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신학' Category

[전례력 연재]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

Sunday, November 11th, 2018

N_Ferrar.png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기도서 2004>의 교회력은 새로운 기념일 제정에 사려 깊었지만, 성공회 전통을 우뚝 세운 성인들이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성공회 신학의 기틀을 세운 리차드 후커(11월 3일)나 성공회의 문학적 신앙 방법을 아름답게 드러낸 조오지 허버트(2월 27일)의 이름을 찾을 수 없다. 또 한 명의 이름이 잊혔으니, 니콜라스 페라(Nicholas Ferrar, 1592-1637, 12월 4일)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17세기 잉글랜드에 수도원 운동을 재건한 인물이다. 16세기 중반 헨리 8세는 잉글랜드에 있는 모든 수도원을 철폐했다. 수도원이 엄청난 재산을 가진 데다, 이를 로마 교회에 헌납하는 통로였기 때문이다. 부유함은 수도원의 이상과 맞지 않았고, 부패의 싹이 되었다. 그러나 수도원 자체의 철폐는 공동체로 기도하는 오랜 신앙 전통을 상실하는 표시이기도 했다. 페라는 폐허 위에 수도원 운동의 씨를 뿌렸다.

페라는 재산과 권력을 경계했다. 그는 중세 교회의 재산이 찬란했던 수도회를 세우려 하지 않았다. 그는 부제 성직을 받았지만, 결코 사제가 되려 하지 않았다.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시골로 내려간 그는 친척과 친구들을 모아 수도회 전통의 회칙에 따른 삶을 시작했다. 버려진 교회를 고쳐서 수도원으로 사용하는 한편, 지역에 있는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가난한 이웃의 건강과 복지를 살피는 사목을 펼쳤다. 그들은 금식과 기도 생활에 충실했다. 글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서 성서 이야기와 삶의 교훈을 담은 그림책을 편찬하기도 했다.

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수도회에 대한 호감은 거의 사라졌다. 경제적 형편이 나아지면서 금식과 절제 생활도 꺼리는 현상이 많았다. 그 탓인지 페라가 세상을 떠나고 얼마 되지 않아, 그의 수도원은 곧 사라졌다. 그러나 그가 보여준 이 수도원 생활은 초대 교회의 수도원을 되살리는 사례가 되었다. 그 씨앗은 2백 년 후인 19세기에 이르러 잉글랜드와 세계 성공회 전역에서 다시 수도회가 부흥하는 영적인 자산이 되었다.

현대 영미 문학계 최고 시인으로 손꼽히는 성공회 신자 T.S.엘리엇은 “리틀 기딩”(Little Gidding)이라는 긴 시를 남겼다. 그의 유명한 <사중주>로 편찬된 시집의 마지막 네 번째 장이다. 이 “리틀 기딩”은 니콜라스 페라가 내려가 수도원을 세웠던 마을이자, 그 수도원 교회의 이름이었다. 시인 엘리엇은 리틀 기딩을 방문하고 이렇게 노래했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교회력은 세상의 달력인 11월로 마감하며 12월로 다시 시작한다. 12월은 교회 시간(교회력)의 시작 달이지만, 세상 시간(세속력)의 마지막 달이기도 하다. 한 해를 끝내는 시간에 겹쳐 우리는 새로운 일을 다시 시작한다. 신앙인은 자신의 세상 삶을 마감하고 새로운 삶을 따르라고 부름받은 사람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세상의 권력과 부를 끝내고 작은 시골의 삶 속에서 새로운 수도원과 영성 생활을 시작하며 사람들을 보살폈다. 시간이 교차하는 11월과 12월, 낡은 삶이 끝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여, 이웃을 발견하고 보살피는 시간이 펼쳐진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1.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27일 치 []

[전례력 연재] 황소, 코끼리, 여우 – 아빌라의 성 데레사

Saturday, October 13th, 2018

st_teresa_avila.png

황소, 코끼리, 여우 – 아빌라의 성 데레사 축일 (10월 15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기도서 2004>는 교회력의 성인 축일을 선정할 때, 종교개혁 이전의 성인들을 대체로 인정하여 ‘성’(聖: Saint)를 붙이고, 이후의 성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적용했다. 그런데 1965년 <공도문>은 종교개혁으로 서방교회가 갈라진 이후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한 세 분의 성인을 포함했다. 동양 선교의 상징인 ‘성 사베리오 프란시스’(1552년, 축일 12월 3일), 그리고 16세기 수도원 개혁과 영성의 쇄신을 이루어냈던 ‘아빌라의 성 테레사’(1582년, 축일 10월 15일)와 ‘십자가의 성 요한’(1591년, 축일 11월 24일)이다. <공도문 1965>는 왜 예외를 두어 ‘로마 가톨릭 성인들’을 축일로 기념했을까? 그들이 교회에 남긴 족적과 유산이 크고 깊다면, 교파의 구분을 두지 않겠다는 너른 의지였겠다.

