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성공회' Category

[전례력 연재]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

Saturday, June 9th, 2018

Trinity_Celtic_Green.png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과 관련하여 <1965년 공도문>과 <2004년 기도서>의 큰 차이 하나는 성령강림주일 이후 시기의 명칭이다. <공도문>은 이 시기를 ‘성삼후’(성 삼위일체주일 이후)로 불렀지만, <기도서>는 뜻이 불분명하고 밋밋한 ‘연중시기’라고 이름 붙였다. 1960년대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을 그대로 따라 한 결과다. 천주교 내부에서도 말 많은 명칭을 성공회가 한참 후에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1960년대라면, 우리 <공도문>이 나온 바로 그즈음인데, 우리 전통을 깊이 헤아리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천주교는 ‘연중’이라는 말은 라틴어 ‘오디나리우스’에서 번역했다. 그러나 같은 말인데도 쓰임새가 서로 달랐다. 교회에서는 ‘전례의 질서’를 뜻했지만, 세상에서는 ‘그저 보통’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전례의 시간과 주일은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에 그렇게 부를 수 없다. 이 문제를 알아차린 몇몇 성공회 기도서는 ‘연중-보통’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정’(Proper)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지만, 교회의 깊은 전통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표현이다.

서방교회에서 성 삼위일체 주일 관습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하는 이들이 세력을 얻자, 지역 주교들이 정통 교리를 되새겨 강조하는 뜻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이 축일을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로 공식 확정한 때는 14세기이다. 이러한 결정에는 그 4백 년 사이에 영국교회에 뿌리내렸던 전통 때문이라는 주장이 높다. 후에 순교자로 잘 알려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케트(1118-1170년)는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에 성품됐고, 이후로 이 주일을 성삼위일체를 기리는 주일로 지키게 해서 널리 퍼졌다. 그런 탓인지, 영국교회 전례 전통인 ‘사룸 Sarum 전례’는 이후 주일을 모두 ‘성삼후 주일’로 불렀다. 아무래도 우리 <공도문>은 이 전통 아래 있다고 하겠다.

동방교회는 사정이 다르고 울림이 더 크다. 성령강림주일과 성삼위일체주일이 같다. 부활절기의 절정으로서 성령강림사건을 되새겼고, 부활 사건 안에서 구원을 완성하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과 행동에 감사하고 경배하려는 뜻이었다. 부활절기에서 똑 떼어 성령강림 사건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탄생’이라고 풀이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교회는 부활로 얻은 새 생명의 공동체가 성령으로 축성되어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참여하고 일치하면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정교회가 그 다음 주일을 ‘모든 성인의 주일’로 지키는 관습은 이러한 신학적 일관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미 채택한 ‘연중시기’라는 표현은 언젠가 바로 잡았으면 한다. 그 전에 우선 ‘성삼후 시기’는 ‘연중’ 내내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펼치신 구원 행동을 우리 신앙인과 교회의 몸에 되새기는 시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이 시기는 우주와 생명을 창조하시고, 사랑과 희생을 인간을 치유하고 회복하시며, 해방과 자유를 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우리 삶을 포개는 훈련의 시간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처럼 세상이 겪는 기쁨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 서로 참아주고 환대하며, 함께 시련을 이겨내며 희망을 만들어 가는 실천의 시간이다. 푸르른 생명의 상징인 ‘녹색’을 입고 장식하여 생명을 향한 수고와 땀으로 그 열매를 맺어가는 시간이다. 이때 우리는 전례력의 막바지에서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다스리시는 하느님 나라를 만날 수 있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6월 9일 치 []

[전례력 연재] 전례력과 성인 시성

Saturday, May 26th, 2018

Saints.jpg

전례력과 성인 시성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최근 천주교의 프란시스 교종은 오는 10월 14일 교종 바오로 6세와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를 시성(諡聖)한다고 발표했다. 바오로 6세(1897-1978)는 2차 바티칸 공의회 도중에 별세한 요한 23세 교종(2014년 시성)을 이어 교회 개혁을 이끌었다. 1966년 성공회 마이클 램지 캔터베리 대주교를 16세기 교회 분열 이후 처음으로 교황청에 초대한 분이다. 교회 일치에 큰 공헌을 해서 ‘대화의 교종’으로도 불린다. 오스카 로메로(1917-1980)는 엘살바도르 독재정권에 항거하며 가난한 민중에 편에서 사목했다. 미사를 봉헌하는 도중에 총에 맞아 순교했다. 엘살바도르의 첫 공식 성인이 된다.

