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신학' Category

신앙인 – 하느님 앞에 평등한 죄인

Saturday, October 22nd, 2016

expansion_Bradley.png

신앙인 – 하느님 앞에 평등한 죄인 (루가 18:9-14)

그리스도교에서는 인간을 ‘죄인’이라고 부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이나 다른 종교인들에게는 퍽 당황스러운 표현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그리스도교 신앙의 독특함과 은총이 있습니다. 먼저, 우리 스스로 ‘죄인’이라 여기는 까닭은 우리가 부족하여 실패할 가능성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완벽하지 않기에 몸과 마음을 열어 늘 새롭게 배우며 쇄신하는 행동에 하느님의 은총이 깃듭니다. 또한, 우리는 모두 ‘죄인’이라는 점에서 세상이 만든 우열과 성패의 기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됩니다. 우리는 하느님 앞에서 ‘죄인’으로서 평등합니다. 여기서 사람을 보는 새로운 은총의 눈이 열립니다.

예수님은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간 바리사이파 사람과 세리의 태도를 비교합니다. 율법을 잘 지키며 살았다는 바리사이파 사람의 고백에서 잘못된 점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욕심부리지 않고 정직하게 살았고, 신의를 지키고 살았으니 칭찬받아야 합니다. 신앙생활도 성실합니다. 한편, 세리는 당시 상황에서 보면 남의 돈을 억지로 빼앗는 사람이었으니, 떳떳한 사람이 못됩니다. 그러니 두 사람의 기도는 저마다 마땅한 기도로 들립니다. 그런데 왜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파 사람이 아니라 세리를 ‘올바른 사람으로 인정’하셨을까요?

우리는 ‘죄인’이기에 완벽하지 않고, 스스로 만족하여 누구를 판단할 처지도 아닙니다. 하느님만이 판단하십니다. 그런데 바리사이파 사람은 자신의 성취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을 판단합니다. 성취의 기준을 내세우면 우리는 자신의 능력으로 스스로 이룬 줄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성전 ‘안’은 자신의 업적을 뽐내듯 보고하는 자리가 되고 맙니다. 그러다가 무의식으로 자신을 구별하여 남을 쉽게 판단할 때, 하느님의 자리를 넘보는 유혹으로 미끄러집니다. 스스로 완벽한 사람에게는 은총이 스며들 틈이 없습니다.

세리는 성전 ‘밖’에서 서성입니다. 돌아보니 이룬 것도 없고, 잘한 일도 없습니다. 자신의 불완전함을 되새겨 의식한 세리는 감히 하느님 앞에 설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하느님께서 성전 ‘밖’으로 걸어 나오셔서 세리를 만나십니다. 하느님께는 안과 밖의 구분이 없으니까요. 오히려 죄가 있는 곳에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하니까요. ‘죄인’은 다른 이들과 관계가 깨져서 상처 입은 사람입니다. 이를 인정하고 하느님께 내보일 때, 하느님은 상처를 어루만지십니다. 그 깨진 상처의 틈새로 회복과 치유의 은총이 깊이 스며듭니다.

예수님은 스스로 높다고 여기는 바리사이파를 낮추시고, 스스로 낮다고 여기는 세리를 높이십니다. 높낮이를 조율하여, 두 사람 다 같은 위치에서 평등한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우치십니다. 이 평등한 처지에서만 다른 사람이 신앙의 동료, 영혼의 친구로 보입니다. 이렇게 평등한 죄인인 우리는 상처 입은 그대로 교회로 모여 함께 하느님 앞에 섭니다. 이것이 치유를 바라는 우리의 기도이며 예배입니다. 여기서 회복의 은총이 스민 복된 삶이 시작됩니다.

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Sunday, September 25th, 2016

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루가 16:19~31)

돈을 둘러싸고 사회와 인생의 희비가 출렁거립니다. 돈과 권력이 많으면 출렁이는 파도가 더 높아서 인생도 위태롭기 일쑤입니다. 복 받아 성공했다는 삶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생명까지 앗아가는 일이 잦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이 비극의 원인을 간명하게 말합니다. 모든 돈과 재산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은총입니다. 우리는 청지기로서 재산을 바르고 착하게 베풀며 살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이 소유관계가 어긋나면, 우리 인생도 어긋난 비극이 되고 맙니다. 신앙인은 이 비극의 연쇄 현상이 넘실대는 세태를 멈추고 바로잡으라는 소명을 받았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부자와 거지 라자로의 운명은 죽은 후에 완전히 뒤바뀝니다. 세심하고 흥미로운 대조가 눈에 띕니다. 유명했던 부자의 이름은 안 나오지만, 천한 거지에게는 ‘나자로’라는 이름을 남겨 후세가 기억하게 합니다. 부자는 죽어서 “땅에 묻힙니다.” 그러나 무덤덤하고 차가운 땅은 현세를 살면서 세상의 고통에 무관심하며 살던 인생의 결과입니다. 돈에 사로잡힌 인생은 땅에 묻혀 잊혀집니다. 반면, ‘라자로’는 새로운 신앙의 전통인 아브라함의 ‘품’에 안깁니다. 세상이 말하는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용기 있게 떠났던 아브라함이었습니다. 외롭고 나그네 같은 생명을 보듬는 따스함과 위로가 신앙의 품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약속과 희망을 얻습니다. 세상의 질서에만 묶여서 살면 땅속으로 들어갑니다. 여기가 지옥입니다. 고통 안에서도 생명을 지키려 발걸음을 내딛을 때 우리는 하느님의 품에 듭니다. 그곳이 천국입니다.

