은 수확은 배고픈 사람들을 먹이는 일에 사용해야 합니다. 겨자씨에서 자라난 큰 나무는 새들이 집을 짓고, 사람이 쉴 그늘을 만드는 곳이어야 합니다. 밤사이에 커다랗게 부풀어 오른 빵은 아침의 허기를 달래고, 하루를 힘차게 시작하는 소중한 양식이어야 합니다. 하느님 나라는 풍요롭게 먹이고, 사람을 품어서 그들이 쉬며 사랑을 나누게 하는 일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땅에 깃든 생명을 우리가 키워내고 먹이며 지친 삶을 쉬게 할 때 비로소 발견하는 보물입니다. 하느님 나라의 본질과 목적을 깨달은 신앙인은 이제 밭에 묻힌 보물을 발견한 사람으로 행동합니다. 값진 하느님 나라를 발견했으니, 신앙인은 삶의 우선순위를 기꺼이 바꾸어 붙잡습니다. 우리 재산과 시간, 재능과 수고를 이 땅에서 펼쳐지는 하느님 나라의 가치에 우선 봉헌하며 헌신합니다. 이 땅에 깃든 생명을 키워내고 지친 이들의 삶을 돌보시는 하느님의 행동에 참여할 때 신앙과 교회가 바로 섭니다. 이때라야 풍성한 생명의 하느님 나라가 우리 삶 곳곳에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전례력 연재] 눈물의 신앙 – 성 막달라 마리아 축일

Saturday, July 22nd, 2017

Tear_Mary_M.jpg

눈물의 신앙 – 성 막달라 마리아 축일 (7월 22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막달라 마리아는 성서 인물 가운데 가장 야릇한 시선을 받는 성인일 테다. 예수와 특별한 인연 때문에 역사는 다양하고 극적으로 성인의 삶과 운명을 상상했다. 예수의 연인으로 착색하여 이야기를 만들기도 했다. 최근에 발견된 고대 파피루스 조각에서는 ‘예수의 아내’라는 표현이 나와 떠들썩했다. 거기에 나온 ‘아내’를 막달라 마리아로 섣불리 단정한 사람들도 있었다. 몇 년 후 그 파피루스는 가짜로 판명 났다. 소설가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나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등은 이런 상상력으로 세간의 이목을 받았다. 그렇다면 복음서와 교회는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까?

막달라 마리아는 네 복음서에 모두 등장한다. 그는 예수와 함께 여행하던 여인들 가운데 한 명이었고, 자기 돈을 들여 예수의 선교를 돕던 사람이었다. ‘일곱 마귀’로 고생하던 그를 예수께서 구해주신 뒤에 그리했던 것 같다. 이 ‘일곱 마귀’의 정체는 알 수 없다. 학자들은 정신이나 육체에 깃든 심각하고 고통스러운 만성 질환이었으리라고 짐작할 뿐이다.

서방 교회는 복음서 이야기를 엮어서 가상의 인물을 만들었다. 몸을 파는 여인으로 돌에 맞아 죽을 뻔했다가 예수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 여인을 막달라 마리아와 같은 인물로 보았다. 이 사건이 벌어진 한참 뒤에 이 여인이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붓고 자기 머리를 풀어 닦아드린 아름다운 이야기가 복음서에 나온다. 참회와 헌신을 지나치게 강조했던 중세교회는 이 여인에게서 신앙인의 모본을 찾고는, 그를 막달라 마리아와 동일인물이라고 멋대로 결론 내렸다. 12세기 때부터다. 그러나 동방 교회는 이런 상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과 묻힌 현장에 있었다. 그는 예수의 부활을 상징하는 빈 무덤의 첫 증인이었다. 모든 복음서의 한결같은 기록이다. 그의 삶이 어떠했든 그토록 따랐고 사랑했던 사람이 죽었기에 예수님의 시신을 두고라도 마지막 인사를 하고 싶었다. 그는 향유를 들고 무덤을 찾았다. 그런데 시신이 없어져 그 기회마저도 사라졌다. 마리아는 상실과 절망의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그 눈물 속에서 예수를 다시 만났다. 그 눈물이 그의 귀를 적셨을 때, 그는 예수의 음성을 알아들었고, 그 눈물이 그의 눈을 씻어내렸을 때, 부활하신 예수를 보았다.

다른 열두 남성 사도들을 다 제쳐놓고,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의 첫 증인이 되었다. 이 여성이 다른 열두 남성 사도들에게 부활 소식을 전했다. 이 때문에 동방 교회는 막달라 마리아를 ‘사도들 가운데 사도’로 여기며 존경했다. 서방 교회도 나중에는 그를 ‘사도들을 향한 사도’라고 불렀다. 서방 교회는 최근에야 동방 교회를 따라 축일을 7월 22일로 정했다.

막달라 마리아는 복음서와 그리스도교 초기 역사에서 성모 마리아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한 분은 ‘하느님을 품은 사람’(테오토코스)로, 다른 한 분은 ‘사도들 가운데 사도’로 불렸다. 예수를 신실하게 따랐던 두 마리아는 우리 신앙인이 걸어야 할 길이다. 신앙인은 예수를 마음과 가슴에 품은 사람이다. 신앙인은 예수를 애틋한 그리움을 담아 연인으로 사랑하는 사람이다. 신앙인은 삶의 고통과 슬픔, 기쁨과 즐거움 전체를 대면하면서 그 안에 깃든 눈물을 통해서 세상을 보는 사람이다.

  1. [성공회 신문 2017년 7월 22일 치 7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