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직” 상념

Friday, March 25th, 2011

로메로 대주교의 축일을 홀로 상념에 빠져 지낸 며칠. 당연한 듯, 한국에서는 그 어디에도 그를 기념하는 예배나 미사는 없었다고 듣는다. 아울러 작년에 적은 상념 가운데는 주교직에 대한 부분이 있었다. 어디서나 논란이 되는 주교직. 작년에 이렇게 적었다.

그리스도교 역사의 첫 몇 세기 동안, 주교는 대체로 ‘순교자’와 동의어였다. 이때 순교(martyria: 증언)는 선교의 다른 말이었다. 물론 주교는 지역 교회의 총괄 사목자요, 신학 선생이기도 했다. 이것이 위계의 목적이다. 그러나 그 몇 세기 후, 주교는 교리 수호와 교회 일치라는 명목 아래 세속 권력과 손잡고 ‘권력자’가 되었다. 순교자에서 권력자로 자리가 바뀐 것이다. 이러한 위치 변화는 이후 교회 역사에 큰 어둠을 남겼다. 따라서 위계의 목적도 바뀌었다. 그 어둠을 깨는 빛나는 주교들 몇이 있었으나, 어둠은 오래갔다. 한편, 현대의 주교 행태는 이제 CEO를 닮으려 한다. 이 마당에서는 순교(삶의 증언), 사목(보살핌), 선교(하느님 나라), 신학(기도와 성찰), 심지어 교회 일치를 위한 권위(전례와 교리)는 희미해진다. 볼썽사나운 거들먹거림과 범접할 수 없는 안정된 위치, 그리고 결제 권한이 자리 잡았다.

주교직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와 그에 대한 보살핌)에 ‘종속’된 것이다. 그 종속에 충실하여 공동체를 보살피며 지킬 때, 권위가 나온다는 점에서 주교직은 하나의 역설이다. ‘주님의 종’ 혹은 ‘하느님의 종’은 이 역설을 일컫기 위한 것이다. 이 역설의 신비를 살지 않기에 위계는 타락하여 지배 권력의 관리 체계가 된다. 이런 점들은 주교직의 대리(vicar)로서 사제(presbyter/priest)직에도 적용된다. 그러니 그 주교 아래서 그 사제가 나오는 법이다. 이런 점으로 교회 현실과 나를 돌아보며, 내 가슴을 친다.

주말 오후, 잠시 미뤄두었던 짧은 글 하나를 내어 읽는다. 한국 성공회 독자에게도 이미 잘 알려진 마틴 스미스 신부가 주교 선거를 두고 쓴 상념이다. (그는 미국 성공회 성 요한 수도회 SSJE 에서 오래 수련장 수사 신부로 봉사하며 영적 지도와 관련 저술을 다수 펴냈다. 10여 년 전 수도회를 떠나서 좀 더 자유롭게 영적 지도와 저술에 전념하고 있다.) 그 가운데 토막을 옮겨 적는다.

주교직의 핵심 상징 중 하나는 의자이다. 감독한다는 말, ‘캐시드라’, 즉 주교좌에 앉는다는 말은 앉아서 가르치는 행동에서 유래한 것이다. 선생은 우리가 의미를 찾도록 도와준다. 복음에 빛에서 삶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의미에 집중하도록 우리를 도울 수 없는 이라면 주교가 되겠다고 나서서는 안 된다. 주교가 일에 휩싸인 관리자가 되어 그 사목에 소홀하게 되지 않도록 하느님께 구할 일이다.

복음의 의미를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을 상징하는 것과 더불어, 주교좌는 오늘날 세계가 필요로 하는 사목적 요구에 대한 뜻을 담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 발밑에서 근간이 흔들리듯 요동치는 현대 세계 속에서, 우리에게는 우리와 함께 앉아 중심을 잡고서 사태를 안정시키고 무엇보다도 우리가 초점을 견지하도록 돕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내가 큰 감화를 주었던 주교들은 모두 아주 잘 앉아 있는 이들이었다. 재빨리 뿌리를 내릴 줄 아는 분들이었다. 특히 팔을 걷어붙이고 탁자에 함께 둘러앉는 분들이었다. 우리와 함께 사태를 구별하여 파악하고 초점을 잡는 분들이었다. 사목자로서 그분들은 사람들과 함께 앉음으로써 간명하게 사목할 줄 아는 분들이었다.

