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10년 전 캔터베리 대주교 지명 특집 기사

Friday, March 16th, 2012

로완 윌리암스 제104대 캔터베리 대주교가 올 2012년 12월까지 대주교직을 수행하고 사임하기로 공식 발표했다. 작년 초부터 이미 떠돌던 풍문이었다. 지난여름 회의차 영국에 방문했을 때, 그 사안을 잘 아는 지인도 확인해 주었는데, 그때 그의 말과도 일치하는 발표다.

여러 생각이 겹친다. 성공회 성직자가 된 이후로 가장 흥분하며 그의 지명을 지켜봤고 환호했다. 뛰어난 교회사학자요, 영성신학 전문가요, 성공회 전통과 정교회 전통을 접목하여 성공회 신학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에 새로운 신학적 통찰을 전해준 전형적인 학자였다. 사임 후 다시 학교로 가서 가르치신다 하니, 지난 10년의 대주교직 활동을 생각할 때, 훨씬 나은 일이고, 성공회에도 훨씬 이바지할 일인 듯싶다.

지명 소식을 듣고 반가움에 넘쳐, 당시 내가 관리하던(1997년 시작부터 2002년 말까지) 한국 성공회 웹페이지에 특집란을 만들고 여러 자료를 번역해서 올렸었다. 시간이 흘러 관리자가 바뀐 뒤 웹페이지 백업도 없었고, 나 자신도 그 자료를 찾을 길이 없었다. 혹시나 해서 찾아본 archive.org 역시 대단하다. – 10년 전 한국 성공회 웹페이지가 그대로 보관되어 있다. 그때는 모두 텍스트 에디터로 html 문법 써가며 작업했는데, 감회가 새롭다.

우선 당시(2002년) 자료를 archive.org 백업 자료를 이용하여 연결한다(발뺌: 몇몇 이미지는 깨진다). 나중에 로완 대주교에 대한 사적인 ‘잡감’을 올리겠다.

104_ABC_RW_News_Screen.png

캔터베리 대주교, 성탄 편지 2011

Thursday, December 15th, 2011

캔터베리 대주교, 세계 교회에 보내는 성탄 편지

벗들에게,

“나는 이제 곧 하늘과 땅, 바다와 육지를 뒤흔들고, 뭇 나라도 뒤흔들리라.” (하깨 2:6-7)

지난 한 해 동안 많은 이들은 지금이야말로 “뭇 나라”가 흔들리는 시대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있었던 엄청난 사건들, 유럽과 미국을 덮친 경제 위기 등, 이 모든 것은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어떤 구조들이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를 되새겨주었습니다. 정치적 동일성이나 재정적인 안정성도 취약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제 다만 흔들리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를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물음과 더불어, 우리는 여러 사상가가 최근에 사용했던 한 문구를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즉 우리는 “흔들리는 이들의 연대”를 경험하라는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세계가 얼마나 상처입기 쉬우며, 이 세계가 얼마나 불안정한지를 깨달은 이들이 함께 이루는 관계를 깨달아야 한다는 부르심입니다. 서로에게서 같은 연약함을 깨닫는 일은 정말로 깊은 의미의 연대입니다. 이 연대가 우리의 의심과 두려움을 극복합니다.

그 연대는 인간이 지닌 조건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우리 자신의 안전을 위한 어떤 이야기를 하든, 어떤 전략을 세우든, 진실은 인간은 변화에 종속된 존재이며, 고통의 위험에 처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우리 안에서 변하지 않은 것은 깨지기 쉬운 우리 인간이 본질입니다. 하늘과 땅, 바다와 육지, 그리고 모든 나라가 흔들릴 때, 우리가 가장 깊이 생각해야 할 진리는 우리의 궁핍과 우리의 가난입니다.

