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Sunday, October 8th, 2017

wicked_servants.jpg

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마태 21:33-46)

“나는 분명히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고 있다”(마태 21:32).

지난 주일 복음 말씀 끝에서 들었던 충격적인 선언입니다. 혼란스럽습니다. 우리 인생의 걸음걸이가 어떻든 교회로 모인 우리는 하느님 나라를 향해 걷는 순례의 백성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당황스럽습니다. 사회의 윤리적 잣대에서 비난을 받던 세리들과 개인의 도덕적 잣대에서 손가락질을 받던 창녀들이 하느님 나라에 먼저 들어간다니 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고정관념이 만든 혼란과 당황을 넘어서서 새로운 신앙의 결단과 행동으로 초대합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는 포도원 주인에게 도조를 바치지 않고 버티면서 주인의 아들까지 죽인 사악한 소작인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포도원은 하느님께서 만드신 에덴동산입니다. 모든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창조의 질서요,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정치와 경제의 질서입니다. 포도원의 목적은 분명합니다. 맛있는 포도 열매를 맺어서 우리에게 달콤한 영양을 주는 일입니다. 쌓아놓으면 썩어버릴 포도를 술틀에 이겨서 포도주를 만들어 삶에 기쁨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일니다. 생명이 누리는 기쁨이야말로 이 포도원의 목적입니다. 하느님의 창조질서와 우리가 사는 세상과 사회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포도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그곳은 탐욕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소출을 나누지 않고 쌓아놓고 다른 사람들의 접근을 막습니다. 누가 그에 항의할라치면 내쫓거나 두들겨 패는 폭력의 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심지어 이 모든 것을 다 가로채겠다는 생각에 사람을 죽이는 살인의 현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생명의 기쁨을 나누고 누리려던 세계가 탐욕과 폭력과 전쟁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 현실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탐욕과 폭력과 전쟁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혹시 우리도 의식 무의식으로든 이 현실에 가담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합니다. 세상의 생명에 영양을 공급하는 일을 막고 있지 않은지, 다른 사람과 나눌 기쁨을 울타리 쳐서 독차지하지 않는지 살펴야 합니다. 이 반성에서 신앙이 출발하고 영성이 뿌리를 내리며 바른 식별이 자라납니다. 이 신앙과 영적인 식별에서 우리 자신과 우리 교회, 사회와 세계를 성찰해야 합니다.

탐욕스럽게 자신의 재산을 늘리고, 협잡하여 자신의 이익을 지키려고 폭력과 살인을 저지르는 세상입니다. 이런 세상은 지옥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서로 받아들여 함께 수고하고 서로 격려하여 다 같이 넉넉하게 덤을 주어 보내는 일로 열립니다. 우리 땀과 눈물로 맺은 탱탱한 포도의 달콤한 맛을 함께 나누고,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술틀에 밟아 함께 나누어 마실 때 하느님 나라의 잔치가 펼쳐집니다. 이것이 하느님 나라를 향한 순례의 백성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때야 비로소 우리는 하느님 나라에 함께 들어갑니다.

회개와 순종의 권위

Sunday, October 1st, 2017

two_sons.jpg

회개와 순종의 권위 (마태 21:23-32)

기쁘고 여유로운 명절이 다가옵니다. 가족이 기쁘게 모여 안부를 물으며 소홀했던 사랑을 나누기를 기대합니다. 한편, 명절 안부에 조금 조심하여 마음을 써달라는 부탁도 회자합니다. 졸업은 언제 하느냐, 취직은 언제 하느냐, 결혼 계획은 있느냐는 말을 피해달라는 당부입니다. 친구나 친척의 자녀를 예를 들어 비교할라치면 명절 분위기 한순간에 망치기에 십상입니다. 지켜보는 답답함이 큰 탓이겠지만, 당사자의 마음고생을 더 깊이 헤아려 주면 더 큰 격려가 됩니다. 어른의 권위는 여기서 나옵니다. 사람이 바라는 때와 하느님께서 마련하시는 때가 다르다는 신앙의 지혜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오늘 복음 이야기는 사람의 기대와 하느님의 뜻 가운데 삶의 판단 기준을 어디에 둘지 묻습니다. 예수님을 의심하는 대사제들과 원로들의 태도는 우리 삶과 가정, 교회와 사회 안에서 권위를 둘러싼 갈등을 비춥니다. 성전을 오래 지킨 대사제들과 원로들은 이미 권력을 누리며 판단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때 낯설고 젊은 예수님이 등장하니 기득권에 위협을 느낍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세운 지위와 하느님의 새로운 도전 가운데 무엇을 신뢰할지 되물으십니다.

