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덫, 닻, 돛

Sunday, October 22nd, 2017

gogh_sea_boat.png

신앙의 덫, 닻, 돛 (마태 22:15-22)

마음에서는 하늘과 이상을 꿈꾸더라도 몸담은 현실의 유혹과 갈등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하늘과 땅의 경계 안에서 항상 흔들리며 삽니다. 오히려 너무 쉽게 하늘의 신앙을 확신하며 세상을 초탈했다는 주장을 경계해야 합니다. 세상 풍파에 흔들리는 마음의 연약함을 악용하여 신앙의 덫을 놓는 협잡꾼이 세상에 많습니다.

안타깝지만 종교 공동체에도 교묘한 논리와 산뜻한 입발림으로 함정을 파거나 근거 없는 뒷말로 신뢰를 흩어버리는 행태가 적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사람의 안녕을 미끼로 친 덫을 식별하고, 풍파 속에서도 우리를 하느님께 붙들어 매는 신앙의 닻을 신뢰하고, 그리스도의 바람을 따라 돛을 올려 신앙의 순례를 계속합니다. 말과 발음처럼 혼동하기 쉬운 신앙의 덫과 닻과 돛을 식별하는 신앙이 간절합니다.

– 한 사람을 무너뜨리겠다는 생각이 위선의 야합을 만듭니다. 로마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민족주의자 바리사이파와 로마 제국의 앞잡이인 헤로데 당원이 협잡하여 예수님을 함정에 빠뜨리려 합니다. 공동의 적이 생기면 그동안 적이었던 사람도 친구로 변합니다. 적과 친구를 정의의 잣대로 구분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에 따라 아침저녁으로 바꿉니다. 이들의 합동작전이 아침에는 잠시 성공할지 몰라도, 저녁에는 서로 배신하여 물고 뜯고 맙니다. 우리 사회의 인간관계나 정치 행태가 이와 같아 안타깝습니다. 트집을 잡고 덫을 놓으려는 행태는 머지않아 자중지란에 빠집니다. 신앙인은 이 애처로운 일에 눈길을 주지 않습니다.

– 신앙인은 세상 풍파의 출렁임에 의연합니다. 우리 삶이 흔들린다 해도 깊고 굳건한 바닥에 닻을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삶의 크고 작은 풍파를 없애주는 분이 아니라, 우리 삶이 표류하지 않게 하는 근거입니다. 신앙인은 흔들리는 삶을 오히려 더 큰 파도를 넘는 훈련과 준비로 삼습니다. 더 깊고 큰 하느님에 기댄 사람은 세상이 유혹하려고 뿌리는 거짓 선전과 선동에 귀와 입을 빌려주지 않습니다.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을 분명히 식별하여, 처세와 지위로 위장한 거짓 권력마저도 끝내는 하느님의 더 크신 권위 아래 복종한다는 진실을 확인합니다.

– 풍파를 넘은 항해로만 우리 신앙은 성숙하고 하느님 나라를 향해 순례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순례는 그리스도의 삶이 역사에 불어넣은 바람을 타고 전진합니다. 모함을 이기고 정의를 세우며 사랑을 펼치는 그리스도의 바람을 온몸에 받는 돛을 높이 세웁니다.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바람 방향에 돛을 부지런히 움직이며, 교회의 가르침과 전통 안에서 지도를 확인하고, 신앙의 배움과 전례로 단련된 근육으로 노를 저어나갑니다. 이 풍파의 바다를 피하거나 우리의 수고를 다하지 않고서는 전진은 없습니다. 신앙인은 카이사르라는 세상의 풍파 위에 하느님의 항로를 그려내며 살아갑니다. 교회의 임무이며 신앙인의 책임입니다.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Sunday, October 15th, 2017

Swanson_Celebration.jpg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마태 22:1-14)

성찬례는 하느님 나라의 풍성한 잔치를 미리 맛보는 일입니다. 하느님이 마련하신 잔치의 목적은 뚜렷합니다. 하느님의 창조 세계와 그 생명을 함께 축하하고 즐기라는 초대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치와 경제는 이 초대를 자주 위태롭게 합니다. 울타리를 치고 몇몇이 독식하거나 갖가지 인맥과 이권이 만든 차별의 벽을 높이 쌓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에 맞서 하느님의 잔치를 이어가십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는 흥을 이어가시려 좋은 포도주를 제공하시고, 배고픈 이들의 처지를 측은히 여겨 배부르게 먹고 남도록 풍성히 차려 주십니다. 세상 기준으로 손가락질받는 이들을 초대하여 먹고 마시는 일로 기꺼이 그들의 동료가 되십니다. 그 잔칫상은 자신의 몸을 제자와 친구에게 내어주는 일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마침내, 새로운 생명을 축하하는 부활 잔치의 성찬례로 완성됩니다. 난해한 오늘 복음의 혼인 잔치 비유는 이 맥락에서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잔치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초대하려는 의지마저 돋보입니다. 그러나 함께 참여하여 누릴 잔치의 흥을 깨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의 사적인 성취와 손익 계산에 따라 참여를 거부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초대가 사적인 이익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판단하여 폭력으로 자기 이익을 보호하려 합니다. 하느님 나라의 신앙은 손익계산을 넘어설 때 다가오는데도 말입니다. 최근 세계의 정치경제, 그리고 우리 주변 상황과도 무척 닮았습니다. 이런 일이 계속되면 세상은 파국으로 치닫습니다.

