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 나라 – 땅의 생명에 깃든 보물

Sunday, July 30th, 2017

Seed_Treasure.png

하느님 나라 – 땅의 생명에 깃든 보물 (마태 13:31-33, 44-52)

‘비유의 장’ 마태오 복음 13장 전체는 하느님 나라를 비춥니다. 하느님 나라에 관한 우리의 생각과 상상을 좀 더 넓고 깊게 펼쳐주며, 동시에 우리의 고정관념을 수정하라고 요청합니다. 지난 몇 주 동안 비유를 따로따로 살폈다면, 오늘 비유들은 그 전체의 벼리를 잡아당기는 대단원입니다. 이미 나눈 바와 같이, 비유는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전달하는 목적 말고도, 쉽고 당연하다고 생각하여 더 깊은 뜻이 왜곡되거나 좁아지는 일을 막는 목적도 있습니다. 우리의 감각 전체를 활용하여 더 깊이 느끼고 더 높이 상상하도록 우리의 머리와 몸을 이끕니다.

오늘 이야기를 포함하여 마태오 복음 13장은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가라지의 비유, 겨자씨의 비유, 누룩의 비유, 그리고 보물이 묻힌 밭 이야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비유의 공통점이 눈에 띕니다. 씨는 땅에 뿌려집니다. 밀과 가라지는 땅에서 자라납니다. 겨자씨는 흙에서 자라납니다. 누룩은 무엇인가에 들어가서 작용합니다. 밭은 이 모든 것이 작용하는 흙입니다. 이 뜻은 분명합니다. 천상에나 있을 법한 하느님 나라는 이처럼 ‘흙과 땅’에 들어가 작용하여 드러난다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하느님 나라는 이 땅과 세상과 깊은 관련을 맺습니다. 죽어서 간다는 ‘저승’이나, 허공의 ‘하늘’과 연결짓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땅’에 뿌려지고 심겨서, 자라나고 부풀어 올라야 할 현실입니다. 성서의 하느님 나라는 저승과 허공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시작이 미약하더라도, 흩날려서 잃는 씨앗이 많더라도, 가라지 때문에 생육이 좋지 않더라도, 우리가 사는 이 땅과 현실에서 기어이 많은 수확을 내고 큰 나무로 자라나며, 빵처럼 부풀어 올라 커지리라는 희망 안에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수확과 큰 나무, 커다란 빵 자체가 하느님 나라의 목적은 아닙니다. 목적은 제대로 쓰일 때만이 의미가 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얻은 많은 수확은 배고픈 사람들을 먹이는 일에 사용해야 합니다. 겨자씨에서 자라난 큰 나무는 새들이 집을 짓고, 사람이 쉴 그늘을 만드는 곳이어야 합니다. 밤사이에 커다랗게 부풀어 오른 빵은 아침의 허기를 달래고, 하루를 힘차게 시작하는 소중한 양식이어야 합니다. 하느님 나라는 풍요롭게 먹이고, 사람을 품어서 그들이 쉬며 사랑을 나누게 하는 일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땅에 깃든 생명을 우리가 키워내고 먹이며 지친 삶을 쉬게 할 때 비로소 발견하는 보물입니다. 하느님 나라의 본질과 목적을 깨달은 신앙인은 이제 밭에 묻힌 보물을 발견한 사람으로 행동합니다. 값진 하느님 나라를 발견했으니, 신앙인은 삶의 우선순위를 기꺼이 바꾸어 붙잡습니다. 우리 재산과 시간, 재능과 수고를 이 땅에서 펼쳐지는 하느님 나라의 가치에 우선 봉헌하며 헌신합니다. 이 땅에 깃든 생명을 키워내고 지친 이들의 삶을 돌보시는 하느님의 행동에 참여할 때 신앙과 교회가 바로 섭니다. 이때라야 풍성한 생명의 하느님 나라가 우리 삶 곳곳에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밀과 가라지 – 인내와 훈련의 신앙인

Sunday, July 23rd, 2017

wheat-tares.jpg

밀과 가라지 – 인내와 훈련의 신앙인 (마태 13:24-30, 36-43)

지난주에 이어 예수님의 비유가 계속됩니다. 씨앗과 수확이 같이 등장하는데 상황은 사뭇 다릅니다. 복음서는 이번에도 역시 친절한 풀이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우리 삶과 신앙에 여러 어려움이 있더라도 하느님 나라는 끝내 완성되어 많은 이에게 수확의 혜택을 베풀리라는 약속입니다. 이 명백한 뜻을 되새기는 한편, 더 깊은 뜻을 헤아리려 합니다.

좋은 씨를 밭에 뿌렸는데, 밤에 나쁜 ‘원수’가 와서 가라지 씨를 뿌려 밀의 생육을 훼방합니다. 소식을 들은 제자들은 화가 나서 당장에라도 가라지를 뽑겠다고 덤빕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함부로 뽑다가 밀이 다칠까 염려합니다. 수확 때까지 기다려 ‘추수꾼’에게 맡기자고 합니다.

초대교회 내부에도 여러 갈등과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우리 교회에서도 좋지 못한 일들이 불쑥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빨리 처분해야 할 문제도 있지만, 섣불리 손을 대다가 상처와 아픔이 애먼 데로 번질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없이 너그러워지라는 뜻일까요? 그보다 먼저, 나쁜 것들이 활개를 쳐 더러우니 모두 내팽개치지 말고 더 견디라는 부탁입니다. 절망하고 포기하면 교회와 공동체, 사회와 국가를 바르게 이끌어갈 사람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정말 악인들이 판을 치고 말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바른 사람들이 절망을 견디는 힘으로 다가옵니다.