스페인 아빌라 지역 출신인 성 데레사(1515년~1582년)는 ‘십자가의 성 요한’(1542년~1591년)과 더불어 그리스도교 영성의 거인으로 불린다. 16세기 서양 정치와 종교의 격동기 속에서 교회의 신앙과 영성을 새롭게 비추었다. 성인은 생명력 없는 교리와 부패하는 교회 개혁에 앞장섰다. 스스로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수도자의 길에 들어서서, 갖은 반대를 뚫고 기도와 영성 생활의 쇄신으로 수도원 개혁을 이뤄냈다.

데레사 성인이 남긴 자서전과 영성 저술, 편지 조각들은 세월을 넘어 더 깊은 기도 생활을 원하는 이들의 큰 사랑을 받으며 읽혔다. 현대에 들어 유행처럼 밀려드는 영성 운동, 혹은 ‘영성주의’는 성인을 십자가의 성 요한과 함께 가장 주목할 영성의 교과서처럼 평가하기도 한다.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완전함’을 향해 내달았던 내면의 영적 여정은 혼란한 시대의 신앙에 확신의 길을 마련해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데레사 성인의 영성이 그 시대와 종교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씨름했던 결과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는 스페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했지만, 유대인이라는 차별의 딱지가 그 가족을 내내 괴롭혔다. 열네 살에 어머니를 여읜 성인은 ‘성모 마리아’에게 어머니를 비춰 자신의 슬픔을 이겨냈다. 탁월한 수도자이긴 했지만, 사회와 종교 전체에서 여성에게 들씌우는 차별을 견뎌야 했다. 게다가 중세 시대에 사람들에게 큰 두려움을 주었던 ‘악마’ 문제에 집착했다. 평생 병고에 시달렸던 그의 삶도 성인의 영성을 이해할 때 헤아려야 할 지점이다.

성인은 당시 교리 중심의 교회와 신학을 ‘신앙 경험이 부족한 상태’라고 비판했지만, ‘성서와 신학을 배우려 하지 않고 체험에만 머물려는 영성가들’에게도 경고했다. 견고한 신앙인은 지적인 연구와 영적인 훈련으로만 탄생한다고 생각했다. 당시 교회는 종교개혁의 격동기 속에서 전통 진영과 개혁 진영이 서로 비난하고, 공동체와 개인이 서로 힘을 겨루면서 정작 그리스도는 놓치고 있다는 판단이었다. 현대 영성가들이 성인을 ‘내면의 영성가’로 축소하는 일은 큰 염려를 불러 일으킨다.

데레사 성인의 전문가인 로완 윌리엄스(전직 캔터베리 대주교)는 성인의 영성이 ‘복음’과 ‘성찬례’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분석한다. 복음에 등장하는 여성의 이야기 속에서 성인은 ‘사회 중심부에 멀어진 이들’ 안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모험과 도전을 새롭게 읽어낸다. 성찬례는 ‘주변부 사람들’과 만나려고 ‘성육신하신 하느님’ 예수를 오늘 우리가 만나는 길이다. 성찬례는 정신적인 회상이나 단순한 상징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오시어 우리의 몸과 영에 깃들어 만나는 실제 경험’으로 받아들일 때만, 신앙인은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길에 들어설 수 있다. 복음과 성찬례 없이는 교회는 물론, 영성도 설 수 없다는 말이다.

그 탓일 테다. 1970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그를 ‘교회 박사’로 선포했다. 여성으로서는 처음이다. 교회와 신앙의 개혁에 단호했던 성인을 일컬어 현대의 어느 작가는 ‘황소처럼 완강하고, 코끼리 피부처럼 두껍고, 여우처럼 지혜로운 성인’이라고 불렀다. 교회의 개혁과 신앙의 쇄신을 향한 그 용기와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성인은 이런 말을 남겼다.

