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Sunday, July 2nd, 2017

a_cup_of_water.png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마태 10:40-42)

우리 삶에는 온갖 배척과 환대가 뒤엉켜 있습니다. 조직을 지키려면 바깥에서 온 낯선 이들보다는 안쪽에 있는 인맥에 기대는 편이 더 지혜롭다고들 합니다. 반면, 고인 물이 쉽게 썩는 일을 염려하여, 새로운 물갈이 말고는 공동체의 쇄신과 성장이 어렵다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습니다. 일상에서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도 어떤 이익 분기점이나 감정의 경계 막바지에서는 등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만든 배척과 환대의 기준은 정갈하지 않고 변덕스럽기만 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신앙인에게 주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감추고 덮으려는 거짓 세상을 향하여 진실을 외치고, 힘의 대결로 약속하는 거짓 평화에 저항하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것이 ‘가르치고, 선포하고, 고쳐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깃든 우리 교회의 선교 사명이자 기준입니다. 녹록지 않습니다. 세상 가치에 물든 종교가 약속하는 성공과 안위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대와는 달리 모진 고생과 박해, 상처와 손해가 뒤따르는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나 진실과 평화의 행동 안에서 제자와 예수님, 그리고 하느님이 서로 안에 머물며 일치하는 신비가 펼쳐집니다(40절). 이 신비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며 확장합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방식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이 신비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여 경계합니다(로마 6:12-23). 그것은 ‘신앙 기득권’과 ‘제멋대로 신앙’입니다. 율법은 애초에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심을 조절하고 제어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라고 하느님께서 주신 규칙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종교권력자가 자신은 쏙 빼고 다른 사람들만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율법은 선물이 아니라 지배와 배척의 도구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규칙과 제어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는 자칫 공동체를 또 다른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사도 성인은 우리에게 익숙한 지배와 예속, 자유와 정의에 관한 생각을 사뭇 다르게 풀어갑니다. 그 분명한 대조와 역설적인 표현은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 사람은 율법이든 은총이든 지배 아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에 지배받고 사로잡히겠느냐는 선택입니다. ‘죄’는 남을 배척하며 힘을 휘두르는 행동입니다. 그러나 ‘정의’는 다른 사람을 환대하여 섬기는 일입니다. ‘죄’는 제멋대로 개인적인 자기감정과 주장에 골몰하게 합니다. 그러나 ‘정의’는 하느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성찰하여 대화와 배움의 고된 행동에 예속하도록 이끕니다. 제멋대로 세운 배척의 기준과 자유의 환상은 교회를 죽음으로 몰아갑니다. 그러나 밖이든 안이든 새롭게 다가오는 낯선 도전의 은총을 환대하고 견디는 일은 교회와 세상을 풍요롭게 합니다.

자신의 보호막으로 사용하려는 율법과, 고된 도전으로 낯설게 배우려는 은총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하고 있나요? 자리를 지키려고 웅크린 배척의 감정과, 초대하며 부딪쳐 나누려는 환대의 마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나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이들은 오늘 우리 사회와 교회에서 누구인가요?

[전례력 연재] 역사의 전환 – 세례자 요한 탄생

Saturday, June 24th, 2017

deesis_modern.jpg

역사의 전환 – 세례자 요한 탄생 (6월 24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인들 가운데 탄생 축일을 정하여 지키는 분은 성모 마리아와 세례자 요한 두 분이다. 정교회 성당에는 제대를 둘러싼 성화벽(이코노스타시스)이 있다. 예수의 이콘을 중심으로 성모 마리아와 세례자 요한 이콘이 양쪽 곁을 지킨다. 성모 마리아만큼 세례자 요한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삶에 관련이 깊고 중요하다는 뜻이다.

