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나요?

Sunday, July 9th, 2017

burden_humility.jpg

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나요? (마태 11:16-19, 25-30)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30절). 세상 풍파에 시달리며 허덕이는 사람을 향한 예수님의 초대가 참으로 감사합니다. 신앙인은 초대 안에서 안식을 누리려 주님을 따릅니다. 그러나 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고, 짐이 가벼울 수 있을까요? 이런 의문으로 오늘 성서 독서 전체에 흐르는 내용을 좀 더 깊이 살펴보니 다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삶의 고통을 덜고 안식을 누리려면 신앙의 새로운 선택과 발걸음이 필요합니다.

첫째, 즈가리야 예언자는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의 질서를 비교하며 하느님을 선택하라고 선포합니다(9:9-12). 세상도 신앙도 정의와 평화를 말합니다. 그러나 세상의 정의는 힘센 사람들에게만 해당합니다. 평화는 군사적인 힘의 대결과 균형으로 위태롭게 유지됩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정의는 개선장군의 군마가 아니라 어린 새끼 나귀 등 위에서 시작합니다. 생명을 앗아가는 무기를 ‘꺽어버리고’서야 하느님의 평화를 맛볼 수 있습니다. 하느님과 인간은 ‘피’를 나누는 친밀함 속에 있으니, 그 어떤 인간 생명도 억압하거나 위협하는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됩니다.

둘째, 사도 바울로 성인은 스스로 자신이 ‘비참한 인간’(로마 7:24)이라고 고백하며, 실은 모든 인간이 그러하다고 선언합니다. 세상의 기준에서는 서로 잘 나고 부자이고 높은 뜻을 세웠다 하더라도, 사람의 생활과 일은 어떤 처지에든 ‘악이 도사리고’ 있어(21절) 괴로움이 그치질 않습니다. 사람이 다 이런 처지일진댄 자신이 이룬 성취와 지위로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정죄하는 ‘율법’을 휘두를 수 없습니다. 인간의 구원은 자기 내면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오로지 밖에서 손을 내미는 그리스도를 붙잡을 때, 자기중심의 시선과 삶을 넘어서서 바깥을 바라볼 때, 구원의 은총이 우리에게 들어와 자리를 잡습니다.

셋째, 예수님은 세상의 삶을 아이들의 놀이에 비유하며, 자기 기분에 따라 남에게 이래라저래라 명령하는 권력가들을 나무라십니다. 바리사이파는 편하게 앉아 ‘율법의 피리’를 불면서, 남들에게 춤을 춰라, 곡을 하라며 지시하고 비난하는 이들입니다. 그들은 자기 기준으로만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지배하려 합니다. 세례자 요한이 금식한다고 비판했다가, 이제는 예수님을 ‘먹보와 술꾼’이라고 비난합니다. 요한과 예수님이 무슨 연유로 그런 삶의 방식을 선택했는지 되새겨 보려 하지 않습니다.

세상의 멍에와 짐은 경쟁과 대결로 만든 정의와 평화입니다. 자신의 모자란 선을 내세우려는 교만이며, 자기 멋대로 힘을 휘두르는 지배욕입니다. 이 어지럽고 억지스러운 일이 우리 삶을 괴롭힙니다. 이때, 예수님은 전혀 새로운 멍에와 짐을 선사하십니다. 우리 안에 들어찬 세상의 멍에와 짐을 덜어내고 치워서, 밖에서 찾아오시는 주님을 우리 안의 중심 자리에 모시려는 노력입니다. 예수님과 함께 다른 신앙인과 더불어 ‘겸손하고 온유하게 배우며’ 대화하는 수고입니다. 이 새로운 노력과 수고의 짐과 멍에를 우리가 함께 나눌 때, 우리는 짓눌린 삶의 무게에서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전례력 연재] 시간 순종 참여 – 성 베네딕트 축일

