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모의 빛 – 선교를 향한 변화

Sunday, August 6th, 2017

Transfiguration.png

변모의 빛 – 선교를 향한 변화 (루가 9:28-36)

주님의 변모 축일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기도하시러 산에 오르셔서 영광스러운 빛으로 변모하신 사건을 기억하고 축하합니다. 주님은 사람들을 가르치시고 아픈 이들을 고치시고 배고픈 이들을 먹이시느라 아주 바쁘셨습니다. 그런데도 자주 홀로 떨어져 기도하는 시간을 잊지 않으셨습니다.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삶에서 자주 빠져나와야 새로운 신앙의 힘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 잠시 떨어져서 우리 삶을 지긋이 돌아볼 수 있습니다. 안주하던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꿈으로 삶에 변화를 키워낼 수 있습니다. 그 변화 속에서 그리스도의 빛과 교회의 선교가 세상에 펼쳐집니다.

사건은 산에서 일어납니다. 성서에서 산은 인간이 하느님을 만나는 공간입니다. 땅의 유한한 인생이 하늘의 영원한 차원으로 이어지는 곳입니다. 이 경계 위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환하게 우뚝 서셨습니다. 예수님처럼 신앙인은 아등바등 살아가는 땅의 생활을 하늘의 가치에 비추고 잇대며 살아갑니다. 자기 삶과 세상이 잘 변하지 않는 까닭은 땅의 염려에만 붙들려 골몰하기 때문입니다. 눈을 들어 고귀한 가치를 바라보며 떠나는 일이 변화의 시작입니다.

산 위에서 모세와 엘리야는 이러한 변화의 역사에 참여하라고 우리에게 손짓합니다. 모세는 판에 박힌 자신의 삶이 문제가 있다고 깊이 느꼈을 때 가녀린 떨기나무에 깃든 하느님의 불을 만났습니다. 말주변이 없어 주눅 들었던 그가 노예의 대탈출을 이끌었습니다. 예언자 엘리야는 하늘의 뜻을 기준으로 삼아 세상 권력을 비판하다가 모진 고생을 했지만, 하느님은 그를 하늘의 자리에 올려주셨습니다. 이처럼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누리는 자리에서 벗어나 하느님의 구원 활동에 참여하며 예수님과 만납니다. 이때 비로소 교회와 사회도 빛을 얻기 시작합니다.

변화를 향한 새로운 참여는 관습과 통념에서 탈출하는 모험입니다. 모세와 엘리야는 예수님과 함께 ‘죽음과 떠남’에 관해 논의합니다(31절). 이때 ‘죽음’에 해당하는 희랍어는 ‘엑소더스’(해방의 탈출)입니다. 교회와 사회 곳곳에 뿌리박힌 기득권의 관행을 그쳐야만 구원이 일어납니다. 그런데도 제자들은 오히려 겉에 드러난 영광만을 좇아 초막을 지어 머물려고 합니다. 안주하고 머물려고 온갖 변명과 뒷이야기마저 만듭니다. 그러나 하늘에서 들리는 소리는 “그의 말을 들어라!” 하는 명령입니다. 자신의 기득권과 명예 주장을 그치고 하느님의 일에 귀 기울여 참여하라는 일갈입니다.

신앙인의 목표는 높은 산에서 땅과 하늘을 이으시며 빛으로 변화하신 예수님입니다. 신앙인은 사람을 지치게 하고 억압하는 어두운 땅의 관습에서 떠나는 사람입니다. 모진 수고의 땀을 흘려 자유롭고 시원한 산의 높이에 올라서 하느님의 가치로 세상을 조망하는 사람입니다. 그 가치를 훈련하고 그 뜻을 품어 하산하여 교회와 세상을 바꾸는 노력에 참여하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신앙인이 이 땅에서 빛나는 존재로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이것이 신앙인의 교회가 세상의 변화를 향한 선교의 제자로 우뚝 서는 일입니다. 이때 주님의 비밀과 빛이 세상에 널리 드러나 펼쳐집니다.