신앙인은 모든 권위가 하느님에게서 나온다고 믿습니다. 자신이 만든 권위는 없다고 믿습니다. 자신의 경험과 지위로 판단하지 않고, 하느님 보시기에 옳은 일인지 식별하여 따를 때 신앙의 권위가 굳게 섭니다. 하느님의 너그러운 인내를 생각하며 자녀의 성장과 미래를 격려할 때 부모는 권위를 얻습니다. 공동체나 사회의 갈등을 풀려면 저마다 지닌 경험과 주장을 내려놓고 하느님께서 초대하시는 새로운 도전과 모험에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작거나 크거나, 낮으나 높으나, 누구든 하느님께 순종하고 복음 선포에 헌신할 때 자신도 존중받고 교회의 권위와 질서가 바로 잡힙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신앙인의 권위는 하느님을 향한 예배와 헌신, 이웃을 향한 봉사와 선교에서 나옵니다. 그 방향이 혹시라도 자신의 업적과 지위를 향하면, 사람은 교회에서든 사회에서든 업적과 소유 경쟁으로 빠져듭니다. 이 다툼과 불화가 바로 우리 인간의 죄입니다. 죄는 어떤 법의 위반 여부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자신의 본질을 훼손하는 일이 죄입니다. 인간의 본질은 공동체 안에서 하느님의 은총을 올바르게 누리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이를 깨닫고 언제든 돌아와 회개하고, 하느님의 뜻에 자신을 다시 조율하며 순종합니다. 이 회개와 순종때문에 “세리와 창녀들이 먼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갑니다”(31절).

오늘 서신서 본문의 아름다운 성육신 찬가처럼, 예수님은 “하느님과 본질이 같으셨으나 동등한 존재가 되려 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의 것을 다 내어놓고, 자신을 낮추셔서 죽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필립 2:6-8). 이 명절은 사랑의 기다림 끝에 돌아오는 가족과 자녀를 다시 맞이하는 시간입니다. 서로 겸손하게 격려하며, 서로 사랑으로 순종할 때, 하느님은 우리 가족과 교회 안에 보름달처럼 풍성한 복락을 내리십니다.

공동체와 신앙의 책임

Sunday, September 10th, 2017

monet_cathedral.png

공동체와 신앙의 책임 (마태 18:15-20)

신앙생활은 공동체 생활입니다. 여느 종교는 신(神)과 자신의 관계를 개선하여 영혼의 구원을 얻거나, 홀로 진리를 깨우쳐 해탈을 바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느님과 자신의 관계를 이웃과 맺는 자신의 관계와 분리할 수 없다고 가르칩니다.

신앙인은 나 홀로 사적인 인간이기를 멈추고, 하느님을 예배하는 공동체에 참여하여 살기로 다짐한 사람입니다. 인간 사이에서 다툼과 갈등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신앙 공동체에도 불화와 갈등, 불신과 상처가 끊이지 않습니다. 다만, 신앙인은 이 문제를 하느님의 시선에 비추어 함께 공동체를 쇄신하고 자신의 변화를 찾으며 훈련합니다.

공동체의 갈등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의로 시작한 일이 부주의하게 미끄러진 탓이기 쉽습니다. 교회를 아끼려는 주인의식이 지나쳐 소유의식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신앙 체험의 기쁨을 나누려는 열정이 지나쳐 자신만 옳다는 주장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불편한 일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지나쳐 강요와 심판이 되기 때문입니다. 선의를 올곧게 지켜나가려면 스스로 성찰하고 자신을 삼가는 일이 먼저 필요합니다.

공동체의 갈등과 불화가 선한 궤도를 이탈하는 일도 있습니다. 작은 실수와 갈등에 관하여 정확하지 않은 정보와 소문에 귀를 빌려줄 때, 공동체는 죄와 불신에 빠집니다. 진실은 사라지고 억측이 난무합니다. 화해보다는 심판의 목소리가 우악스럽습니다. 상처는 돌이킬 수 없이 깊어집니다. 스스로 삼가는 성찰의 궤도를 벗어나면 진실한 변화와 쇄신의 목소리마저 들리지 않습니다. 더 깊은 고민과 노력이 오히려 오해를 받습니다. 공동체는 불신의 만성질환에 빠지며 생명의 위기를 맞습니다.

신앙인은 진실을 찾는 사람입니다. 공동체 안에서 진실을 식별하는 능력을 훈련하지 않으면 하느님의 진리를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진실과 진리로만 서로 타이르고 바로 잡습니다. 조심스럽게 둘 사이에, 여럿이 불편부당하게 충고하고 설득합니다. 바른 지적과 조언을 공격이 아니라 자신의 거울로 삼습니다. 자신의 내면을 비추지 않는 사람은 신앙인이라 부르기 어렵다고 복음은 말합니다. 그러나 ‘이방인과 세리처럼 여겨라’(17절)하는 말 속에도 희망은 있습니다. 이방인과 세리에게도 회개와 용서의 은총은 열려 있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하느님의 진리와 공동체의 진실로 책임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진리과 사랑은 함께하지만, 사랑을 들어 진리의 책임을 회피할 수 없습니다. “죄인에게 그 버릇을 고치라고 타일러주지 않았다면, 그 죄인은 자기 죗값으로 죽겠지만, 그 사람이 죽은 책임은 나는 너에게 지우리라”(에제 33:8). 신앙의 책임은 자신과 공동체가 함께 하느님의 진리과 사랑 안에서 구원을 받도록 애쓰는 일입니다. 진리에 이르려는 기도와 대화가 우리 공동체에 간절합니다. 진리 안에서 자신과 공동체를 쇄신하려는 깊은 배움과 모진 훈련이 우리 교회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