‘흔들리지 마라.
어느 것도 너를 두렵게 하지 못하리니,
모든 것은 지나가리라.
인내하라.
부족함 없이 충분하신 하느님이 늘 곁에 계시리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13일 치 []

[전례력 연재]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Saturday, September 8th, 2018

St_Chrysostom.png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축일 – 9월 13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4세기에 이르러 그리스도교는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 박해 중에도 교세가 늘긴 했지만 순교를 각오하던 처지에서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는 종교로 변한 것이다. 그 파장은 컸다. 지루했던 신학 논쟁을 정치 권력이 나서서 정리했다. 필요했던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회는 점차 세속 정치를 닮아갔다. 로마 정치의 위계질서와 권력 문화가 교회에도 들어왔다. 주교는 신앙의 교사, 사목자, 순교자라는 소명을 벗고, 점차 사회와 종교를 지배하는 권력자가 되었다.

요한 크리소스톰은 피의 순교 시대가 끝난 349년에 태어났다. 홀로 된 어머니의 깊은 신앙 아래서 자란 그는 지식과 교양의 중심지 안티오키아의 교육을 받았다. 당시 지식인의 유행은 수도원에 한동안 들어가 호젓한 생활을 즐기며 겸양과 교양을 젠체하는 것이었다. 요한도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다른 이들과는 달리 엄격한 규칙 생활과 공부를 자처하여 건강이 극도로 나빠졌고 오히려 수도원에서 쫓겨났다.

요한은 성 바실(330-373년)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이 사제 서품받기를 주저하는 이유를 나누었다. 사제직에 관한 그의 고민과 경고는 지금도 유효하다. “칭찬을 즐기지 않으며 자신의 성취[사제직]를 바라는 사람을 나는 알지 못한다. 칭찬을 즐긴다면 그는 받기 원할 것이고, 그가 받기 원한다면, 나중에는 그것을 잃을까 봐 전전긍긍하며 고통 속에 살아갈 것이다.”

요한은 이런 고민을 안고서 뒤늦게 사제가 됐다. 이후 그는 뛰어난 설교자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은 그를 ‘황금의 입’(크리소스토모스)이라고 불렀다. 그의 설교는 지적이고 도전적이었다. 당시에는 우화적 해석(알레고리)이 유행하여 성서의 가르침을 자기 멋대로 내면화하고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한은 성서와 복음이 던지는 도전을 생활의 근거와 명석한 논리, 그리고 뛰어난 연설 기법에 담아냈다. 그의 설교에는 가난한 여성과 어린이를 지켜내야 할 신앙인의 책임이 반복됐다. 마르고 작은 키, 큰 머리에 움푹 패인 눈을 한 그가 외칠 때 사람들은 예언자를 떠올렸다.

예언자 같은 주교가 쉽지 않지만, 그는 주교가 됐다. 398년, 군인들이 그를 납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데려가 주교로 성품한 것이다. 정치 관료들이 꾸민 이 일을 그는 하느님의 섭리로 받아들였다. 그는 주교로서 전례 개혁에 공을 들였다. 그의 성찬기도를 근거로 한 ‘요한 크리스소톰의 전례’는 지금도 동방 전례의 표준으로 쓰인다.

그는 당시 주교들과는 달리 호화로운 생활을 멀리하고 정치인들과 벌이는 사교 모임에도 발길을 들이지 않았다. 처세술이 부족하다고 동료들에게서 비난을 받았고 그의 솔직한 설교와 의견으로 적도 많이 생겼다. 이미 만연한 성직매매, 신자와 성직자 모두 연루된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 “이 수많은 신자, 성직자 가운데 구원받을 이가 얼마나 될까요? 수천 명 가운데 백 명도 안 될 겁니다.” 그는 황실의 향락을 비판하다가 유배를 떠나 407년 9월 14일 흑해의 동부 해안 코마나에서 이생의 죽음을 맞았다.

438년 1월 28일,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왔다. 서방교회는 그가 세상을 떠난 9월 14일에 축일을 지키다가, 7세기에 십자가 축일이 지정되자 13일로 옮겨 지킨다. 동방교회는 그의 유해가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온 날을 축일로 지킨다. 그는 이 생의 유배를 신앙의 순례로 삼아, 죽은 후에도 여러 곳을 옮기며 교회 신앙의 가르침과 본을 보여 주었다. 성인을 ‘교부’라 칭하는 이유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9월 8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