새로운 초대에 응답하여 자신의 태도를 바꿀 때 희망이 열립니다. ‘나쁜 사람 좋은 사람’할 것 없이, 모두 생명 잔치의 혜택을 누려야 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하느님의 단비가 차별 없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잔치에 참여했다면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맞는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세상을 벗어나 신앙의 길에 초대받는 은총을 누렸다면, 자신에게 친숙한 세상의 관습을 버리고 신앙과 은총의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하느님의 잔칫상에 둘러 모인 사람은 나이와 성별, 학력과 재력, 오래된 이와 새로운 이의 구분을 넘습니다. 사람따라 존대하거나 친근하다는 빌미를 대며 반말로 하대하지 않습니다. 초대받은 손님으로서 서로 존중하고 존경하며, 서로 좋은 것을 권하고 보살피는 예법을 따릅니다.

신앙 공동체는 성찬례로 하느님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나눕니다. 세상의 삶이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더라도, 교회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에서만은 새로운 행동과 예법으로 살며 훈련합니다. 우리 모두 하느님의 손님인 사람이기에 어떤 사람도 함부로 대할 수 없습니다. 신앙의 예법을 무시하는 교회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14절)는 한탄 앞에 서게 됩니다. 우리는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여 생명의 기쁨을 서로 축하하고 서로 드높이며 살아갑니다. 교회는 이 생명 존중의 기쁨을 널리 퍼뜨리는 공동체입니다.

회개와 순종의 권위

Sunday, October 1st, 2017

two_sons.jpg

회개와 순종의 권위 (마태 21:23-32)

기쁘고 여유로운 명절이 다가옵니다. 가족이 기쁘게 모여 안부를 물으며 소홀했던 사랑을 나누기를 기대합니다. 한편, 명절 안부에 조금 조심하여 마음을 써달라는 부탁도 회자합니다. 졸업은 언제 하느냐, 취직은 언제 하느냐, 결혼 계획은 있느냐는 말을 피해달라는 당부입니다. 친구나 친척의 자녀를 예를 들어 비교할라치면 명절 분위기 한순간에 망치기에 십상입니다. 지켜보는 답답함이 큰 탓이겠지만, 당사자의 마음고생을 더 깊이 헤아려 주면 더 큰 격려가 됩니다. 어른의 권위는 여기서 나옵니다. 사람이 바라는 때와 하느님께서 마련하시는 때가 다르다는 신앙의 지혜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오늘 복음 이야기는 사람의 기대와 하느님의 뜻 가운데 삶의 판단 기준을 어디에 둘지 묻습니다. 예수님을 의심하는 대사제들과 원로들의 태도는 우리 삶과 가정, 교회와 사회 안에서 권위를 둘러싼 갈등을 비춥니다. 성전을 오래 지킨 대사제들과 원로들은 이미 권력을 누리며 판단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때 낯설고 젊은 예수님이 등장하니 기득권에 위협을 느낍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세운 지위와 하느님의 새로운 도전 가운데 무엇을 신뢰할지 되물으십니다.

신앙인은 모든 권위가 하느님에게서 나온다고 믿습니다. 자신이 만든 권위는 없다고 믿습니다. 자신의 경험과 지위로 판단하지 않고, 하느님 보시기에 옳은 일인지 식별하여 따를 때 신앙의 권위가 굳게 섭니다. 하느님의 너그러운 인내를 생각하며 자녀의 성장과 미래를 격려할 때 부모는 권위를 얻습니다. 공동체나 사회의 갈등을 풀려면 저마다 지닌 경험과 주장을 내려놓고 하느님께서 초대하시는 새로운 도전과 모험에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작거나 크거나, 낮으나 높으나, 누구든 하느님께 순종하고 복음 선포에 헌신할 때 자신도 존중받고 교회의 권위와 질서가 바로 잡힙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신앙인의 권위는 하느님을 향한 예배와 헌신, 이웃을 향한 봉사와 선교에서 나옵니다. 그 방향이 혹시라도 자신의 업적과 지위를 향하면, 사람은 교회에서든 사회에서든 업적과 소유 경쟁으로 빠져듭니다. 이 다툼과 불화가 바로 우리 인간의 죄입니다. 죄는 어떤 법의 위반 여부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자신의 본질을 훼손하는 일이 죄입니다. 인간의 본질은 공동체 안에서 하느님의 은총을 올바르게 누리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이를 깨닫고 언제든 돌아와 회개하고, 하느님의 뜻에 자신을 다시 조율하며 순종합니다. 이 회개와 순종때문에 “세리와 창녀들이 먼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갑니다”(31절).

오늘 서신서 본문의 아름다운 성육신 찬가처럼, 예수님은 “하느님과 본질이 같으셨으나 동등한 존재가 되려 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의 것을 다 내어놓고, 자신을 낮추셔서 죽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필립 2:6-8). 이 명절은 사랑의 기다림 끝에 돌아오는 가족과 자녀를 다시 맞이하는 시간입니다. 서로 겸손하게 격려하며, 서로 사랑으로 순종할 때, 하느님은 우리 가족과 교회 안에 보름달처럼 풍성한 복락을 내리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