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Sunday, October 8th, 2017

wicked_servants.jpg

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마태 21:33-46)

“나는 분명히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고 있다”(마태 21:32).

지난 주일 복음 말씀 끝에서 들었던 충격적인 선언입니다. 혼란스럽습니다. 우리 인생의 걸음걸이가 어떻든 교회로 모인 우리는 하느님 나라를 향해 걷는 순례의 백성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당황스럽습니다. 사회의 윤리적 잣대에서 비난을 받던 세리들과 개인의 도덕적 잣대에서 손가락질을 받던 창녀들이 하느님 나라에 먼저 들어간다니 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고정관념이 만든 혼란과 당황을 넘어서서 새로운 신앙의 결단과 행동으로 초대합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는 포도원 주인에게 도조를 바치지 않고 버티면서 주인의 아들까지 죽인 사악한 소작인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포도원은 하느님께서 만드신 에덴동산입니다. 모든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창조의 질서요,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정치와 경제의 질서입니다. 포도원의 목적은 분명합니다. 맛있는 포도 열매를 맺어서 우리에게 달콤한 영양을 주는 일입니다. 쌓아놓으면 썩어버릴 포도를 술틀에 이겨서 포도주를 만들어 삶에 기쁨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일니다. 생명이 누리는 기쁨이야말로 이 포도원의 목적입니다. 하느님의 창조질서와 우리가 사는 세상과 사회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포도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그곳은 탐욕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소출을 나누지 않고 쌓아놓고 다른 사람들의 접근을 막습니다. 누가 그에 항의할라치면 내쫓거나 두들겨 패는 폭력의 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심지어 이 모든 것을 다 가로채겠다는 생각에 사람을 죽이는 살인의 현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생명의 기쁨을 나누고 누리려던 세계가 탐욕과 폭력과 전쟁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 현실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탐욕과 폭력과 전쟁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혹시 우리도 의식 무의식으로든 이 현실에 가담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합니다. 세상의 생명에 영양을 공급하는 일을 막고 있지 않은지, 다른 사람과 나눌 기쁨을 울타리 쳐서 독차지하지 않는지 살펴야 합니다. 이 반성에서 신앙이 출발하고 영성이 뿌리를 내리며 바른 식별이 자라납니다. 이 신앙과 영적인 식별에서 우리 자신과 우리 교회, 사회와 세계를 성찰해야 합니다.

탐욕스럽게 자신의 재산을 늘리고, 협잡하여 자신의 이익을 지키려고 폭력과 살인을 저지르는 세상입니다. 이런 세상은 지옥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서로 받아들여 함께 수고하고 서로 격려하여 다 같이 넉넉하게 덤을 주어 보내는 일로 열립니다. 우리 땀과 눈물로 맺은 탱탱한 포도의 달콤한 맛을 함께 나누고,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술틀에 밟아 함께 나누어 마실 때 하느님 나라의 잔치가 펼쳐집니다. 이것이 하느님 나라를 향한 순례의 백성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때야 비로소 우리는 하느님 나라에 함께 들어갑니다.

회개와 순종의 권위

Sunday, October 1st, 2017

two_sons.jpg

회개와 순종의 권위 (마태 21:23-32)

기쁘고 여유로운 명절이 다가옵니다. 가족이 기쁘게 모여 안부를 물으며 소홀했던 사랑을 나누기를 기대합니다. 한편, 명절 안부에 조금 조심하여 마음을 써달라는 부탁도 회자합니다. 졸업은 언제 하느냐, 취직은 언제 하느냐, 결혼 계획은 있느냐는 말을 피해달라는 당부입니다. 친구나 친척의 자녀를 예를 들어 비교할라치면 명절 분위기 한순간에 망치기에 십상입니다. 지켜보는 답답함이 큰 탓이겠지만, 당사자의 마음고생을 더 깊이 헤아려 주면 더 큰 격려가 됩니다. 어른의 권위는 여기서 나옵니다. 사람이 바라는 때와 하느님께서 마련하시는 때가 다르다는 신앙의 지혜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오늘 복음 이야기는 사람의 기대와 하느님의 뜻 가운데 삶의 판단 기준을 어디에 둘지 묻습니다. 예수님을 의심하는 대사제들과 원로들의 태도는 우리 삶과 가정, 교회와 사회 안에서 권위를 둘러싼 갈등을 비춥니다. 성전을 오래 지킨 대사제들과 원로들은 이미 권력을 누리며 판단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때 낯설고 젊은 예수님이 등장하니 기득권에 위협을 느낍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세운 지위와 하느님의 새로운 도전 가운데 무엇을 신뢰할지 되물으십니다.