Saturday, July 8th, 2017

st_benedict_rule.png

시간, 순종, 참여 – 성 베네딕트 축일 (7월 11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 베네딕트(480-540년)는 서방 교회 수도회의 아버지라 불린다. 당시 수도회 전통과 규칙을 집대성하여 6세기에 베네딕트 규칙서와 수도회를 만들었고, 이후 많은 수도회의 모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원래 축일은 별세한 날로 알려진 3월 21일이었으나, 사순절기에 겹쳐서 중요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우려 때문에, 1969년 이후부터 7월 11일로 옮겼다. 8세기 말 어느 전례력에서도 그의 생일과 별세일을 같이 기념하여 7월 11일을 축일로 지킨 적이 있다는 증거와 판단이었다.

‘복되다’는 이름 뜻을 지닌 베네딕트 성인은 로마 귀족 출신이었고 좋은 교육을 받았으나, 상류 계층이 주도하던 사회와 문화에 큰 의문을 품고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성인의 신앙과 신학은 ‘베네딕트 규칙서’에 가장 잘 드러난다. 후대 사람들은 이 규칙서와 수도회가 서구 유럽의 문화와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한다. 영국 교회 초기 역사를 쓴 성 베다(762-735년)의 기록과 이후 역사를 보면 성공회의 영성과 신학에 끼친 영향이 역력하다.

“베네딕트는 공동 생활의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었다. 욕심 없이 살며, 다른 사람이 거저주는 것에 만족하며, 기도로 일치하여 사는 삶이다. 주교직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교회의 삶이다”(성 베다). 그런 탓일까? 영국의 대다수 주교좌성당들은 베네딕트 수도회로 운영됐다. 공동체의 삶이 교구 조직의 중심이며, 그 핵심 생활은 성무일도와 성찬례라는 확신이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신학자 로완 윌리엄스 캔터베리 대주교(2012년 은퇴)는 베네딕트 영성 전통을 ‘시간의 균형, 순종, 참여’의 측면에서 요약한다.

첫째, 삶의 시간은 노동과 공부와 기도의 균형과 조화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시간은 무엇을 성취하는 데 대부분 사용되고, 그 피로를 풀려고 지나치게 노는 일로 채워지기 일쑤이다. 열심히 살기는 하지만 자신이 누구인지 잊고 사는 시간이 되고 만다. 그러니 잠시 멈추어 “기억을 되살리고 지성을 깊이 하고, 사랑이 성장하도록 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공부와 기도로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밖에 있는 남을 발견하고, 하느님을 즐기는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순종은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고집과 생각을 포기하는 훈련이다. 순종은 굴종이 다르다. 경청하는 일이다. 지위고하, 나이, 신분을 넘어서 서로 경청하는 행동이 진정한 권위의 시작이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경쟁적인 싸움을 거절하면서도, 자신의 삶과 조직에 균형과 억제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받아들여야 권위가 생긴다. 서로 피어나도록 돕고, 거룩함을 위해 서로 격려할 때 참 공동체가 마련된다.

셋째, 참여는 사회와 조직의 삶에서 소임을 찾아 책임을 다하는 일이다. 자신의 소임을 누구에게 맡겨놓고 방관해서는 권위가 나오지 않는다. 이러면 계속 수동적인 삶을 강요받게 되고, 그 영혼은 상처를 입는다. 그 상처 난 영혼에서 난폭한 분노와 테러리즘이 나온다. 중앙집권적인 문화는 참여가 없는 문화이다. 관료정치는 비인간적인 정치이다. 이에 맞서는 힘과 내용을 갖추고 활발히 연구하고 논쟁하는 일은 그리스도인의 책임이요 참여이다.