교회는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련성을 축일 지정에도 반영했다. 4세기에 성탄절이 지정되고 6세기 초에 요한의 탄생 축일을 정했다. 성탄절에서 정확히 6개월 앞선 날짜이다. 다만, 6월 24일인 까닭은 다음 달 첫날부터 8일 전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12월과 6월은 하루 차이가 난다). 요한과 예수는 태어난 시간 차이만큼 자기 역할을 달리했고, 그 같은 날짜만큼 쌍둥이처럼 삶의 궤적을 같이 했다.

성서의 기록과 교회 전통은 세례자 요한을 예수 그리스도와 늘 비교하여 역사의 전환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첫째, 옛 시대와 새 시대의 전환이다. 세례자 요한은, 결혼하고도 아이를 낳지 못한다고 여겼던 즈가리야와 엘리사벳 부부에게서 태어났다. 즈가리야는 늙은 남성 제사장이었다. 그는 천사가 전하는 요한 수태고지를 믿지 못했다. 그 탓에 그는 아기가 태어날 때까지 말을 못 하게 된다. 반면, 예수는 아직 결혼하지 않은 마리아와 요셉에게 태어난다. 마리아는 젊은 여성이고 시골뜨기다. 그는 천사가 전하는 예수의 수태고지를 믿는다. 마리아는 입을 열어 마리아 송가로 하느님을 찬미한다. 이 비교에서 늙은 사람과 젊은 사람, 남성과 여성, 제사장과 시골 무지렁이, 그리고 믿지 않음과 믿음이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 세대와 성, 지위와 행동의 전환이 뚜렷하다.

둘째, 선구자와 주인공의 전환이다. 세례자 요한은 ‘회개’를 촉구하며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선포했다. 회개의 징표로 ‘물로 세례’를 베풀면서, 사람들에게 나쁜 행실을 그치고 자기 뒤에 오실 메시아를 준비하라고 외친 선구자였다. 반면, 예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참된 복’을 내리시고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이뤄지는 현실을 보여주신다. ‘성령의 세례’를 베풀어 그를 따르는 이들을 ‘벗’이라 부르신다. 예수는 자신을 따르는 벗들과 함께 하느님 나라를 몸소 살아가는 주인공이시다.

셋째, 선포와 실천의 전환이다. 세례자 요한은 구약 예언자 전통을 완성했다. 예언자는 ‘하느님 말씀을 대신 선포하는 사람’이었다. 한편, 예수는 ‘하느님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안에서 살아가는 분’이다. ‘말씀의 선포’를 넘어서서 ‘말씀의 실천’으로 전환되었다.

이 전환점에서 세례자 요한은 자신의 역할과 한계를 정확히 알고 분별한다. 정교회에서는 9월 23일을 세례자 요한 수태고지로 지킨다. 추분이라서 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시기이다. 예수 수태고지 3월 25일은 춘분이라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세례자 요한이 “나는 작아져야 하고, 그분은 더욱 커지셔야 한다”(요한 3:30)는 말이 반영된 축일 날짜이다.

이런 비교는 두 분의 우열을 가리지 않고 역사의 전환을 말한다. 옛 시대를 아름답게 마감해야 더 놀라운 새 시대가 펼쳐진다. 먼저 된 사람의 임무와 역할에 관한 깊은 통찰이다. 먼저 태어난 사람, 먼저 신앙인이 된 사람, 먼저 서품받은 사람, 먼저 배운 사람은 자기 경륜에 사로잡히기 쉽다. 자신의 능력과 지혜와 경험이 자기 세대에서 역할을 끝내고 미래 세대의 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종종 잊는다. 자기가 여전히 역사를 이끌고 간다고, 자기가 없으면 세상이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기 쉽다. 여기서 고집과 아집이 생겨난다. 이런 집착은 그동안 총명하고 지혜로웠던 눈을 가린다. 역사의 장애물이다.

세례자 요한의 탄생은 이 아집이 만든 역사에 전환을 촉구한다.

