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평화를 다짐하는 교회

Sunday, June 25th, 2017
james-ensor-entry-of-christ-into-brussels-18881.jpg
(제임스 엔서, “1889년 예수님의 브뤼셀 입성” – 1888년)

하느님의 평화를 다짐하는 교회 (마태 10:24-39)

우리 한국 현대사에 드리운 ‘6.25’라는 그늘과 상처는 어둡고 쓰라립니다. 마음의 그늘은 우리 마음에 어두운 눈을 만들어 걸핏하면 미움의 시선을 주고받게 합니다. 육체가 겪은 상처와 흔적은 쓰라린 기억을 생생하게 되살려 성난 원망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런 감정의 상흔은 냉철하게 역사를 보는 눈을 가립니다. 대다수 선량한 사람들이 희생자와 피해자였던 역사의 사실은 종종 잊혀집니다. 이 잔혹한 전쟁놀음을 만들었던 소수의 정치 권력자들의 책임은 온데간데없습니다. 오히려 책임을 회피하고 진실을 가리려고 아직도 불화를 부추기고 긴장감과 적대감을 조성합니다.

예수님은 역사의 그늘과 상처를 치유하러 오십니다. 자기 멋대로 부리는 세상 정치권력의 역사를 그치고, 하느님의 평화를 선사하시려고 제자를 부르십니다. 예수님의 치유는 세상이 만든 ‘거짓 평화’를 이겨내어 하느님이 주시는 ‘참된 평화’로 바꾸려는 행동입니다. 세상의 현실에 비추어 보면, 예수님의 선택은 현실성이 없고 힘도 없고 희망이 없는 듯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스승’과 ‘주인’으로서 희망의 길을 몸소 걸으며 보여주십니다.

‘스승만해지고 주인만해지는 삶’은 예수님의 길을 선택하라는 당부입니다. 예수님께 충실히 배우지 않고, 다른 종교에서 유행하는 사조와 방식을 함부로 끌어올 수 없다는 말입니다. 우리 교회 전통에서 깊이 길어 올리지 않고, 지금 성공을 과시하는 다른 일들에 성급하게 눈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과 교회 전통에서 배우는 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보기에 탐스러운 유혹은 강렬하지만, 짧고 허망합니다. 묵고 바랜 듯한 진실은 고되고 오랜 인내의 훈련으로만 빛을 내고 열매를 맺습니다. 남을 빌어 자기 스승을 금세 넘을 요량이 아니라, ‘스승’의 삶을 그대로 본떠서 몸을 만들어야 합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그리스도를 닮아 만든 몸을 ‘교회’라고 부릅니다. 교회의 신앙은 그리스도를 스승으로 모시고, 교회 전통이 마련한 훈련법에 따라, 동료 신앙인과 더불어 그리스도와 겹쳐 사는 삶입니다. 이 신앙이 우리에게 참된 해방과 자유의 삶을 마련해 줍니다(로마서 6:1-11). 이 신앙이 세상의 권력자가 만든 역사가 아니라, 하느님이 펼치시는 역사의 진실을 보게 합니다. 모든 사람을 해방하고 자유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시선으로 훈련한 눈과 손길만이 권력자가 만든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화해와 평화의 길을 열어줍니다.

우리 신앙인은 ‘세상의 평화’를 물리치고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려고 분투합니다. 생명을 빼앗는 권력의 칼에 맞서, 썩고 병든 곳을 도려내어 생명을 살리는 예수의 칼을 사용합니다. 그 모습이 종종 거칠고 서로 맞서는 일이더라도, 하느님의 역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려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우리 사회와 교회의 역사는 어느 길을 걷고 있나요? 역사의 상흔 앞에서 우리의 감정을 지배하는 힘은 세상인가요, 하느님인가요? 우리는 이 아픈 역사를 기억하면서 하느님의 평화를 선택하기로 다짐합니다. 이것이 두려움 없이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신앙이니까요.