이 주교직을 보완하는 상징이 있다면, 그것은 전체를 조망하는 위치라는 것이다. “에피스코포스”는 한마디로 감독자라는 뜻이다. 이는 조망이 유리한 위치에서 큰 그림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큰 맥락을 살피고 특수한 처지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 사회와 조직의 흐름이라는 좀 더 큰 상황에 연결한다는 말이다. 좀 더 넓은 안목을 갖는 것이 주교직에는 본질적이다. 그리하여 곤란한 처지에서도 하느님의 세계에 대한 큰 그림과 명령, 즉 하느님 나라에 대한 약속을 위해 기꺼이 우뚝 서야 하는 직분이다. 새로 세워진 마틴 루터 킹 목사 기념비는 하느님의 큰 그림 속에 담긴 명령과 희망을 향해 우뚝 선 그의 사목직을 감동적으로 드러내는 예술적 표현이었다. 지엽적인 사고방식에 머물러 있는 이들은 주교가 되어선 안 된다. 하느님께서는 앞을 바라보며 주위를 둘러보며 좀 더 멀리 보는 이를 부르신다. 반대와 분노에 직면하더라도, 우리가 더 넓게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되새겨주기 위해서 어떤 대가라도 치를 준비가 되어 있는 이를 부르신다.

한편, 이에 대한 어느 독자의 댓글이 인상적이다. “옛날에 주교는 신학자요 선생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주교가 신학자가 아니고, 신학자는 주교가 아니다. 설상가상, 많은 주교들은 신학자들을 못 미더워하고, 많은 신학자들을 주교를 못 미더워한다. 다만, 좋은 선생이며 주교인 분을 주시기를 기도할지니…”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 – 헌사

Thursday, October 7th, 2010

남아프리카 성공회 데스몬드 투투 대주교는 몇 달 전, 사회의 모든 공적 활동에서도 은퇴하겠노라고 선언했다. 종교와 세속을 초월한 진정한 영웅의 퇴장이 아쉬운 탓일까? 언론은 지난 몇 달간 그가 자유와 정의를 위해서 싸운 행동을 되새겼고, 고통 속에서도 웃음과 재치를 잃지 않는 그만의 희망의 낙관주의에 존경의 예를 표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도 그의 투쟁을 기억하겠노라며 그의 퇴장에 헌사를 보냈다.

그 순간, 투투 대주교의 밝은 웃음 뒤로, 남아공의 인종분리정책에 대항하여 싸운 그의 성장과 삶 뒤로 우뚝 선 한 사람이 엿보였다.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1913-1998)이다. 약 20년 전 서울 영국 문화원 한 서가에서 그에 관한 책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그를 처음 만났다. 그 책 어디에선가 투투 대주교는 자기가 어릴 적에 흑인인 어머니에게 모자를 벗어 깊이 머리 숙여 인사하는 백인 한 명을 처음 보았노라고 적었다. 그가 바로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였다.

Fr_Huddleston.jpg

물론 투투 대주교는 남아공 성공회의 최고 성직자(최초의 남아공 흑인 주교)로 성장했고, 넬슨 만델라와 함께 인종분리정책 철폐 운동의 두 기둥이 되었다. 그 둘 뒤에도 역시 허들스턴 신부가 있었다. 허들스턴 신부는 이후 영국에 돌아가 주교로 임명되었고, 인도양 성공회의 대주교를 지냈다. 그러나 남아공의 인종분리정책에 대한 싸움은 쉬지 않았다.

트레버 허들스턴 대주교는 근대 성공회 신학 전통의 매우 중요한 자산인 신학과 실천 운동을 가장 잘 드러내는 인물이다. F.D. 모리스의 그리스도교 사회주의와 찰스 고어의 자유로운 성공회 가톨릭 정신(Liberal Anglo-Catholicism)의 성사주의가 만난 신학과 신앙을 몸으로 실천했던 마지막 거물이었는지도 모른다. 나는 이 전통을 ‘성사적 사회주의'(Sacramental Socialism)이라 부른다.

허들스턴 자신은 찰스 고어 주교가 창립한 부활 공동체(the Community of Resurrection: CR)의 수사 신부였다. 그리고 남아프리카 소피아타운의 CR 수도원에 파견되어 아프리카 사람들을 만났고, 그 만남을 통해서 얻은 해방의 신학으로 제도 교회, 심지어는 자신의 수도회와도 갈등을 겪으며, 복음이 선포하는 해방의 실천을 살았다.