시성 전통은 오랜 역사만큼 다양하고 그 이해도 교단마다 다르다. 처음에 교회는 성인을 순교자에 한정했다. 순교자는 생명을 바쳐 복음을 증언하고 교회를 지켜낸 분이다. 교회는 순교자의 무덤과 유해 위에 제대를 올리고 성당을 지었으며, 그에 따라 성당 이름도 정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가 공인된 4세기 이후 박해가 끝나자, 신앙인이 생전에 보여준 신앙의 가르침과 덕행에 따라 성인을 정했다. 성인이 살았던 지역에서 자연스레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었다.

성인숭배가 남발하자 서방교회에서는 점차 엄격한 시성 절차를 거쳐 주교가 결정했다. 10세기에 이르러 교종만이 결정권을 갖게 됐다. 천주교는 시성을 ‘탁월한 신앙의 위인을 성인의 품위에 올리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신앙인에도 위계질서가 있다는 냄새가 풍긴다. 해당 성인과 관련된 기적도 필수 조건이다. 대중 신심의 문화가 배어 있다.

성인의 신학은 ‘하느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레위기)는 성서에 바탕을 둔다. 사도들의 가르침처럼, 신앙의 본분에 따라 살면 신앙인 모두 ‘거룩한 사람’이다. 사도 바울로는 그의 편지를 받는 교회의 신자를 늘 ‘성도’(saints)라고 불렀다. 성인은 ‘품계’가 아니라, 거룩한 삶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동방교회인 정교회는 초대 교회 관습을 여전히 따른다. 성인의 지정은 여러 청원에 따라 지역 교회와 주교가 검토하여 선포한다. 정교회는 성인을 사도들, 예언자들, 순교자들, 교회의 교부들과 주교들, 수도자들, 그리고 신앙의 의인들로 범주를 나눈다. 천주교 관습인 기적의 유무와 횟수는 따지지 않고, 그가 보인 거룩한 삶과 그 가르침이 정교회 ‘정통’ 교리에 합당한지가 더 중요하다.

성공회는 성서의 성인 신학에 기초하면서도 동서방교회의 역사가 마련한 성인을 존중한다. 성공회에서 천주교와 같은 형태의 시성은 ‘순교자 성인 찰스 1세’ 이후로 없다. 그를 서방교회의 여러 성인과 함께 기도서 전례력에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성공회는 서방교회 전통을 존중하여 16세기 개혁 이전의 성인을 인정하되 이후로는 신앙의 위인에게 ‘성’(saint)이라는 표현을 붙이지 않았다. 대신, 성서가 말하는 ‘거룩한 신앙의 모범’을 보여준 역사의 신앙인들을 전례력에 넣어 기념한다. 이는 관구 교회의 자유로운 결정이다. 성공회에서는 이름 앞에 붙은 ‘성’(聖) 자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대한성공회는 전통적인 ‘성인’에게만 한정했던 1965년 기도서에 큰 변화를 주었다. 1999년 시험교회예식서를 시작으로 2004년 기도서에 전례력에 수많은 ‘성인’을 넣어 기념한다. 교단과 시대를 막론하여 ‘거룩한 신앙인’을 더 많이 포함하여 따르려 한다. 성인의 신학과 전통에서는 성공회의 품이 더 넓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5월 26일 치 []

[전례력 연재]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

Saturday, May 12th, 2018

lectionary_bible.jpg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교회력)의 목적은 분명하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펼쳐진 구원의 역사를 축하하고, 주님의 삶을 우리 삶에 포개어 사는 일이다. 신앙인은 이를 전례 안에서 훈련하고, 성서 안에서 확인한다. 전례력에 따라 ‘전례독서’(성서정과)를 마련하여 복음에 드러난 주님의 삶과 가르침을 되새기고, 서신성서에서 교회의 신앙을 확인하는 이유이다.