재산과 권력에 관한 태도가 신앙과 인생의 건강을 결정합니다. 아모스 예언자는 가난한 사람을 등쳐서 얻은 재산으로 호의호식하는 이들을 호되게 비판합니다. 이들의 행태는 결국 하느님의 심판을 받을 테니 정신 차리라고 경고합니다. 바울로 사도는 안타깝게 호소합니다. “부자가 되려고 애쓰는 사람은 유혹에 빠지고 올가미에 걸리고 어리석고도 해로운 온갖 욕심에 사로잡혀서 파멸합니다. 돈을 사랑하는 것은 악의 뿌리입니다”(디모 6:9~10). 우리 사회 여기저기서 목격하는 현상입니다. 재산을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다 보면 악한 곳으로 미끄러지고 맙니다. 예언자의 경고와 사도의 가르침을 귀담아듣지 않는 사람이 부활을 믿을 리 없습니다. 이런 이들의 신앙은 허세입니다.

돈과 재산, 지위와 권력은 그 자체로 좋고 나쁨도, 옳고 그름도 없습니다. 하느님께 속한 것을 인간이 자기 것이라고 고집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세상 땅’에 붙잡힌 사람들이 만든 질서 안에서 남을 빼앗고 억누르는 수단이 될 때, 그것은 눈과 귀를 가려 악한 유혹과 파멸의 길로 변합니다. 그러나 ‘하늘에 깃든 생명의 품’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손길이 될 때, 그것은 함께 누리는 복락과 은총이 되어 더욱 풍성해집니다. 그곳에 선한 재산과 정의로운 권력이 섭니다.

신앙은 생명 없는 돈과 권력에 생명을 보살피는 힘을 주겠다는 다짐입니다. 하느님의 재산을 하느님의 생명들에게 되돌려 사용하는 일이 신앙인의 사명입니다. 이 사명을 실천하는 신앙인의 이름은 영원히 잊혀지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이렇게 땅의 질서를 벗어나, 세상을 하느님의 품으로 만들어 나갑니다. 이것이 신앙의 인생역전입니다.

Rich-man_n_Lazarus.png

회개하며 배우는 죄인의 기쁨

Saturday, September 10th, 2016

metanoia.png

회개하며 배우는 죄인의 기쁨 (루가 15:1~10)

그리스도교 신앙이 위대한 까닭은 모든 인간이 ‘죄인’이라는 점을 늘 의식하며 인정하도록 일깨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모자람과 한계를 늘 인정하는 일은 신앙의 출발입니다. 자신의 경험과 지식, 지혜와 판단이 언제든지 부족할 수 있으며, 자신의 선함이 늘 모자란다는 사실을 깊이 되새기는 일이 신앙인의 품격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이 더 위대한 까닭은 하느님께서 부족한 ‘죄인’인 우리를 의롭다고 인정해 주시고, 우리가 이에 감사하며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의로운 사람으로 ‘인정받은 것’을 의로운 사람이 ‘되었다’는 뜻으로 오해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이만하면 됐다’고 생각하고 자신을 더는 돌아보지 않는 부작용이 생깁니다. 그러나 깊은 신앙인은 자신의 연약함과 부족함 안에서 하느님의 인정을 삶의 큰 격려로 삼습니다. 유혹에 더 빠지지 않으려 몸과 정신을 또렷하게 하고, 미혹하는 정보에 눈과 귀를 내주지 않습니다. 오류를 교정하는 새로운 지식과 늘 대화하며 배우려 합니다.

손가락질받던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 모여들자, 스스로 ‘의인들’이라고 생각하던 바리사이파 사람들이 “못마땅해” 합니다. 여기서 상식이 뒤바뀝니다. ‘죄인들’은 경청하며 배우려 하고, ‘의인들’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거절합니다. 배움의 과정에서 ‘죄인들’은 예수님께 혼나기도 하고 따가운 지적을 받기도 했겠지요. 그러나 스스로 ‘의인들’이라 여기는 이들은 ‘예수’라는 낯선 청년의 새로운 일과 지식과 지혜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관습 안에서 젠체하며 판단만 하려 듭니다. 자신이 만든 신념이라는 우상에 붙들려 고집을 피우다가 하느님의 진노를 삽니다(출애 32:8~9).

15년 전 9.11 테러 사건으로 미국에서 무고한 사람들 3천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 이후 일어난 전쟁으로 잃은 군인과 시민의 목숨은 그보다 수십 배에 달합니다. 이 무자비한 사건들은 자신들의 고정관념과 잘못된 신념을 다시 돌아보고 고치지 않은 탓입니다. 그 결과 더 많은 고통과 상실, 보복과 살육이 이어졌습니다. 세상에서 생명의 기쁨이 사라지는 경험이었습니다. 이 일을 더는 되풀이해서는 안 됩니다.

하느님의 기쁨은 “회개할 것 없는 의인 아흔아홉보다 죄인 한 사람의 회개”에 있습니다. 회개(메타노이아)는 기존에 품었던 생각과 신념을 바꾼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오랜 경험과 고정관념이 혹시라도 자기 눈을 가리는 고집이 되는 현실에서 자신을 돌이켜 새로운 세계와 바른 가르침에 참여하겠다는 의지입니다. 회개하는 ‘죄인’은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새로운 가르침이 하나라도 아쉬워 간절하고 그 배움에서 변화와 기쁨을 경험합니다. ‘회개하는 죄인’을 찾은 예수님의 기쁨이 이제 회개하는 사람 자신의 기쁨이 됩니다. 하느님과 우리가 함께 누리는 기쁨이 신앙의 목적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회개하며 배우고 고치는 죄인의 기쁨에 있습니다. 신앙인은 회개하여 기뻐하는 죄인들입니다. 이때, 우리는 하느님에게서 ‘의인’이라 인정받은 은총 안에서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