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Saturday, August 25th, 2018

st_augustine_hippo.png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주교 축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북부 아프리카 히포의 주교 어거스틴(라틴명: 아우구스티누스, 354-430년)은 ‘서방 교회’ 역사상 최고의 신학자로 꼽힌다. 그의 신학은 서방 교회의 형제인 천주교와 성공회, 그리고 모든 개신교에 영향을 주었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외쳤던 ‘성서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어거스틴 신학을 다시 살려내자’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의 신학은 초대 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종합하여 중세 교회를 열었다. 그는 진리를 향한 여정을 멈추지 않았고, 마침내 그리스도교 신앙의 순례를 새롭게 열었다.

어거스틴은 로마 제국의 변방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었던 어머니 모니카가 그를 그리스도인으로 키웠으나 세례는 받지 않았다. 당시 최고 교육을 받으며 법률가가 되려 했으나, 점차 플라톤 철학에 관심을 두고 학자와 교수의 길로 나섰다. 그는 한동안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마니교’에 빠져 어머니의 신앙에서 멀어졌다. 마니교는 세계를 ‘영와 물질’, ‘빛과 어둠’, ‘선과 악’으로 나누고, 두 세력의 싸움으로 우주와 인간의 흥망성쇠를 설명했다. 이 매력적인 이분법과 이원론은 세상을 확고하게 관통하고픈 젊은 어거스틴을 사로잡았다.

그는 마니교의 확실한 이론 체계가 실은 닫힌 사고라는 점을 서서히 알아차렸다. 스스로 영성 엘리트들이라 뻐기던 ‘영지주의자’들의 교만과 무책임한 태도를 확인했다. 그는 머물지 않고 배움의 여행을 계속하되, 얕게 걷지 않고 자신을 던져 그 깊이와 한계를 체험하며 나갔다.

마침내 그는 그리스도교로 돌아왔다. 어머니 모니카의 깊은 기도 때문이라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더 큰 영향을 준 인물은 당시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스 성인(340-397년)이었다. 처음에는 수사학에 뛰어난 주교에게서 논리 기술이나 배우려 했지만, 차츰 그리스도교 신앙의 논리와 깊이에 매료됐다. 그가 사막 수도자 안토니오 성인의 생애를 읽을 때 환청이 들려 펼쳐 읽었다는 로마서 구절은 그의 회심을 이끌었다. “진탕 마시고 취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로마 13:13-14).

그가 방탕하며 살았다는 고백은 신앙적인 과장도 섞여 있다. 결혼하지 않고 십수 년을 함께 살았던 연인과 헤어진 일로 마음의 큰 상처를 겪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이 여인이 받았을 상처에는 말이 없다. 그는 여기서 얻은 아들과 함께 암브로스 주교에게서 세례를 받는다. 아들은 젊은 나이에 죽는다. 이후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사제가 되고 4년 후에는 주교가 된다. 이후 탁월한 신학자 주교로서 성서 해석과 교리에 관한 저작으로 ‘서방 교회’ 신학의 주춧돌을 놓는다.

그의 유산에는 그늘도 있다. 그의 신학은 마니교의 이분법과 이원론을 완전히 떨치지 못했다는 비판이 꽤 있다. 과거 생활의 죄책감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고, 죄와 악에 관해 집착했다. 그는 교회에 ‘원죄’ 신학을 심어 놓았다. 결혼 후의 성관계도 불가피한 악이라며, 이마저 아기를 갖기 위해서만 용인된다고 했다. 급기야 원죄는 성관계로 유전된다고 주장했다. 이후 교회는 여기에 머물렀고, 바울로 신학을 어거스틴의 눈으로만 읽게 만들었다.

어거스틴의 순례는 계속돼야 한다. 그의 순례가 시대의 그늘 안에 갇히지 않게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고맙게도, 마이클 마셜의 책 <순례를 떠나다>(비아, 2018)는 어거스틴과 함께 걷는 새로운 신앙 순례를 안내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8월 25일 치 []

오래된 미래 – 성공회

Sunday, June 24th, 2018

Ancient_Futures.png

오래된 미래 – 성공회1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성공회신학)

<오래된 미래> Ancient Futures 라는 책은 1991년 출간되어 현대인의 삶에 깊은 성찰을 제시했습니다. 히말라야 자락 ‘라다크’ 사람들의 전통과 변화를 살피며 새로운 삶의 대안을 고민하도록 합니다. 우리가 자주 잊거나 잃은 가치를 되새겨 줍니다. 불행하고 절망하는 삶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이를 넘어서는 방법에 관한 고민과 지혜를 나누려 합니다.

라다크 사람들은 ‘전통’의 지혜 안에서 생태 친화적인 공동체로 살았습니다. ‘전통’은 혹독한 자연환경을 견디며 터득한 선조의 지혜와 가치입니다. 세대 간 협력과 공동 소유, 검소한 생활의 실천이기도 합니다. 이런 생각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관광 개발이 시작되어 실제로 생활 편의는 나아졌지만, 사람들은 더 가난하다고 느끼고 공동체 문화도 부서지기 시작했습니다. 과거로 돌아가거나 현대화의 홍수에 몸을 맡긴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전통의 가치와 현대의 흐름을 새롭게 접붙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오래된 미래’는 성공회의 전통과 고민에 딱 맞는 말입니다. 실제로 성공회 신자이자 예배학자로서 개신교 신학교에서 오래 가르친 로버트 웨버 교수가 이 말을 교회와 전례에 적용해서 반성을 이어갔습니다. 교회는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너무 쉽게 예배와 신학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운 변화에만 눈을 돌렸습니다. 전통을 시대와 관습에 가두어 기득권을 휘두르는 세력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전통의 근거와 성찰의 거울이 부족한 채 시도하는 ‘새로운 변화’는 매혹적일지 몰라도 자주 위태롭습니다. 교회를 성사(sacrament)와 역사의 실체로서 살지 못하면 친목 단체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개혁과 대안의 실상이 의도와는 반대로 개인주의와 영성주의로 미끄러지는 이유입니다. 그 결말은 대체로 종교 상품화과 소비주의입니다.