  1. [성공회 신문] 2017년 6월 24일 치 7면 []

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Sunday, May 7th, 2017

 cathedral_seoul.jpg

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요한 10:1~10)


유혹은 늘 달콤합니다. 나쁜 소문은 귀에 더 솔깃합니다. 진실을 가리고 세상을 어지럽히는 거짓 뉴스는 달콤하고 솔깃합니다. 보통 사람은 기존의 생각과 주장에 도전받기보다는 지지받고 싶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앙인은 새로운 도전 속에서 조금은 불편할지라도 진실한 목소리를 찾습니다. 거친 주장과 혼란한 잡음에 묻힌 희미한 진실에 귀 기울이고, 숨은 듯한 작은 싹을 눈여겨 발견합니다. 오늘 예수님 말씀대로, 작고 허름해도 그가 참된 목자이면 양들은 그 목소리를 알아듣습니다. 한눈팔지 않고 목자를 따릅니다. 목자는 온 힘을 다하여 양들에게 생명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가정은 진실한 사랑의 목소리를 식별하는 훈련의 공간입니다. 가정에서 우리는 사랑의 음성이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너무나 가까운 탓에 오히려 가정에서 서로 함부로 대하기 쉽습니다. 넘치는 사랑에서 나온 기대와 욕심으로 부모 자녀 사이에서 서로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합니다. 사랑이 오해에 자리를 넘겨주어 갈등과 상처가 생기기도 합니다. 세월이 한참 지난 후에야, 가족이 서로 멀어진 후에야, 오해 아닌 사랑을 깨달을라치면 이미 시간이 늦기 일쑤입니다. 자신의 욕심과 기대에 사랑을 묻어버리지 말고, 순간마다 작고 따뜻한 음성으로 서로 길들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세상의 거친 소음 속에서도 그 작은 사랑의 목소리를 잊지 않고 알아듣도록 우리의 마음과 귀를 매일 훈련해야 합니다.

교회는 사랑의 목소리를 더 큰 가족 안에서 나누는 평화의 공간입니다. 신앙인은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룹니다. 목자이신 그리스도의 이름 아래 새로운 가족이 되어 저마다 지닌 생명의 가치와 선물을 함께 축하하고 격려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모인 공동체이니 갈등과 불화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신앙 공동체는 자신의 주장과 식견이 아니라, 사랑이신 그리스도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고, 그리스도의 모습에 눈을 돌려서 우리의 길을 걷습니다. 자신과 자기주장을 기준으로 서로 맞서지 않고, 자기 너머에 있는 그리스도의 삶과 부활에 눈을 돌려 서로 맞선 시선을 같은 방향으로 돌려 맞춥니다. 참된 목자를 따르는 참된 양의 신앙입니다.

오래 전에 온갖 땀과 수고로 이곳에 세워진 서울주교좌성당은 사랑의 가정이고 평화의 성전입니다. 아기 예수님을 품으신 성모 마리아의 자애로움을 닮으려는 공동체입니다. 니콜라 성인처럼 미래세대 어린이 청소년 청년들과 세상의 힘없는 사람들을 껴안아 보살피고 선물을 듬뿍 나누려는 손길입니다. 어머니 마리아 성인의 염려와 기도와 사랑의 음성이 우리 자신과 우리 가정에 더 넘쳐나야 합니다. 보살피며 이끄는 목자 니콜라 성인의 기도와 베풂의 손길이 세상에 더 널리 펼쳐져야 합니다.

126년 전에 설립하여 축성 91년을 맞은 서울주교좌성당은 삭막한 도심에서 꽃과 나무의 생명을 보존하며 겸손하고 너른 품으로 지친 사람을 초대하는 쉼터입니다. 사랑과 평화를 실천하는 우리 가정과 우리 교회는 세상의 거짓을 넘어 진실을 알아듣고, 미움을 넘어 사랑으로 감싸고, 갈등을 넘어 평화를 만드는 성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