밀과 가라지 – 인내와 훈련의 신앙인

Sunday, July 23rd, 2017

wheat-tares.jpg

밀과 가라지 – 인내와 훈련의 신앙인 (마태 13:24-30, 36-43)

지난주에 이어 예수님의 비유가 계속됩니다. 씨앗과 수확이 같이 등장하는데 상황은 사뭇 다릅니다. 복음서는 이번에도 역시 친절한 풀이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우리 삶과 신앙에 여러 어려움이 있더라도 하느님 나라는 끝내 완성되어 많은 이에게 수확의 혜택을 베풀리라는 약속입니다. 이 명백한 뜻을 되새기는 한편, 더 깊은 뜻을 헤아리려 합니다.

좋은 씨를 밭에 뿌렸는데, 밤에 나쁜 ‘원수’가 와서 가라지 씨를 뿌려 밀의 생육을 훼방합니다. 소식을 들은 제자들은 화가 나서 당장에라도 가라지를 뽑겠다고 덤빕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함부로 뽑다가 밀이 다칠까 염려합니다. 수확 때까지 기다려 ‘추수꾼’에게 맡기자고 합니다.

초대교회 내부에도 여러 갈등과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우리 교회에서도 좋지 못한 일들이 불쑥 튀어나오기도 합니다. 빨리 처분해야 할 문제도 있지만, 섣불리 손을 대다가 상처와 아픔이 애먼 데로 번질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없이 너그러워지라는 뜻일까요? 그보다 먼저, 나쁜 것들이 활개를 쳐 더러우니 모두 내팽개치지 말고 더 견디라는 부탁입니다. 절망하고 포기하면 교회와 공동체, 사회와 국가를 바르게 이끌어갈 사람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정말 악인들이 판을 치고 말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바른 사람들이 절망을 견디는 힘으로 다가옵니다.

바르게 견디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요? 오로지 깊은 배움과 모진 훈련에서 나옵니다. 오늘 비유에서 ‘성급한 제자’와 ‘숙련된 추수꾼’의 대조가 분명합니다. 농사 지어본 사람은 압니다. 가라지는 추수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당장 뽑아내야 합니다. 농부의 고된 일은 수확을 기다리는 데 있지 않고 잡초와 병충해를 막는 데 있습니다. 생육을 가로막는데도 내버려 두는 태도는 무책임합니다. 정작 문제는 책임을 다하겠다고 덤비는 제자들의 미숙함입니다. 의지와 패기는 가라지처럼 꼿꼿하게 넘치지만, 훈련으로 내실이 여문 알곡처럼 머리를 숙이지 못한 상태입니다. 신앙의 훈련이 미숙한 이들은 교회의 농사를 망칩니다. 오로지 숙련된 농부여야만 가라지를 식별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추수꾼’은 숙련된 신앙인입니다. 그들이 아니고서는 추수를 맡기기 어렵습니다. 추수할 일은 많은데 일꾼이 없다고 하신 예수님의 탄식이 이 때문입니다. 더욱이 무늬는 일꾼이고 추수꾼일지언정 가라지가 아니라 밀을 계속 뽑아내면서 책임을 다한다고 하면 공동체는 무너지고 맙니다. 우리 교회가 온갖 역경과 도전 속에서 빚어낸 신학과 신앙의 원칙을 깊이 되새기고 훈련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합니다. 그것은 성서를 공동체 안에서 읽고 도전받으며 더 깊이 배우는 학습입니다. 우리 전례와 신학의 전통을 깊이 새기고 몸으로 익히는 행동입니다. 시대의 변화를 사려 깊게 살펴 성서와 전통이 작동하도록 힘을 보내는 이성적 실천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인내와 훈련이 빚은 견실한 신앙 안에서 다가옵니다. 신앙인은 자신과 공동체 안에서 밀과 가라지를 식별하여 대처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로서만 하느님 나라의 도구인 교회가 바로 섭니다.