성공회는 신앙의 ‘오래된 미래’입니다. 초대교회 전통에서 길어 올린 예배와 신앙의 가치로 사려 깊게 자신을 빚어내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교리에만 얽매이지 않고, 현대 학문에서 배우고 대화하며 오늘의 문제들과 정직하게 씨름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예배는 오랜 신앙의 선조들과 함께 하느님을 찬양하도록 초대합니다. 켜켜이 쌓인 역사를 전례 안에서 체득하고 음미하여 새로운 시공간을 상상하고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교리와 신학은 신앙의 가치를 오늘에 되살리려고 정직하게 흔들리며 배웁니다. 그 흔들림이 아름다운 교회입니다. 교회는 예배와 배움 안에 모인 사람들이 부족하나마 함께 모여 하느님 나라를 미리 맛보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미래인 성공회는 당장 시원하지만 갈증만 더하는 ‘사이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깊은 우물에서 길어 올린 맑은 정직한 생수를 나누려 합니다. 당장 손에 잡히는 생색내기 성과로 사람을 탈진하게 하지 않습니다. 다만, 오래 곰삭아 빚어진 맛과 영양의 잔치를 널리 나누려 합니다. 음식을 내는 오래된 그릇이 조금 답답하고, 시중드는 걸음이 흔들려 조금 못 미더워도, 서로 받아주고 견디어 순례의 잔치를 이어갑니다.

오래된 미래의 잔치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8년 6월 24일 치 []

[전례력 연재]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

Saturday, June 9th, 2018

Trinity_Celtic_Green.png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과 관련하여 <1965년 공도문>과 <2004년 기도서>의 큰 차이 하나는 성령강림주일 이후 시기의 명칭이다. <공도문>은 이 시기를 ‘성삼후’(성 삼위일체주일 이후)로 불렀지만, <기도서>는 뜻이 불분명하고 밋밋한 ‘연중시기’라고 이름 붙였다. 1960년대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을 그대로 따라 한 결과다. 천주교 내부에서도 말 많은 명칭을 성공회가 한참 후에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1960년대라면, 우리 <공도문>이 나온 바로 그즈음인데, 우리 전통을 깊이 헤아리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천주교는 ‘연중’이라는 말은 라틴어 ‘오디나리우스’에서 번역했다. 그러나 같은 말인데도 쓰임새가 서로 달랐다. 교회에서는 ‘전례의 질서’를 뜻했지만, 세상에서는 ‘그저 보통’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전례의 시간과 주일은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에 그렇게 부를 수 없다. 이 문제를 알아차린 몇몇 성공회 기도서는 ‘연중-보통’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정’(Proper)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지만, 교회의 깊은 전통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표현이다.

서방교회에서 성 삼위일체 주일 관습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하는 이들이 세력을 얻자, 지역 주교들이 정통 교리를 되새겨 강조하는 뜻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이 축일을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로 공식 확정한 때는 14세기이다. 이러한 결정에는 그 4백 년 사이에 영국교회에 뿌리내렸던 전통 때문이라는 주장이 높다. 후에 순교자로 잘 알려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케트(1118-1170년)는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에 성품됐고, 이후로 이 주일을 성삼위일체를 기리는 주일로 지키게 해서 널리 퍼졌다. 그런 탓인지, 영국교회 전례 전통인 ‘사룸 Sarum 전례’는 이후 주일을 모두 ‘성삼후 주일’로 불렀다. 아무래도 우리 <공도문>은 이 전통 아래 있다고 하겠다.

동방교회는 사정이 다르고 울림이 더 크다. 성령강림주일과 성삼위일체주일이 같다. 부활절기의 절정으로서 성령강림사건을 되새겼고, 부활 사건 안에서 구원을 완성하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과 행동에 감사하고 경배하려는 뜻이었다. 부활절기에서 똑 떼어 성령강림 사건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탄생’이라고 풀이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교회는 부활로 얻은 새 생명의 공동체가 성령으로 축성되어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참여하고 일치하면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정교회가 그 다음 주일을 ‘모든 성인의 주일’로 지키는 관습은 이러한 신학적 일관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미 채택한 ‘연중시기’라는 표현은 언젠가 바로 잡았으면 한다. 그 전에 우선 ‘성삼후 시기’는 ‘연중’ 내내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펼치신 구원 행동을 우리 신앙인과 교회의 몸에 되새기는 시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이 시기는 우주와 생명을 창조하시고, 사랑과 희생을 인간을 치유하고 회복하시며, 해방과 자유를 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우리 삶을 포개는 훈련의 시간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처럼 세상이 겪는 기쁨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 서로 참아주고 환대하며, 함께 시련을 이겨내며 희망을 만들어 가는 실천의 시간이다. 푸르른 생명의 상징인 ‘녹색’을 입고 장식하여 생명을 향한 수고와 땀으로 그 열매를 맺어가는 시간이다. 이때 우리는 전례력의 막바지에서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다스리시는 하느님 나라를 만날 수 있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6월 9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