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성서' Category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Sunday, July 2nd, 2017

a_cup_of_water.png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마태 10:40-42)

우리 삶에는 온갖 배척과 환대가 뒤엉켜 있습니다. 조직을 지키려면 바깥에서 온 낯선 이들보다는 안쪽에 있는 인맥에 기대는 편이 더 지혜롭다고들 합니다. 반면, 고인 물이 쉽게 썩는 일을 염려하여, 새로운 물갈이 말고는 공동체의 쇄신과 성장이 어렵다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습니다. 일상에서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도 어떤 이익 분기점이나 감정의 경계 막바지에서는 등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만든 배척과 환대의 기준은 정갈하지 않고 변덕스럽기만 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신앙인에게 주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감추고 덮으려는 거짓 세상을 향하여 진실을 외치고, 힘의 대결로 약속하는 거짓 평화에 저항하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것이 ‘가르치고, 선포하고, 고쳐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깃든 우리 교회의 선교 사명이자 기준입니다. 녹록지 않습니다. 세상 가치에 물든 종교가 약속하는 성공과 안위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대와는 달리 모진 고생과 박해, 상처와 손해가 뒤따르는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나 진실과 평화의 행동 안에서 제자와 예수님, 그리고 하느님이 서로 안에 머물며 일치하는 신비가 펼쳐집니다(40절). 이 신비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며 확장합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방식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이 신비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여 경계합니다(로마 6:12-23). 그것은 ‘신앙 기득권’과 ‘제멋대로 신앙’입니다. 율법은 애초에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심을 조절하고 제어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라고 하느님께서 주신 규칙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종교권력자가 자신은 쏙 빼고 다른 사람들만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율법은 선물이 아니라 지배와 배척의 도구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규칙과 제어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는 자칫 공동체를 또 다른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사도 성인은 우리에게 익숙한 지배와 예속, 자유와 정의에 관한 생각을 사뭇 다르게 풀어갑니다. 그 분명한 대조와 역설적인 표현은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 사람은 율법이든 은총이든 지배 아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에 지배받고 사로잡히겠느냐는 선택입니다. ‘죄’는 남을 배척하며 힘을 휘두르는 행동입니다. 그러나 ‘정의’는 다른 사람을 환대하여 섬기는 일입니다. ‘죄’는 제멋대로 개인적인 자기감정과 주장에 골몰하게 합니다. 그러나 ‘정의’는 하느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성찰하여 대화와 배움의 고된 행동에 예속하도록 이끕니다. 제멋대로 세운 배척의 기준과 자유의 환상은 교회를 죽음으로 몰아갑니다. 그러나 밖이든 안이든 새롭게 다가오는 낯선 도전의 은총을 환대하고 견디는 일은 교회와 세상을 풍요롭게 합니다.

자신의 보호막으로 사용하려는 율법과, 고된 도전으로 낯설게 배우려는 은총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하고 있나요? 자리를 지키려고 웅크린 배척의 감정과, 초대하며 부딪쳐 나누려는 환대의 마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나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이들은 오늘 우리 사회와 교회에서 누구인가요?

[전례력 연재] 나마스테 !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Saturday, May 27th, 2017

Visitation_14th_C.png

나마스테!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5월 31일)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마리아는 길을 떠나 걸음을 서둘러 유다 산골에 있는 한 동네를 찾아가서 즈가리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을 드렸다”(루가 1:39-40).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수태고지를 받은 마리아는 비슷한 경험으로 아기를 가진 사촌 엘리사벳을 방문했다는 이야기이다.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여서 일찍부터 기념했으리라 생각하지만,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을 축일로 정한 일은 13세기에 들어서다. 중세 때 성모 마리아 신심이 널리 퍼지면서 성모에 관한 여러 사건을 축일로 정했다. 그 탓에 이 축일은 오직 서방교회에만 있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몇몇 정교회가 이 축일을 도입했다. 원래 날짜는 7월 2일이었다.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6월 24일)의 팔일부가 끝나는 시점으로 정한 것이다. 이 관습은 1960년대 말까지 이어졌다. 1965년 판 한국 성공회 기도서도 이 날짜에 ‘성모 왕문 성 엘리사벳’ 축일을 지켰다.

지금처럼 5월 31일로 고친 것은 1969년부터다. 성서 이야기와 시간의 흐름에 한결 걸맞기 때문이다. 임신한 마리아는 만삭의 엘리사벳을 찾아갔고(5월 31일) 석 달 정도 머물렀다. 그동안 세례자 요한의 탄생(6월 24일)을 보았겠고 산후조리도 도왔을 테다. 그렇다면 이 축일의 주제도 달라진다. 현재 본기도는 중세 전통을 따라 마리아가 받은 축복과 순종에 초점을 맞추지만, 실은 아기를 가진 두 여인의 만남이 더 중요하다. 그들은 자기 몸과 삶에 나타난 당황스러운 일을 함께 나누며 서로 격려하고 도우며 보살핀다. 이때 더 깊고 큰 만남이 펼쳐진다.