[전례력 연재] 시간 순종 참여 – 성 베네딕트 축일

Saturday, July 8th, 2017

st_benedict_rule.png

시간, 순종, 참여 – 성 베네딕트 축일 (7월 11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 베네딕트(480-540년)는 서방 교회 수도회의 아버지라 불린다. 당시 수도회 전통과 규칙을 집대성하여 6세기에 베네딕트 규칙서와 수도회를 만들었고, 이후 많은 수도회의 모본이 되었기 때문이다.

원래 축일은 별세한 날로 알려진 3월 21일이었으나, 사순절기에 겹쳐서 중요성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우려 때문에, 1969년 이후부터 7월 11일로 옮겼다. 8세기 말 어느 전례력에서도 그의 생일과 별세일을 같이 기념하여 7월 11일을 축일로 지킨 적이 있다는 증거와 판단이었다.

‘복되다’는 이름 뜻을 지닌 베네딕트 성인은 로마 귀족 출신이었고 좋은 교육을 받았으나, 상류 계층이 주도하던 사회와 문화에 큰 의문을 품고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성인의 신앙과 신학은 ‘베네딕트 규칙서’에 가장 잘 드러난다. 후대 사람들은 이 규칙서와 수도회가 서구 유럽의 문화와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한다. 영국 교회 초기 역사를 쓴 성 베다(762-735년)의 기록과 이후 역사를 보면 성공회의 영성과 신학에 끼친 영향이 역력하다.

“베네딕트는 공동 생활의 새로운 가능성을 꿈꾸었다. 욕심 없이 살며, 다른 사람이 거저주는 것에 만족하며, 기도로 일치하여 사는 삶이다. 주교직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교회의 삶이다”(성 베다). 그런 탓일까? 영국의 대다수 주교좌성당들은 베네딕트 수도회로 운영됐다. 공동체의 삶이 교구 조직의 중심이며, 그 핵심 생활은 성무일도와 성찬례라는 확신이었다.

현존하는 최고의 신학자 로완 윌리엄스 캔터베리 대주교(2012년 은퇴)는 베네딕트 영성 전통을 ‘시간의 균형, 순종, 참여’의 측면에서 요약한다.

첫째, 삶의 시간은 노동과 공부와 기도의 균형과 조화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시간은 무엇을 성취하는 데 대부분 사용되고, 그 피로를 풀려고 지나치게 노는 일로 채워지기 일쑤이다. 열심히 살기는 하지만 자신이 누구인지 잊고 사는 시간이 되고 만다. 그러니 잠시 멈추어 “기억을 되살리고 지성을 깊이 하고, 사랑이 성장하도록 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공부와 기도로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밖에 있는 남을 발견하고, 하느님을 즐기는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순종은 공동체 안에서 개인의 고집과 생각을 포기하는 훈련이다. 순종은 굴종이 다르다. 경청하는 일이다. 지위고하, 나이, 신분을 넘어서 서로 경청하는 행동이 진정한 권위의 시작이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경쟁적인 싸움을 거절하면서도, 자신의 삶과 조직에 균형과 억제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받아들여야 권위가 생긴다. 서로 피어나도록 돕고, 거룩함을 위해 서로 격려할 때 참 공동체가 마련된다.

셋째, 참여는 사회와 조직의 삶에서 소임을 찾아 책임을 다하는 일이다. 자신의 소임을 누구에게 맡겨놓고 방관해서는 권위가 나오지 않는다. 이러면 계속 수동적인 삶을 강요받게 되고, 그 영혼은 상처를 입는다. 그 상처 난 영혼에서 난폭한 분노와 테러리즘이 나온다. 중앙집권적인 문화는 참여가 없는 문화이다. 관료정치는 비인간적인 정치이다. 이에 맞서는 힘과 내용을 갖추고 활발히 연구하고 논쟁하는 일은 그리스도인의 책임이요 참여이다.

윌리엄스 대주교는 베네딕트 영성 안에서 성서의 인간학을 이렇게 요약한다. “우리 인간은 서로 섬기고, 모든 이를 위해 각 사람에게 주어진 특별한 선물을 존중하고 격려하며, 이로써 관상적인 기쁨을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1. [성공회 신문] 2017년 7월 8일 치 7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