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걱정, 진짜 신앙

Sunday, February 26th, 2017

cross_flower.png

가짜 걱정, 진짜 신앙 (마태 6:22-34)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꽤 널리 알려진 이 티베트 속담에는 지혜와 핀잔이 함께 들어있습니다. 삶이 복잡하다 보니, 하느님께 모든 일을 맡기겠노라 다짐하는 신앙인의 삶도 염려와 걱정이 없을 리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걱정하는 신앙인을 핀잔하시지 않습니다. 다만, 그 이유를 밝히시고 우리 마음을 격려하시고, 마음의 방향을 바꾸라고 초대하십니다.

‘선택하십시오. 하느님입니까, 재물입니까?’ 우선순위를 정하라는 명령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사람이 먹을 것과 입을 것, 돈과 재물 없이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아셨습니다. ‘주님의 기도’에서도 분명히 ‘하루에 필요한 양식’을 달라는 요청이 있습니다. 삶에 필요한 재물을 주시는 분은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을 먼저 섬기는 일은 우리를 자유와 은총으로 이끌지만, 재물에 먼저 눈을 팔면 걱정과 불안의 노예로 전락합니다. 재물과 안정에 안달하다 생긴 불안과 걱정을 덜어달라고 하느님을 부르면 신앙이 아니라 염치없는 일입니다.

세상의 기준이 부추기는 재물의 성공과 지위의 성취는 우리를 자주 환상으로 이끕니다. 돈과 권력이 있으면 우리 사람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리라는 환상입니다. 오늘 사도 바울로가 경고하는 ‘자기기만’입니다(1고린 3:18). 이 환상이 현실이 되어서 잠시 기쁨이 넘치기도 하지만, 금세 또 다른 염려와 걱정에 사로잡히기 일쑤입니다. 마음과는 달리 타인의 성취가 부러움과 질시의 대상으로 다가오고, 자신의 처지가 부끄러워 보이기도 합니다. 얻은 사람은 그 성취감에 휘둘려 타인을 업신여기는가 하면, 얻지 못한 사람은 낭패감에 휩싸여 자신을 낮추어 봅니다. 재물이 가져다준 환상과 기만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존재 그 자체를 보십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입을 빌려 우리의 정체를 밝히십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손수 빚은 사람”입니다. 하느님의 수고와 숨결이 깃든 우리 존재가 저 잘난 환상과 저 못난 패배감에 둘러싸인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자신의 성공을 유지하거나, 자신의 상처를 보호하려 자기만의 ‘성’을 쌓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성이 아니라, 자신의 감옥이 되고 맙니다. 이 감옥에서 가진 것을 잃을까 염려하고, 더 상처받을까 걱정하고만 삽니다.

하느님께서 초대하십니다. “감옥에서 어서 나오너라”(이사 49:9). 웅크리고서는 사랑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기 기만과 연민의 자기 중심성은 하느님의 사랑을 가로 막습니다. ‘가짜 걱정’에 휩싸여 자신의 위로와 안위를 먼저 구하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하느님께서 어련히 하시겠느냐는 위로입니다. 그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와 하느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일을 구하라”는 명령에 따라는 사는 일이 ‘진짜 신앙’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삶의 여러 질곡에서도 사랑으로 보살피시니, 우리는 세상을 자유와 정의와 평등으로 보살피는 신앙인입니다.

하느님의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Sunday, February 19th, 2017

A Pair of Trees, Dearborn, Michigan, USA. 1995  

하느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마태 5:38-48)

종교와 신앙은 이 세상에서 필요한 것을 구하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이루려는 마음에서 생겨났습니다. 연약한 자신보다 더 큰 능력자를 신으로 만들어 그 도움을 빌자는 마음이 생겨납니다. 불행을 피하고 복을 구하는 마음이야 인지상정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연약함을 틈타 종교를 악용하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을 종교의 숭배 대상으로 삼고 사람들을 얽어매기 시작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이때 등장하셨습니다. 인간이 만든 종교의 신과 결탁하여 사람을 짓누르는 정치권력에 대항하시는 하느님입니다. 이집트에서 노예의 탈출을 이끄신 하느님이십니다.

이 해방과 자유의 경험 속에서 하느님은 인간을 평등하게 창조하셨다는 기억의 신앙을 마련하셨습니다. 가장 높으신 하느님이 보시기에 인간의 우열다툼은 우습기만 합니다. 그분의 햇빛과 비를 혼자서 독점할 수 없습니다. 인간은 창조의 하느님 앞에서 모두 같습니다. 다만, 인간은 하느님보다 낮은 미물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으로 태어난 보물입니다. 이 하느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사람들 저마다 그 사랑을 품고 있다는 확신이 그리스도교 신앙입니다. 이 관계를 기억하며 서로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려는 약속이 율법입니다. 그런데 다시 존중과 예의의 율법이 남을 억누르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면요? 개혁과 회복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율법의 뜻을 회복하십니다. 자기 자신의 주장과 성취를 향하면 율법의 길은 부패합니다. 율법은 하느님과 이웃이라는 ‘남’을 향할 때, 그 의미가 되살아납니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은 너무 유명하지만, 문자 그대로 따르기 어렵습니다. 다시 생각하면, 우리 잣대로 ‘원수’를 지정하지는 않았나요? 타인의 잣대, 하느님의 잣대를 적용한다면 그가 꼭 원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사랑이 더 가까워집니다. 오늘 복음의 다른 명령들도 모두 ‘타자’와 ‘낯선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묻습니다.