“문안의 말씀이 내 귀를 울렸을 때에 내 태중의 아기도 기뻐하며 뛰놀았습니다”(루가 1:44). 두 사람은 하느님께서 일으키신 두렵고 당황스러운 일, 그러나 신비하고 거룩한 일을 받아들여 자기 몸속에 품었다. 그 몸 안에 있는 거룩한 생명이 오히려 두 사람의 만남을 이끌었다. 두 사람이 나누는 축복의 인사는 태중에 있는 거룩한 아기들이 서로 알아보고 기뻐하는 만남이다.

‘나마스테’ – 인도와 네팔에서 사람이 서로 만날 때 합장하며 고개 숙여 나누는 인사말이다. ‘내 안에 있는 하느님이 그대 안에 있는 하느님께 문안합니다’라는 뜻이다. 마리아와 엘리사벳가 나눈 인사는 분명 ‘나마스테’의 인사이다. 태중의 예수와 세례자 요한이 서로 알아보고 인사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을 품은 마리아와 하느님의 약속을 품은 엘리사벳의 정중한 만남과 예의는 우리 신앙인의 사표다. 그들을 따라 우리 몸 안에 모셔 우리 안에 사시는 하느님께 인사한다. 성찬례의 영성체로 ‘그리스도’를 성체로 보혈로 우리 몸에 모시기 때문이다. 신앙인은 모두 하느님을 모시고 품은 사람이다. 서로 함부로 대할 수 없다. 존경과 예의 없이 하대하거나 반말할 수 없다. 서로 예의를 차려 존중하고 격려하고 보살펴야 한다.

이처럼 정중하고 거룩한 만남의 기쁨에서 마리아의 찬가가 울려난다. 신앙인은 다른 사람 안에 머무시는 하느님을 두렵고 설레는 마음으로 바라본다. 우리 안의 교만함과 권세를 내치시는 하느님을 목격하며, 비천한 이들을 높이시는 하느님을 찬양한다. 나마스테!

성령 – 교회의 영

Sunday, May 21st, 2017

Spirit_Body_Church.jpg

성령 – 교회의 영 (요한 14:15-21)

최근에야 널리 쓰이기 시작한 ‘영성’은 오용하기 쉬운 말입니다. 신앙 ‘체험’이라는 말도 비슷하게 그 앞에 ‘개인’이나 ‘내면’과 같은 꾸밈말이 덧붙으면 신앙의 오해로도 이어집니다. 다른 종교들과 교류가 활발하여 영성과 신앙 체험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기도 했지만, 분별이 성글어서 생기는 혼란도 적지 않습니다.

‘그리스도 체험’은 저마다 개별화하고 파편화한 ‘나 – 인간’이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여들어 ‘우리 – 그리스도’로 변화하는 사건입니다. 이때 ‘그리스도교 영성’은 그리스도의 삶을 교회 공동체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어 따르는 행동입니다. 그리스도교에는 홀로 동떨어진 ‘개인’이 없습니다. 항상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 안에 있는 신앙인이 있을 뿐입니다. 


요한복음서는 오해하기 쉬운 책입니다. 다른 종교와 대화하려는 선한 의도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거짓 교리를 선동하는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기도 합니다. 난해한 탓에 제멋대로 해석하기 십상입니다. 그참에 예수님의 역사적 행적보다는 신학적 이해를 펼치는 요한복음서를 애써 무시하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요한복음서가 부활 사건에 기반을 두고 ‘교회’라는 새로운 ‘우리-그리스도’를 펼치는 새로운 신학이라는 점을 헤아리지 못한 까닭입니다.

우리 삶에서 늘 배우고 기대며 따랐던 어떤 이가 떠났을 때, 특히 그가 온몸과 마음으로 사랑하던 이였을 때, 우리는 깊은 상실과 혼란에 빠집니다. 삶은 불확실하고 당황스럽기만 합니다. 외롭게 개별화한 눈으로는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없습니다. 흩어져 파편화한 손길로는 자신도 지켜내지 못합니다. 요한복음서의 예수님은 이런 처지에 있는 사람을 향합니다.

예수님은 이런 처지에서 홀로 절망하는 이들을 하나로 붙드는 힘을 약속합니다. 새로운 몸을 만드는 가치와 행동을 선물하십니다. 삶을 새롭게 보는 눈길, 세상을 껴안아 보살피는 손길을 약속하십니다. 생명의 숨결인 하느님의 영, 동행하는 그리스도의 영입니다. 협조자 성령입니다. 이 영이 성찬례 안에서 작은 밀떡과 값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거룩한 몸으로 변화하는 신비를 마련합니다. 교회 안에서 작고 모자란 인간인 우리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기적을 선사합니다.

성령의 능력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만듭니다. 교회는 다시 세상의 삶 속에서 성령을 담는 그릇이 됩니다. 그러니 교회를 ‘영적인 실체’와 ‘제도적 도구’로 나누어 대결시키려는 이분법은 그리스도교 전통과 관련이 없습니다. 교회는 하느님의 숨결과 그리스도의 동행과 성령의 힘이 만든 영적이고 역사적인 실체입니다. 교회로만 부활한 그리스도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하느님을 호흡하고 삽니다. 그 호흡 속에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사십니다. 이것이 부활의 영성이며 체험입니다.

이제 하느님의 숨결을 호흡하는 사람이 교회 안에서 한 몸을 이루어 서로 사랑합니다. 일치와 사랑이 넘치는 교회를 보고 세상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알아보고 체험합니다. 여기서 교회의 생명인 선교가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