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미래 – 성공회

Sunday, June 24th, 2018

Ancient_Futures.png

오래된 미래 – 성공회1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성공회신학)

<오래된 미래> Ancient Futures 라는 책은 1991년 출간되어 현대인의 삶에 깊은 성찰을 제시했습니다. 히말라야 자락 ‘라다크’ 사람들의 전통과 변화를 살피며 새로운 삶의 대안을 고민하도록 합니다. 우리가 자주 잊거나 잃은 가치를 되새겨 줍니다. 불행하고 절망하는 삶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이를 넘어서는 방법에 관한 고민과 지혜를 나누려 합니다.

라다크 사람들은 ‘전통’의 지혜 안에서 생태 친화적인 공동체로 살았습니다. ‘전통’은 혹독한 자연환경을 견디며 터득한 선조의 지혜와 가치입니다. 세대 간 협력과 공동 소유, 검소한 생활의 실천이기도 합니다. 이런 생각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관광 개발이 시작되어 실제로 생활 편의는 나아졌지만, 사람들은 더 가난하다고 느끼고 공동체 문화도 부서지기 시작했습니다. 과거로 돌아가거나 현대화의 홍수에 몸을 맡긴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전통의 가치와 현대의 흐름을 새롭게 접붙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오래된 미래’는 성공회의 전통과 고민에 딱 맞는 말입니다. 실제로 성공회 신자이자 예배학자로서 개신교 신학교에서 오래 가르친 로버트 웨버 교수가 이 말을 교회와 전례에 적용해서 반성을 이어갔습니다. 교회는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너무 쉽게 예배와 신학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운 변화에만 눈을 돌렸습니다. 전통을 시대와 관습에 가두어 기득권을 휘두르는 세력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전통의 근거와 성찰의 거울이 부족한 채 시도하는 ‘새로운 변화’는 매혹적일지 몰라도 자주 위태롭습니다. 교회를 성사(sacrament)와 역사의 실체로서 살지 못하면 친목 단체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개혁과 대안의 실상이 의도와는 반대로 개인주의와 영성주의로 미끄러지는 이유입니다. 그 결말은 대체로 종교 상품화과 소비주의입니다.

성공회는 신앙의 ‘오래된 미래’입니다. 초대교회 전통에서 길어 올린 예배와 신앙의 가치로 사려 깊게 자신을 빚어내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교리에만 얽매이지 않고, 현대 학문에서 배우고 대화하며 오늘의 문제들과 정직하게 씨름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예배는 오랜 신앙의 선조들과 함께 하느님을 찬양하도록 초대합니다. 켜켜이 쌓인 역사를 전례 안에서 체득하고 음미하여 새로운 시공간을 상상하고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교리와 신학은 신앙의 가치를 오늘에 되살리려고 정직하게 흔들리며 배웁니다. 그 흔들림이 아름다운 교회입니다. 교회는 예배와 배움 안에 모인 사람들이 부족하나마 함께 모여 하느님 나라를 미리 맛보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미래인 성공회는 당장 시원하지만 갈증만 더하는 ‘사이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깊은 우물에서 길어 올린 맑은 정직한 생수를 나누려 합니다. 당장 손에 잡히는 생색내기 성과로 사람을 탈진하게 하지 않습니다. 다만, 오래 곰삭아 빚어진 맛과 영양의 잔치를 널리 나누려 합니다. 음식을 내는 오래된 그릇이 조금 답답하고, 시중드는 걸음이 흔들려 조금 못 미더워도, 서로 받아주고 견디어 순례의 잔치를 이어갑니다.

오래된 미래의 잔치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8년 6월 24일 치 []

[전례력 연재]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

Saturday, March 31st, 2018

DB_MLK.png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2004년 <성공회 기도서>는 1965년 <공도문> 이후에 나온 첫 개정 기도서이다. 되도록 예전 기도서의 관습을 여러모로 존중하려고 애썼다. 성인 축일에 관한 부분이 대표 사례이다. 그래서 “16세기 종교개혁 이전에도 성공회가 지켜왔던 축일로 1965년 공도문에 수록한 성인들의 기념일을” 대체로 수용했다(기도서 28쪽). 큰 변화도 있다. ‘기념일’ 항목에서는 “근현대사에서 그리스도교파를 초월하여 그리스도교 신앙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을 교회력에 넣어 기억하게 했다.

4월의 교회력에는 낯선 ‘기념일’의 주인공 두 분이 눈에 띈다. 디트리히 본회퍼(4월 9일)와 마틴 루터 킹(4월 5일)이다. 두 분은 지난 20세기, 무기력했던 그리스도교와 위태롭던 세계에 신앙의 가르침과 실천으로 깊은 발자국을 남겼다. 본회퍼(1906-1945)는 독일 나치 치하에서 순교한 루터교 목사였고, 킹(1929-1968)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다 총탄에 쓰러진 침례교 목사였다. 두 분 다 서른아홉 해의 생을 불태우고 하느님께로 돌아갔다. 현대 성공회는 신학과 교회의 실천에서 두 분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본회퍼는 탁월한 신학자였다. 당대 독일 신학계의 석학이었던 하르낙의 수제자였으며, 변화하는 현대 사회 안에서 설득력을 잃던 그리스도교에 날카로운 반성의 칼을 들이댔다. 특히, 그리스도교가 여느 종교와 다름없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안전만을 빌어주는 ‘값싼 은혜’의 수단이 되었다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참된 제자는 십자가에서 부활을 이루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값비싼 은총’을 구한다. 신앙인은 세상의 고통을 나누고 세상이 던지는 위험의 대가를 치르며 살아야 한다. 자신의 고백처럼 그는 독일의 독재자이자 유대인 학살자였던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 사전에 발각돼 옥살이하던 그는 히틀러가 자살하기 3개월 전에 교수형으로 순교했다.