하느님의 거룩함은 새롭고 낯선 생명을 창조하시고 기뻐하신 데 있습니다. 인간의 거룩함은 창조의 하느님께 감사하고 낯선 이들 안에 있는 하느님의 흔적을 기뻐하며 함께 축하하는 데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거룩하시니, 우리도 거룩합니다. 이 일을 잊을 때, 하느님께서 다시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사건을 일으키십니다. 낯선 타인들을 위해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자신을 바치실 때 역사가 바뀝니다. 자신의 몸과 피를 내놓아 우리에게 음식으로 나누어주실 때 거룩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거룩하고 완전한 부활의 새로운 생명이 피어납니다.

새 창조와 부활의 축제인 성찬례는 하느님의 창조와 사랑을 기억하는 행동입니다. 함께 모인 모든 사람이 하느님 안에서 형제자매로 태어난 것을 확인하고, 서로 최대의 예를 갖추어 존중하고 그들의 자유와 희망을 서로 격려하는 자리입니다. 우리 자신이 멋대로 세운 정의의 기준이 아니라, 주님의 은총으로 우리 자신의 빛과 어둠을 함께 비추는 곳입니다. 빛과 어둠이 불안하게 교차하는 우리 삶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살려고 발버둥 치다가 서로 깨져버린 관계를 조심스럽게 하나로 붙이는 일치의 자리입니다. 서로 같은 점을 찾아 동행을 시작하는 곳입니다. 하느님이 거룩하시니 우리가 서로 거룩하다는 확신을 체험하는 자리입니다. 이 거룩함이 하느님의 꿈, 우리의 신앙입니다.

뒤집어야 열리는 행복

Sunday, January 29th, 2017

sermons_on_mountain.png

뒤집어야 열리는 행복 (마태 5:1-12)

예수님께서 빛으로 오셔서 널리 드러나셨으니, 그 제자들과 신앙인들도 그늘진 세상에 빛을 비추며 삽니다. 신앙인의 존재 이유입니다. 그런데 세상에는 오히려 종교와 신앙의 이름으로 사회 곳곳에 만든 음습한 그늘이 널렸습니다. 거기에선 거짓이 곰팡이처럼 번집니다. 하느님께서 모세를 불러 십계명과 율법을 주시며 그 가르침과 길을 따르라 하셨으나, 율법은 금세 스스로 ‘선택받은 자’라고 으스대는 자들이 다른 사람을 속박하는 도구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새 역사를 여시며 새 가르침을 주십니다. 사람을 옭아매는 과거 율법을 뒤집어, 사람에게 참된 행복을 선사하는 은총의 복음입니다.

마태오복음서는 새롭게 열린 은총의 법입니다. 복음서를 가로지르는 예수님의 가르침 다섯 묶음은 모세오경을 교체하고 뒤집습니다. 그 첫 단락 참된 행복 선언은 십계명을 넘어서며 우리 시선과 행동을 새로 열어줍니다. 십계명은 여전히 하느님과 우리 인간이 나누어야 할 관계, 인간과 인간 사이에 펼쳐야 할 관계를 가르칩니다. 그러나 명령과 조건이 가득한 계명은 압박과 통제의 수단이 되기 쉽습니다. 이에 반해, 복음은 우리의 모질고 거친 삶 자체에서 깃든 복락의 씨앗을 발견하시며 축복합니다.

모세가 험하고 외로운 시나이 산에서 십계명을 받았다면, 예수님은 여럿이 함께 오른 산 위에서 하느님께서 주시는 복락을 선언합니다. 높은 산의 지위를 독점하는 권력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올라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잡고 가르칠 때, 참된 권위가 섭니다. 세상에서 작고 비천하다고 취급받는 이들을 ‘산 위’로 끌어올려 ‘곁에’ 앉히실 때, 예수님께서 여시는 하느님 나라의 질서가 작동합니다. 세상 풍파로 가난하고 슬퍼하는 사람, 온유함을 갖추고 정의를 목말라 하는 사람, 깨끗한 마음으로 자비와 평화를 위해 사는 사람, 박해를 받는 사람이 복을 받고 그 삶이 칭송받는 질서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예수님께서 뒤집은 질서를 깊이 마음에 새깁니다. ‘이 세상 안에서 지혜 있고 강하다는 사람을 부끄럽게 하시려고, 이 세상이 보기에 어리석고 약한 사람을 선택하셨습니다’(1고린 1:26-28). 바울로 성인은 말끝마다 ‘이 세상’이라는 조건을 붙입니다. ‘이 세상’에 대항하여 ‘하느님 나라’에 깃든 가치를 세우라는 요청입니다. ‘이 세상’의 지식과 지혜와 지위가 아니라, ‘하느님 나라’의 지식과 지혜와 지위를 찾으라는 말입니다. 어거스틴 성인이 말한 대로, “이 세상의 사사로운 사랑이 아니라, 하느님 나라의 넓고 거룩한 사랑”을 분별하라는 당부입니다.

‘이 세상 속에서’ 경쟁하여 얻어내고 오른 성공과 성취는 예수님이 선포하는 은총과 행복에서 거리가 멉니다. 이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해방되는 길을 시작해야 합니다. 연약한 이들을 함께 초대하고 끌어올려 곁에 앉혀 누리는 삶이 행복의 길입니다. 세상의 시각을 뒤집어서 돌이켜야 참 행복의 길이 열립니다. 그 길을 예수님께서 비추시니, 함께 올라 누리며 빛의 길을 걸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