지금 누가 그를 다시 돌아보는가? 그의 전통은 어디에 살아 숨 쉬고 있는가? 여러 핑계 속에서 그의 해방을 향한 목소리는 사라지고, 쉬지 않고 저항하기보다는, 제도 교회에 대한 부정, 혹은 제도 교회로 종속되는 삶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서 우리를 겨우 꾸려가지는 않는가? 그가 “안위 따위는 쓸모없어”(Naught for Your Comfort)라고 외칠 때, 우리는 흠칫 놀라며, 그를 과거에 묻어두려 하지 않는가? 교회는 보수화되고, 어디든 기득권을 가진 이들은 그 자리에 대한 변명을 일삼을 때, 교회는 여전히 “잠만 자고 잠꼬대하는 일”로 제 소명을 다하고 있다고 착각하지 않는가?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나온 여러 헌사 가운데 하나를 찾아, 이곳에 옮겨 읽는다.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 – 헌사1

찰스 빌라-비센치오

남아프리카 소피아타운 사람들은 그를 마칼리필레(Makhalipile)라고 불렀다. ‘두려움을 모르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는 국가의 격노에 맞서는 일에 두려움이 없었으며, 어느 누구도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했던 소피아타운의 어느 지역에서도 생명의 위험을 기꺼이 감수했다. 결국, 그곳의 거의 모든 사람에게서 존경을 받았다.

“허들스턴 신부님은 우리가 엄두도 내지 못하는 곳을 밤새 몇 시간 동안 혼자 걸었어요.” 만델라 대통령은 내가 소피아타운에 대해서 묻자 그렇게 말했다.

“두려움이 없는 분이어서 모든 사람의 지지를 받았어요. 누구도, 깡패들도, 소매치기들도 그분을 건드리지 못했죠. 모두 그분을 너무나 존경했기 때문에 아무도 그분을 해치지 못했는데, 혹시라도 누가 그런다면, 그 사람은 목숨을 내놓고 해야 할 정도였어요. 그분의 위대한 용기가 그런 존경의 공간을 만든 것이죠”라고 만델라는 말했다.

언젠가 허들스턴 신부님을 만났을 때, 나는 이렇게 물었다.

“신부님은 정치적인 사제인가요?”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예. 남아프리카에 도착하는 순간 그렇게 느꼈어요. 제도화된 인종차별과 인종분리정책은 복음과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거든요. 물론 내 소명은 사목하는 것이었어요. 사람들의 영혼과 삶을 돌보는 것이었죠. 그런데 내가 복음에 대해 설교를 하면 할수록 모두 이 체제를 향한 것이 되었고, 그래서 나는 정부와 싸우게 된 것이죠.”

“나는 사제로서 책임이 있는데다, 인종분리정책에 따른 경계선 침해 위반 등으로 체포된 남편들, 아내들, 그 자녀과 형제들, 그리고 다른 가족들을 찾는 일도 해야 했어요. 그리고 많은 사람이 잡범이 되거나 깡패가 되거나 술에 빠져 살았죠.”

“내 선교 사명은 사람들을 구하는 것이었어요.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은 하느님의 자녀이고, 하느님께서 주신 질긴 생명력과 무한한 은사를 가지고 있는 이들이니까요. 복음은 이러한 자원을 창조적이고 책임있는 방법으로 새롭게 쓰라고 요청합니다.”

“나는 남아프리카 흑인들이 놓인 비참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하루 내내, 일주일 내내 그들은 위험을 안고 살고 있었습니다. 인종분리정책(아파라트헤이트)은 절대 용인할 수 없는 악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인간성을 말살하는 범죄이자, 인간 안에 있는 하느님의 모상을 파괴하는 악마적인 권력이라고 보았습니다. 이런 점에서 그것은 신성모독이요,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제거해야 할 것이었습니다.”

“소피아타운에서 지낸 세월은 내게 사랑하는 것과 미워하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가르쳐 줬습니다. 어떤 그리스도인들은 영적이 될 요량으로 자신의 삶 속에서 열정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것이 바로 문제입니다. 사람은 사랑하고 미워하는 것, 함께 슬퍼하고 우는 것, 함께 웃고 승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열정이 넘쳐나는 거칠고 혼란스러운 삶에서 도망치는 일은 비극입니다. 교회는 그동안 사람들에게 열정적인 인간이 되라고 가르치지 못했습니다.”