바르게 견디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요? 오로지 깊은 배움과 모진 훈련에서 나옵니다. 오늘 비유에서 ‘성급한 제자’와 ‘숙련된 추수꾼’의 대조가 분명합니다. 농사 지어본 사람은 압니다. 가라지는 추수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당장 뽑아내야 합니다. 농부의 고된 일은 수확을 기다리는 데 있지 않고 잡초와 병충해를 막는 데 있습니다. 생육을 가로막는데도 내버려 두는 태도는 무책임합니다. 정작 문제는 책임을 다하겠다고 덤비는 제자들의 미숙함입니다. 의지와 패기는 가라지처럼 꼿꼿하게 넘치지만, 훈련으로 내실이 여문 알곡처럼 머리를 숙이지 못한 상태입니다. 신앙의 훈련이 미숙한 이들은 교회의 농사를 망칩니다. 오로지 숙련된 농부여야만 가라지를 식별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추수꾼’은 숙련된 신앙인입니다. 그들이 아니고서는 추수를 맡기기 어렵습니다. 추수할 일은 많은데 일꾼이 없다고 하신 예수님의 탄식이 이 때문입니다. 더욱이 무늬는 일꾼이고 추수꾼일지언정 가라지가 아니라 밀을 계속 뽑아내면서 책임을 다한다고 하면 공동체는 무너지고 맙니다. 우리 교회가 온갖 역경과 도전 속에서 빚어낸 신학과 신앙의 원칙을 깊이 되새기고 훈련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합니다. 그것은 성서를 공동체 안에서 읽고 도전받으며 더 깊이 배우는 학습입니다. 우리 전례와 신학의 전통을 깊이 새기고 몸으로 익히는 행동입니다. 시대의 변화를 사려 깊게 살펴 성서와 전통이 작동하도록 힘을 보내는 이성적 실천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인내와 훈련이 빚은 견실한 신앙 안에서 다가옵니다. 신앙인은 자신과 공동체 안에서 밀과 가라지를 식별하여 대처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로서만 하느님 나라의 도구인 교회가 바로 섭니다.

선교 – 모자라지 않은 씨앗

Sunday, July 16th, 2017

Gogh_Sower.png

선교 – 모자라지 않은 씨앗 (마태 13:1-9, 18-23)

예수님께서 비유를 써서 가르치신 까닭은 여러 가지입니다. 어려운 문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가 하면, 그와는 정반대로 주님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면 그 뜻을 감추려는 이유도 있습니다. 한편, 쉽고 친절한 풀이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복잡한 삶을 더 깊이 바라보고 생각하게 하려는 비유도 있습니다. 오늘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가 그런 예입니다.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렸는데, 저마다 길바닥에, 돌밭에, 가시덤불 속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 씨들은 기대했던 수확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져 수확을 크게 얻었다고 합니다. 복음서는 친절하게 그 풀이 내용을 소개합니다.

씨는 복음이고, 저마다 씨가 떨어진 곳은 신앙인을 뜻합니다. 조금만 복잡하고 어려운 가르침을 주면 뜬구름 잡는 이야기라고 건성으로 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신앙생활을 하긴 해도 작은 시련이나 갈등에도 금방 토라지는 일도 있습니다. 나름 굳은 다짐을 했지만, 신앙의 가치와 세상의 가치 사이에서 흔들리다가 편한 세상에 기울고는 합니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마음을 잘 가꾸어 넉넉히 받아들이는 신앙생활을 하면 큰 복을 얻는다는 약속입니다. 이 해석대로, 복음을 대하는 마음가짐은 건강한 신앙생활에 아주 중요합니다.

한편, 씨 뿌리는 사람의 행동에 잘 살피면 좀 더 깊은 뜻이 펼쳐집니다. 세상의 농부는 씨를 아무 데나 뿌리지 않습니다. 씨앗의 양을 확인하고 계산해서 좋은 땅에만 골라서 뿌립니다. 그런데 오늘 비유 속 농부는 이런 계산이 없습니다. 아낌없이 여기저기 뿌려도 씨앗은 충분하다는 배짱이 두둑합니다. 오히려 때를 놓치면 안 된다는 급한 마음마저 읽힙니다. 이때 신앙인은 밭이 아니라, 씨 뿌리는 사람입니다.

“들을 귀가 있는 사람은 알아들어라.” 성서 원어에서 ‘듣는다’는 말은 ‘복종하여 행동한다’는 뜻까지 포함합니다. 신앙인은 하느님 나라의 복음을 듣고 복종하여 세상에 아낌없이 뿌리는 행동에 나선 사람입니다. 선교의 행동입니다. 하느님께서 준비하신 복음의 씨앗이 모자랄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도 안절부절못하는 탓은 우리 생각과 염려를 복음에 어설프게 섞다가 확신과 자신감이 옅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 생각과 처지를 앞세워 계산하고 주저하다가 일을 그르치기도 합니다. 우리 눈에만 좋은 땅을 고르다가 신선한 씨앗이 묵어 생명력을 잃기도 합니다. 교회의 사명인 선교가 수확을 내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요?

우리 교회는 이미 역사 깊은 전례와 영성의 전통으로 기름진 밭입니다. 그 밭을 신뢰하고 복음을 뿌려 몇 배의 소출을 얻어서 다른 이들을 먹이며 도울 사명이 있습니다. 풍성한 수확에서 얻은 좋은 씨앗을 다시 아낌없이 뿌리는 수고를 다 해야 합니다. 신앙인은 더 많은 사람을 만나 더 풍성한 생명을 싹틔우는 선교에서 하느님의 복락을 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