킹 역시 촉망받던 신학자였다. 하느님의 사랑을 신학의 가장 깊은 차원으로 이해한 그는 일찍부터 신학과 사목의 길을 결합하여 현장 사목자로 일했다. 킹은 교회뿐만 아니라 거리에서도 인간을 향한 온갖 차별과 불평등을 비판하며 하느님의 사랑과 복음을 선포했다. 그는 예수의 선교 방법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해하고 1960년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며 인권운동의 선봉에 섰다. 그는 모든 사람이 차별과 증오를 넘어서서 인종과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서로 존중하고 함께 어울려 만드는 사회를 향한 꿈을 노래하며 행진했다. 출애굽의 모세처럼 마침내 다다른 가나안 땅을 건너보듯이 자신의 운명을 말했던 다음 날, 킹은 백인우월주의자의 총탄에 숨을 거두었다.

본회퍼와 킹은 서로 만난 적이 없다. 그러나 본회퍼는 뉴욕 흑인 동네 할렘가의 경험에서 인종차별과 가난의 문제에서 큰 깨달음을 얻었다. 킹 역시 본회퍼처럼 앞선 신학자들이 마련한 고민에 크게 기댔다. 신학과 신앙은 역사와 사회의 변화 안에서 새롭게 드러나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정직하게 응답해야 한다. 신학의 성찰과 현장의 경험은 서로 뗄 수 없으며,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신앙의 언어로 세상과 대화하며 관여해야 한다. 이렇게 역사가 만난다.

본회퍼와 킹은 어둠이 짙었던 20세기를 용기 있게 살았다. 하느님 앞에 솔직했고, 역사 앞에서 고통받는 이들과 더불어 사는 삶을 선택했다. 그 선택이 전례 안에서 우리 신앙과 실천에도 새겨져 있다. 이렇게 우리는 성인들을 다시 만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3월 31일 치 []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Sunday, October 15th, 2017

Swanson_Celebration.jpg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마태 22:1-14)

성찬례는 하느님 나라의 풍성한 잔치를 미리 맛보는 일입니다. 하느님이 마련하신 잔치의 목적은 뚜렷합니다. 하느님의 창조 세계와 그 생명을 함께 축하하고 즐기라는 초대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치와 경제는 이 초대를 자주 위태롭게 합니다. 울타리를 치고 몇몇이 독식하거나 갖가지 인맥과 이권이 만든 차별의 벽을 높이 쌓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에 맞서 하느님의 잔치를 이어가십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는 흥을 이어가시려 좋은 포도주를 제공하시고, 배고픈 이들의 처지를 측은히 여겨 배부르게 먹고 남도록 풍성히 차려 주십니다. 세상 기준으로 손가락질받는 이들을 초대하여 먹고 마시는 일로 기꺼이 그들의 동료가 되십니다. 그 잔칫상은 자신의 몸을 제자와 친구에게 내어주는 일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마침내, 새로운 생명을 축하하는 부활 잔치의 성찬례로 완성됩니다. 난해한 오늘 복음의 혼인 잔치 비유는 이 맥락에서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잔치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초대하려는 의지마저 돋보입니다. 그러나 함께 참여하여 누릴 잔치의 흥을 깨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의 사적인 성취와 손익 계산에 따라 참여를 거부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초대가 사적인 이익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판단하여 폭력으로 자기 이익을 보호하려 합니다. 하느님 나라의 신앙은 손익계산을 넘어설 때 다가오는데도 말입니다. 최근 세계의 정치경제, 그리고 우리 주변 상황과도 무척 닮았습니다. 이런 일이 계속되면 세상은 파국으로 치닫습니다.

새로운 초대에 응답하여 자신의 태도를 바꿀 때 희망이 열립니다. ‘나쁜 사람 좋은 사람’할 것 없이, 모두 생명 잔치의 혜택을 누려야 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하느님의 단비가 차별 없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잔치에 참여했다면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맞는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세상을 벗어나 신앙의 길에 초대받는 은총을 누렸다면, 자신에게 친숙한 세상의 관습을 버리고 신앙과 은총의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하느님의 잔칫상에 둘러 모인 사람은 나이와 성별, 학력과 재력, 오래된 이와 새로운 이의 구분을 넘습니다. 사람따라 존대하거나 친근하다는 빌미를 대며 반말로 하대하지 않습니다. 초대받은 손님으로서 서로 존중하고 존경하며, 서로 좋은 것을 권하고 보살피는 예법을 따릅니다.

신앙 공동체는 성찬례로 하느님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나눕니다. 세상의 삶이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더라도, 교회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에서만은 새로운 행동과 예법으로 살며 훈련합니다. 우리 모두 하느님의 손님인 사람이기에 어떤 사람도 함부로 대할 수 없습니다. 신앙의 예법을 무시하는 교회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14절)는 한탄 앞에 서게 됩니다. 우리는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여 생명의 기쁨을 서로 축하하고 서로 드높이며 살아갑니다. 교회는 이 생명 존중의 기쁨을 널리 퍼뜨리는 공동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