신앙인은 모든 권위가 하느님에게서 나온다고 믿습니다. 자신이 만든 권위는 없다고 믿습니다. 자신의 경험과 지위로 판단하지 않고, 하느님 보시기에 옳은 일인지 식별하여 따를 때 신앙의 권위가 굳게 섭니다. 하느님의 너그러운 인내를 생각하며 자녀의 성장과 미래를 격려할 때 부모는 권위를 얻습니다. 공동체나 사회의 갈등을 풀려면 저마다 지닌 경험과 주장을 내려놓고 하느님께서 초대하시는 새로운 도전과 모험에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작거나 크거나, 낮으나 높으나, 누구든 하느님께 순종하고 복음 선포에 헌신할 때 자신도 존중받고 교회의 권위와 질서가 바로 잡힙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신앙인의 권위는 하느님을 향한 예배와 헌신, 이웃을 향한 봉사와 선교에서 나옵니다. 그 방향이 혹시라도 자신의 업적과 지위를 향하면, 사람은 교회에서든 사회에서든 업적과 소유 경쟁으로 빠져듭니다. 이 다툼과 불화가 바로 우리 인간의 죄입니다. 죄는 어떤 법의 위반 여부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자신의 본질을 훼손하는 일이 죄입니다. 인간의 본질은 공동체 안에서 하느님의 은총을 올바르게 누리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이를 깨닫고 언제든 돌아와 회개하고, 하느님의 뜻에 자신을 다시 조율하며 순종합니다. 이 회개와 순종때문에 “세리와 창녀들이 먼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갑니다”(31절).

오늘 서신서 본문의 아름다운 성육신 찬가처럼, 예수님은 “하느님과 본질이 같으셨으나 동등한 존재가 되려 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의 것을 다 내어놓고, 자신을 낮추셔서 죽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필립 2:6-8). 이 명절은 사랑의 기다림 끝에 돌아오는 가족과 자녀를 다시 맞이하는 시간입니다. 서로 겸손하게 격려하며, 서로 사랑으로 순종할 때, 하느님은 우리 가족과 교회 안에 보름달처럼 풍성한 복락을 내리십니다.

하느님 나라 – 은총의 경제

Sunday, September 24th, 2017

Red-Vineyard.jpg

하느님 나라 – 은총의 경제 (마태 20:1-16)

‘기쁜 소식’ 복음을 나누는 첫 문단을 우리 사회의 아프고 슬픈 현실에서 시작합니다. 복음은 그 어두운 현실을 뚫고 들어와 새로운 태도와 행동을 이끌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국가 가운데 하나인데, 그 지표가 적잖이 우울합니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길고, 자살률은 지난 십여 년 동안 가장 높으며, 남녀임금 격차는 꼴찌입니다. 오늘 예수님은 하느님 나라의 비유를 노동자 임금 문제로 풉니다. 세상의 정의와 평등은 하느님 나라의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포도원 일꾼의 품삯 비유로 세상 상식의 허점을 보여주십니다. 일찍 와서 더 많은 노동을 한 사람에게 더 많은 품삯을 주는 일이 상식입니다. 그런데 주인은 아침부터 일한 사람과 해 질 무렵에 온 사람에게 똑같은 임금을 지급합니다. 게다가 ‘맨 나중에 온 사람부터’ 나눠주니 먼저 온 사람들이 골을 낼 법도 합니다. 그러나 주인은 하루 벌어 하루를 살아야 하는 사람이 늦도록 일감을 얻지 못해 바동거리는 마음을 읽으십니다. 뉘엿한 해의 그림자 안에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의 그늘이 더욱 길고 깊었을 테니까요. 신앙의 시선은 먼저 사람의 그늘을 향합니다.

비유에서 예수님은 사람을 불편하게 자극하여 사람의 속내를 들춰냅니다. 먼저 온 사람을 뒤로 서게 하셔서 그들의 볼멘소리를 자극하신 듯합니다. 사람은 작은 일 하나에서도 자기 권리는 재빨리 주장합니다. 짧은 기다림으로 다른 이들의 염려와 간절함을 함께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을 자주 잊습니다. 그런데도 좀 더 커다란 사회와 체제의 불의와 불평등에 관해서는 자기 일 아닌 듯 무덤덤하게 살아갑니다. 오늘 구약 요나 이야기처럼, 자신의 작은 불편함에는 금세 골을 부리면서도, 많은 사람이 은총을 누리는 모습에 억울해하는 자신을 들여다보라는 요청입니다. 인내와 자비가 하느님의 길이니까요.

신앙인은 행복의 기준을 하느님께 둡니다. 다른 이들의 불행에 비교하여 자신의 행복을 가늠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넉넉한 은총이 기준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세상의 질서와는 달리, 기대하지 않았던 기쁨과 놀라움, 그리고 풍성하게 펼쳐지는 은총으로 드러납니다. 모든 것은 하느님의 소유이니 그분의 처분에 따라 널리 나누는 일이 신앙의 행동입니다. 남을 물리치고 먼저 움켜쥐려는 태도는 우리를 아귀다툼의 지옥으로 몰아갈 뿐입니다. 사람 생각으로 정한 정의와 평등을 넘어서, 불편하더라도 하느님의 정의와 평등을 바라볼 때 하느님 나라가 열립니다.

이 복음을 따르기 쉽지 않으나, 바울로 성인이 옆에서 격려합니다. “복음을 위하여 한 마음 한 뜻으로 굳게 서서 분투 노력하십시오. 그 용기가 우리에게는 구원의 징조가 될 것입니다. 믿음과 고난과 섬김은 우리의 특권입니다”(필립 2:27-29). 신앙인은 이 특권으로 긴 노동에 지친 이들을 쉬게합니다. 삶에 절망하는 이들을 위로합니다. 세상의 크고작은 불평등을 조금씩 없애나갑니다.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풍성한 은총의 경제를 믿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