사실 제도적 교회는 그가 바라는 지원을 하는데 주저했고, 그 때문에 때로 실망하기도 했다. 그는 다른 성직자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케이프타운의 제프리 클레이턴 대주교와 1949년부터 1957년까지 불화한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대주교는 당시 ‘반투 교육령’에 대한 허들스턴 신부의 견해와 행동을 과도한 것이라고 여겼다.

“나는 지금도 반투 교육령이 모든 인종 분리 법령 가운데도 가장 사악한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그 법령은 무고한 어린이들 안에 있는 하느님의 모상과 그 가능성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교회들이 박차고 일어나 한목소리를 냈다면, 무시무시한 그 반투 교육령은 철회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정작 교회는 이 법령에 반대하는 우리를 힐난했습니다. 이것을 보고 정부 권력자들은 교회가 저항을 그만두리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들이 옳았습니다.”

결국, 소피아타운의 그리스도 왕 교회의 신실한 신자요 세인트 피터스 칼리지 졸업생이었던 올리버 탐보를 공산주의자 진압령으로 유죄를 선고했을 때, 허들스턴 신부가 보기에 교회는 한없이 비겁했다. 허들스턴 신부는 이렇게 말했다.

“교회의 침묵과 무관심, 그리고 항복은 자신의 귀를 틀어 막는 일입니다.”

“교회는 잠만 자고 있다”는 제목으로 그가 옵서버지에 기고하자, 교회는 경악을 감추지 못했다. 허들스턴 신부는 G.K. 체스터튼의 “백마의 발라드”를 인용해 이렇게 말했다.

“내가 말하는데, 너의 안위 따위는 쓸모없어
“그래, 너의 욕망 따위는 쓸모없다고.
“하늘이 어두워지기 전에 그것을 구해야 해.
“바다가 더 높아지기 전에.”

그는 이렇게 썼다. “교회는 잠만 자고 있다. 종종 잠꼬대하기도 한다. 그걸 정부가 들을 것이라 기대하면서(기대나 하는 것일까?) 말이다.”

허들스턴 신부에게 오늘날 교회에 대해서 물었다. “아, 많은 게 변했죠. 내가 소피아타운에 있을 때만 해도, 해방신학에 대해 들어본 사람이 없었어요. 아프리카 사람들의 목소리는 교회 안에서 거의 들리지 않았죠. 여전히 교회는 요구되는 사명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그전과는 다르기도 하고요.”

트레버 허들스턴 대주교는 1998년 4월 20일, 자신이 1939년 입회했던 영국 머필드 부활 공동체 수도원에서 별세했다. 그의 재는 남아프리카 소피아타운에 뿌려졌다.

  1. Charles Villa-Vicencio, “Father Trevor Huddleston: A Tribute,” Journal of Theology for Southern Africa 101(July 1998):69-70. []

R.S. 토마스 – “시골 성직자”

Monday, August 23rd, 2010

최근 여러 차례 바다 건너로 여러 동료 성직자 벗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들의 어려운 처지와 여러 고민을 모두 헤아릴 수 없는 마당에 조용히 기도할 때마다 그들의 얼굴을 기억하고는 했다. 잠시 쉬는 참에 찾아 읽는, R.S. 토마스(성공회 사제, 시인)의 시 한 편은 그들에 대한 생각을 사무치게 한다. 시인의 얼굴처럼 그들과 나도 변하고 늙어가겠지. 울컥하는 마음을 가다듬어, 허튼 번역을 올린다. 마지막까지 하느님께서 그들을 기억하시리니, 그들은 복되어라.

R-S-Thomas-young.jpg R-S-Thomas-old.jpg

시골 성직자

R. S. 토마스

보나니, 그들은 낡은 사제관에서 일하고 있네
햇살을 옆에 두고, 촛불을 곁에 두고
고귀한 이들, 그들의 검은 옷은
약간의 먼지에 덮이고, 색바랜 푸른 빛마저 감돌고
곰팡이마저 거룩하게 피어 있네. 그러나 그들의 두개골은
그 많은 기도로 원숙하나
무덤에 묻혔으니
무지렁이 시골뜨기들과 나누는 무덤. 그들은 아무 책도 남기지 않았네
그들의 외로운 생각이 담긴 비망록도
그 낡은 회색 성당에. 다만, 그들은
사람들의 마음에, 어린아이들의 머리 위에
고결한 말들을 적었으니
너무 빨리 잊히리. 하느님께서 그의 때에
혹은 시간이 끝나는 날, 이를 고치시리라.


R. S. Thomas (1913-2000), “The Country Clergy” (1958)
번역: 주낙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