[전례력 연재] 나마스테 !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Saturday, May 27th, 2017

Visitation_14th_C.png

나마스테!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5월 31일)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마리아는 길을 떠나 걸음을 서둘러 유다 산골에 있는 한 동네를 찾아가서 즈가리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을 드렸다”(루가 1:39-40).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수태고지를 받은 마리아는 비슷한 경험으로 아기를 가진 사촌 엘리사벳을 방문했다는 이야기이다.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여서 일찍부터 기념했으리라 생각하지만,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을 축일로 정한 일은 13세기에 들어서다. 중세 때 성모 마리아 신심이 널리 퍼지면서 성모에 관한 여러 사건을 축일로 정했다. 그 탓에 이 축일은 오직 서방교회에만 있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몇몇 정교회가 이 축일을 도입했다. 원래 날짜는 7월 2일이었다.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6월 24일)의 팔일부가 끝나는 시점으로 정한 것이다. 이 관습은 1960년대 말까지 이어졌다. 1965년 판 한국 성공회 기도서도 이 날짜에 ‘성모 왕문 성 엘리사벳’ 축일을 지켰다.

지금처럼 5월 31일로 고친 것은 1969년부터다. 성서 이야기와 시간의 흐름에 한결 걸맞기 때문이다. 임신한 마리아는 만삭의 엘리사벳을 찾아갔고(5월 31일) 석 달 정도 머물렀다. 그동안 세례자 요한의 탄생(6월 24일)을 보았겠고 산후조리도 도왔을 테다. 그렇다면 이 축일의 주제도 달라진다. 현재 본기도는 중세 전통을 따라 마리아가 받은 축복과 순종에 초점을 맞추지만, 실은 아기를 가진 두 여인의 만남이 더 중요하다. 그들은 자기 몸과 삶에 나타난 당황스러운 일을 함께 나누며 서로 격려하고 도우며 보살핀다. 이때 더 깊고 큰 만남이 펼쳐진다.

“문안의 말씀이 내 귀를 울렸을 때에 내 태중의 아기도 기뻐하며 뛰놀았습니다”(루가 1:44). 두 사람은 하느님께서 일으키신 두렵고 당황스러운 일, 그러나 신비하고 거룩한 일을 받아들여 자기 몸속에 품었다. 그 몸 안에 있는 거룩한 생명이 오히려 두 사람의 만남을 이끌었다. 두 사람이 나누는 축복의 인사는 태중에 있는 거룩한 아기들이 서로 알아보고 기뻐하는 만남이다.

‘나마스테’ – 인도와 네팔에서 사람이 서로 만날 때 합장하며 고개 숙여 나누는 인사말이다. ‘내 안에 있는 하느님이 그대 안에 있는 하느님께 문안합니다’라는 뜻이다. 마리아와 엘리사벳가 나눈 인사는 분명 ‘나마스테’의 인사이다. 태중의 예수와 세례자 요한이 서로 알아보고 인사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을 품은 마리아와 하느님의 약속을 품은 엘리사벳의 정중한 만남과 예의는 우리 신앙인의 사표다. 그들을 따라 우리 몸 안에 모셔 우리 안에 사시는 하느님께 인사한다. 성찬례의 영성체로 ‘그리스도’를 성체로 보혈로 우리 몸에 모시기 때문이다. 신앙인은 모두 하느님을 모시고 품은 사람이다. 서로 함부로 대할 수 없다. 존경과 예의 없이 하대하거나 반말할 수 없다. 서로 예의를 차려 존중하고 격려하고 보살펴야 한다.

이처럼 정중하고 거룩한 만남의 기쁨에서 마리아의 찬가가 울려난다. 신앙인은 다른 사람 안에 머무시는 하느님을 두렵고 설레는 마음으로 바라본다. 우리 안의 교만함과 권세를 내치시는 하느님을 목격하며, 비천한 이들을 높이시는 하느님을 찬양한다. 나마스테!