성탄의 복음은 사회 개선 정책이 아닙니다. 그 복음은 자신이 가진 부와 권력이 인간의 공통 숙명에서 자신을 자유롭게 하리라 생각하는 이들 위에 내리는 심판입니다. 그 복음은 사람들이 가장 가난한 이들과 이미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줍니다. 비록 사람들이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그 복음은 또한 이러한 연결과 연대는 겸손과 너그러움을 가져야 하고, 그리고 모든 이들을 위한 진정한 정의를 추구하는 형태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성탄의 복음은 인간 역사에 일어난 가장 놀라운 사건을 거듭하여 지적하며 그 점을 우직하게 전합니다. 하느님께서 아무런 힘이 없는 아이의 모습으로 우리 안에 오셨다는 것입니다. 진실로 인간이 된다는 것은 무엇인가요? 고대 세계의 현자들과 정치가들은 인간 존재의 아름다움과 이성, 그리고 한계를 넘어서는 자유 안에서 참된 인간성을 보았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복음은 베들레헴에 태어난 가난한 아기를 참된 인간으로 보라고 말합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절대 변하지 않은 것을 알고 싶나요? 우리의 연약함을 보면 됩니다. 실제로 우리가 태어날 때는 다른 사람의 사랑과 보호가 필요하지 않나요? 이 점을 망각하면 할수록, 우리는 진정한 인간의 존엄성에서 점점 멀어질 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 사실을 기억할 때라야, 우리는 진정한 자유, 하느님과 같은 자유, 사랑을 주고받는 자유 안에 들어서게 됩니다.

“여러분은 우리 주 그리스도께서 얼마나 은혜로우신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분은 부요하셨지만 여러분을 위하여 가난하게 되셨습니다. 그분이 가난해지심으로써 여러분은 오히려 부요하게 되었습니다”(2고린 8:9). 이 말씀을 믿을 때 우리는 흔들리지 않는 터전에 서게 됩니다. 그 터전 위에 우리의 희망, 정의와 자비를 위한 우리의 행동을 세워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오직 이 터전 위에 우리를 새롭게 세우시기를 빕니다.

그리스도의 보혈로 세우신 교회를 보살피는 모든 이들에게, 사랑과 기도의 인사를 전합니다.

캔터베리 대주교 로완 윌리암스

~~~
번역: 주낙현 신부
원문: http://goo.gl/zfczX

창조, 인간-몸, 물질: 윌리암스 & 슈메만

Monday, June 13th, 2011

“창조 이야기, 성육신 이야기, 그리고 그리스도의 몸과 누리는 친교에 우리가 참여한다는 이야기 전체가 전하는 바는 이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원하신다. 마치 우리가 하느님이기를, 마치 하느님께서 삼위일체의 삶 속에서 만드신 하느님의 선물에 우리가 조건 없이 응답하기를. 우리는 창조되었기에 이 관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께서 하느님을 사랑하듯이 우리를 사랑하심을 배우며 하느님의 깊은 사랑 안으로 들어가 성장한다. 그리스도교 공동체 생활은 이것을 가르쳐서 그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이 누군가의 열망 속에 있으며, 기쁨의 존재인 것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돕는 일이다.” – Rowan Williams, “Body’s Grace” (1989)

“우주에서 인간의 독특한 위치는 인간만이 하느님에게서 받은 음식과 생명에 대해서 하느님을 찬미한다는 데 있다. 인간만이 자신의 찬미(blessing)로 하느님의 축복(blessing)에 응답한다. 에덴동산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인간이 사물의 이름을 짓는다는 것이다… 성서에서 이름은 사물 자체의 지극한 본질을 드러낸다. 그것은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그 이름 때문에, 그 이름으로, 하느님을 찬미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성서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는 일은 ‘종교적’이거나 ‘제의적’인 것이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삶의 길이다. 하느님께서 세상을 축복하셨다. 인간을 축복하셨다. 제7일째(시간)를 축복하셨다. 이는 하느님께서 그분의 사랑과 선함으로 모든 것을 채우셨고, ‘참 좋은 것’으로 만드셨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축복되고 거룩한 세상을 주신 하느님께 드릴 인간의 오직 자연스러운(초자연적이 아닌) 응답은 하느님께 축복과 찬미를 돌려 드리는 일이다. 감사하는 일이다. 하느님께서 세상을 보는 방법으로 우리 역시 세상을 보는 일이다. 이러한 감사와 예배의 행동 속에서 우리는 세상을 알고, 세상에 이름을 주고, 세상을 소유한다… 인간은 그 무엇보다도 ‘호모 아도란스'(예배하는 인간)이다. 인간은 세상의 중심에 서서 하느님을 찬미하는 행동, 즉 하느님에게서 받고 다시 하느님께 봉헌하는 행동 속에서 세상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성찬례를 통하여 세상을 채움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삶과 생명을 변화시킨다. 세계에서 받은 생명과 삶을 하느님 안에서 친교를 누리는 생명과 삶으로 변화시킨다. 창조된 세상은 ‘물질’이다. 이것이 하나이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성찬례의 재료이다.” – Alexander Schmemann, For the Life of the World.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