윌리엄스 대주교는 베네딕트 영성 안에서 성서의 인간학을 이렇게 요약한다. “우리 인간은 서로 섬기고, 모든 이를 위해 각 사람에게 주어진 특별한 선물을 존중하고 격려하며, 이로써 관상적인 기쁨을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1. [성공회 신문] 2017년 7월 8일 치 7면 []

하느님의 평화를 다짐하는 교회

Sunday, June 25th, 2017
james-ensor-entry-of-christ-into-brussels-18881.jpg
(제임스 엔서, “1889년 예수님의 브뤼셀 입성” – 1888년)

하느님의 평화를 다짐하는 교회 (마태 10:24-39)

우리 한국 현대사에 드리운 ‘6.25’라는 그늘과 상처는 어둡고 쓰라립니다. 마음의 그늘은 우리 마음에 어두운 눈을 만들어 걸핏하면 미움의 시선을 주고받게 합니다. 육체가 겪은 상처와 흔적은 쓰라린 기억을 생생하게 되살려 성난 원망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런 감정의 상흔은 냉철하게 역사를 보는 눈을 가립니다. 대다수 선량한 사람들이 희생자와 피해자였던 역사의 사실은 종종 잊혀집니다. 이 잔혹한 전쟁놀음을 만들었던 소수의 정치 권력자들의 책임은 온데간데없습니다. 오히려 책임을 회피하고 진실을 가리려고 아직도 불화를 부추기고 긴장감과 적대감을 조성합니다.

예수님은 역사의 그늘과 상처를 치유하러 오십니다. 자기 멋대로 부리는 세상 정치권력의 역사를 그치고, 하느님의 평화를 선사하시려고 제자를 부르십니다. 예수님의 치유는 세상이 만든 ‘거짓 평화’를 이겨내어 하느님이 주시는 ‘참된 평화’로 바꾸려는 행동입니다. 세상의 현실에 비추어 보면, 예수님의 선택은 현실성이 없고 힘도 없고 희망이 없는 듯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스승’과 ‘주인’으로서 희망의 길을 몸소 걸으며 보여주십니다.

‘스승만해지고 주인만해지는 삶’은 예수님의 길을 선택하라는 당부입니다. 예수님께 충실히 배우지 않고, 다른 종교에서 유행하는 사조와 방식을 함부로 끌어올 수 없다는 말입니다. 우리 교회 전통에서 깊이 길어 올리지 않고, 지금 성공을 과시하는 다른 일들에 성급하게 눈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과 교회 전통에서 배우는 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보기에 탐스러운 유혹은 강렬하지만, 짧고 허망합니다. 묵고 바랜 듯한 진실은 고되고 오랜 인내의 훈련으로만 빛을 내고 열매를 맺습니다. 남을 빌어 자기 스승을 금세 넘을 요량이 아니라, ‘스승’의 삶을 그대로 본떠서 몸을 만들어야 합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그리스도를 닮아 만든 몸을 ‘교회’라고 부릅니다. 교회의 신앙은 그리스도를 스승으로 모시고, 교회 전통이 마련한 훈련법에 따라, 동료 신앙인과 더불어 그리스도와 겹쳐 사는 삶입니다. 이 신앙이 우리에게 참된 해방과 자유의 삶을 마련해 줍니다(로마서 6:1-11). 이 신앙이 세상의 권력자가 만든 역사가 아니라, 하느님이 펼치시는 역사의 진실을 보게 합니다. 모든 사람을 해방하고 자유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시선으로 훈련한 눈과 손길만이 권력자가 만든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화해와 평화의 길을 열어줍니다.

우리 신앙인은 ‘세상의 평화’를 물리치고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려고 분투합니다. 생명을 빼앗는 권력의 칼에 맞서, 썩고 병든 곳을 도려내어 생명을 살리는 예수의 칼을 사용합니다. 그 모습이 종종 거칠고 서로 맞서는 일이더라도, 하느님의 역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려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우리 사회와 교회의 역사는 어느 길을 걷고 있나요? 역사의 상흔 앞에서 우리의 감정을 지배하는 힘은 세상인가요, 하느님인가요? 우리는 이 아픈 역사를 기억하면서 하느님의 평화를 선택하기로 다짐합니다. 이것이 두려움 없이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신앙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