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Sunday, May 7th, 2017

 cathedral_seoul.jpg

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요한 10:1~10)


유혹은 늘 달콤합니다. 나쁜 소문은 귀에 더 솔깃합니다. 진실을 가리고 세상을 어지럽히는 거짓 뉴스는 달콤하고 솔깃합니다. 보통 사람은 기존의 생각과 주장에 도전받기보다는 지지받고 싶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앙인은 새로운 도전 속에서 조금은 불편할지라도 진실한 목소리를 찾습니다. 거친 주장과 혼란한 잡음에 묻힌 희미한 진실에 귀 기울이고, 숨은 듯한 작은 싹을 눈여겨 발견합니다. 오늘 예수님 말씀대로, 작고 허름해도 그가 참된 목자이면 양들은 그 목소리를 알아듣습니다. 한눈팔지 않고 목자를 따릅니다. 목자는 온 힘을 다하여 양들에게 생명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가정은 진실한 사랑의 목소리를 식별하는 훈련의 공간입니다. 가정에서 우리는 사랑의 음성이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너무나 가까운 탓에 오히려 가정에서 서로 함부로 대하기 쉽습니다. 넘치는 사랑에서 나온 기대와 욕심으로 부모 자녀 사이에서 서로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합니다. 사랑이 오해에 자리를 넘겨주어 갈등과 상처가 생기기도 합니다. 세월이 한참 지난 후에야, 가족이 서로 멀어진 후에야, 오해 아닌 사랑을 깨달을라치면 이미 시간이 늦기 일쑤입니다. 자신의 욕심과 기대에 사랑을 묻어버리지 말고, 순간마다 작고 따뜻한 음성으로 서로 길들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세상의 거친 소음 속에서도 그 작은 사랑의 목소리를 잊지 않고 알아듣도록 우리의 마음과 귀를 매일 훈련해야 합니다.

교회는 사랑의 목소리를 더 큰 가족 안에서 나누는 평화의 공간입니다. 신앙인은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룹니다. 목자이신 그리스도의 이름 아래 새로운 가족이 되어 저마다 지닌 생명의 가치와 선물을 함께 축하하고 격려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모인 공동체이니 갈등과 불화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신앙 공동체는 자신의 주장과 식견이 아니라, 사랑이신 그리스도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고, 그리스도의 모습에 눈을 돌려서 우리의 길을 걷습니다. 자신과 자기주장을 기준으로 서로 맞서지 않고, 자기 너머에 있는 그리스도의 삶과 부활에 눈을 돌려 서로 맞선 시선을 같은 방향으로 돌려 맞춥니다. 참된 목자를 따르는 참된 양의 신앙입니다.

오래 전에 온갖 땀과 수고로 이곳에 세워진 서울주교좌성당은 사랑의 가정이고 평화의 성전입니다. 아기 예수님을 품으신 성모 마리아의 자애로움을 닮으려는 공동체입니다. 니콜라 성인처럼 미래세대 어린이 청소년 청년들과 세상의 힘없는 사람들을 껴안아 보살피고 선물을 듬뿍 나누려는 손길입니다. 어머니 마리아 성인의 염려와 기도와 사랑의 음성이 우리 자신과 우리 가정에 더 넘쳐나야 합니다. 보살피며 이끄는 목자 니콜라 성인의 기도와 베풂의 손길이 세상에 더 널리 펼쳐져야 합니다.

126년 전에 설립하여 축성 91년을 맞은 서울주교좌성당은 삭막한 도심에서 꽃과 나무의 생명을 보존하며 겸손하고 너른 품으로 지친 사람을 초대하는 쉼터입니다. 사랑과 평화를 실천하는 우리 가정과 우리 교회는 세상의 거짓을 넘어 진실을 알아듣고, 미움을 넘어 사랑으로 감싸고, 갈등을 넘어 평화를 만드는 성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