‘전례독서’는 정해진 절기와 주제에 따라 전례 안에서 성서를 읽는 방법이다. 그 기원은 유대교까지 올라간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 펼치신 구원 역사를 매년 되새기도록 1년에 걸쳐 ‘토라’(모세오경)를 읽는 전통이 있었다. 그리스도교는 이 전통을 이어받아 일찍부터 전례독서를 마련했고, 전례략이 정비된 5세기에 이르러 그에 맞는 ‘전례독서’가 자리 잡았다. 초기 전례독서는 복음과 서신서로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약은 크게 중시하지 않았고, 시편은 성가대의 노래로 편곡하여 불렀다. 대체로 1년 주기 전례독서로 매년 되풀이하여 읽었다.

1960년부터 전례독서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천주교는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전례 개혁을 교회 개혁의 첫걸음으로 삼았다. 전통적인 1년 주기 독서를 개정하여, 공관복음서(마태오, 마르코, 루가)에 바탕을 두고, 요한복음서를 주제에 따라 삽입한 3년 주기 독서를 마련했다. 1969년의 천주교 전례독서는 전례독서에 관한 이해를 크게 증진했다. 당시 기도서를 개정 중이던 성공회와 루터교가 이를 적극 수용했고, 다른 개신교들도 잇따라 도입했다. 이로써 3년 주기 주일 성찬례 전례독서와 2년 주기 매일기도(성무일도)의 독서가 마련됐다. 물론, 교단 전통에 따라 조금씩 수정하여 사용한다.

북미 그리스도교 연합 모임인 ‘공동전례문위원회’는 수년의 노력 끝에 1983년 ‘공동전례독서’를 출간했다. 이후 다른 영어권 교회들과 협력을 확대하여 1992년 ‘개정공동전례독서’(Revised Common Lectionary: RCL)를 내놓았다. 성공회는 대체로 이 전례독서를 따른다. 대한성공회는 1983년부터 ‘공동전례독서’를 따르기 시작했다.

주일 전례독서는 3년 주기이다. ‘가’해는 마태오 복음서, ‘나’해는 마르코 복음서, ‘다’해는 루가복음서를 따라 주님의 길을 걷는다. 요한복음서는 주요 절기들(대림/성탄, 사순/부활)에 사용되며, 짧은 마르코 복음서를 보충하여 ‘나’해에는 요한 6장을 덧붙여 사용한다. 전례력의 주제는 같지만, 복음서의 특성에 따라 해마다 강조점이 다르다.

최근 전례독서의 큰 변화는 구약성서의 재발견이다. 구약과 신약에 드러난 구원 역사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구약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노력이다. 전통적으로 구약을 복음서의 주제에 따라 배열한 ‘선택 독서’가 있고, 새롭게 구약의 흐름을 존중한 ‘계속 독서’가 있다. 천주교는 전자를 고수하지만, RCL은 ‘계속 독서’와 ‘선택 독서’를 모두 제시하여 설교자가 선택하도록 배려했다. ‘선택 독서’든 ‘계속 독서’든 한 방식을 선택하면, 한 해 동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전례독서’가 3년 주기로 반복되는 탓에, 사목 상황과 사목 주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자의적으로 성서 본문을 선택하는 개신교 예배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데 많은 성서학자가 동의한다. 세계 여러 교회가 같은 전례력을 지키며 같은 성서 본문을 두고 성찰하는 일은 한 분이신 구세주 그리스도를 함께 고백하고 따른다는 중요한 징표이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5월 12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