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

Saturday, July 28th, 2018

John_Keble.png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대한성공회 <1999년 시험예식서>는 우리 기도서 역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꾀했지만, 그 제안이 너무 과감한 탓에 외면받고 말았다. 애석한 일은 그 안에 담으려 했던 신학과 신앙의 고민마저 덩달아 묻히고, 성공회 전통의 균형감 있는 회복 노력도 잊혀졌다는 사실이다. 당시 교회력 개정 제안은 성공회 신앙의 넓은 특징을 아울러, 복음주의, 성공회-가톨릭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성인을 넣으려 했다. 이에 따라 각각 존 웨슬리, 존 키블, F. D. 모리스를 올렸으나, 무슨 연유인지 <2004년 기도서>에는 존 웨슬리만 들어갔다.

존 키블(John Keble, 1792-1866) 신부는 19세기 이후 성공회 전통을 새롭게 쓴 ‘옥스퍼드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이 운동은 그가 1833년 옥스퍼드대학교 채플에서 ‘국가의 배교’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영국 의회가 아일랜드 교구 수를 크게 줄이기로 결정한 일이 있었다. 키블과 동료 성직자들은 이 처사가 국가 권력이 함부로 교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신앙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 설교는 복잡한 정치 배경을 살펴야 한다. 요약하자면, 하느님과 그리스도가 국가 권력 위에 있으며, 교회는 복음의 가치로 세속 권력의 방향을 비추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당시 영국의 국교 체제가 교회에 드리운 그늘을 벗어나, 성사인 교회의 독립성을 선언하고, 교회의 바른 전통과 실천에 따라 신앙 쇄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깊은 성찰과 용기가 맞물린 그의 외침에 많은 성직자와 신자가 반응했다. 교회는 역사의 바른 신앙 전통과 질서, 신학과 교리를 되살려서 사회를 이끌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교회와 정치의 관계 방향도 새롭게 조정했다.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성실한 연구와 쇄신의 주장이 소책자로 발행돼 널리 읽혔다. 옥스퍼드 운동을 ‘소책자 운동’(Tractarian Movement)이라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운동에서 뉴먼(Newman)이나 푸지(Pusey)가 아니라 키블의 축일을 기념하려는 이유가 있었다. 뉴먼은 신학의 지적 전통 회복에 힘썼으나 곧 천주교로 넘어갔고, 푸지 역시 천주교에 기울어진 신심 생활 강조가 과도했다. 키블은 자신의 신학 능력과 문학적 재능을 곁들여 성공회 사목 활동에서 이 운동을 꽃 피웠다. 그는 대학의 문학 교수로 짧게 재직한 이후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현장 교회 사목자로 평생 살았다.

키블은 이미 <교회력 – 절기와 축일 주제에 따른 시집>(The Christian Year, 1827)을 출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은 교회 전통이 마련한 ‘그리스도의 시간 살기 계획표’인 전례력에 따라 성서를 읽고 전례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사람이다. 이 시집에서 따온 가사로 만든 수많은 성가는 지금도 널리 사랑받는다. 안타깝게도 우리 성가집에는 하나 밖에 없다. 어느 시편에서 그는 이렇게 노래한다.

“새로운 아침은 모두 사랑이라네 / 우리가 눈 뜨고 일어날 때 밝혀지듯이 / 잠과 어둠을 넘어 안전하게 다가온 사랑이 / 우리의 삶과 힘과 생각을 회복하나니. // …

사소한 것들과 공동의 임무가 / 우리가 바라는 대로 우리의 처소를 꾸며 주리니 / 그것은 우리 자신을 위한 방이 아니라 / 우리를 매일 하느님께로 가까이 이끄는 길이나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7월 28일 치 []

오래된 미래 – 성공회

Sunday, June 24th, 2018

Ancient_Futures.png

오래된 미래 – 성공회1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성공회신학)

<오래된 미래> Ancient Futures 라는 책은 1991년 출간되어 현대인의 삶에 깊은 성찰을 제시했습니다. 히말라야 자락 ‘라다크’ 사람들의 전통과 변화를 살피며 새로운 삶의 대안을 고민하도록 합니다. 우리가 자주 잊거나 잃은 가치를 되새겨 줍니다. 불행하고 절망하는 삶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이를 넘어서는 방법에 관한 고민과 지혜를 나누려 합니다.

라다크 사람들은 ‘전통’의 지혜 안에서 생태 친화적인 공동체로 살았습니다. ‘전통’은 혹독한 자연환경을 견디며 터득한 선조의 지혜와 가치입니다. 세대 간 협력과 공동 소유, 검소한 생활의 실천이기도 합니다. 이런 생각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관광 개발이 시작되어 실제로 생활 편의는 나아졌지만, 사람들은 더 가난하다고 느끼고 공동체 문화도 부서지기 시작했습니다. 과거로 돌아가거나 현대화의 홍수에 몸을 맡긴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전통의 가치와 현대의 흐름을 새롭게 접붙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오래된 미래’는 성공회의 전통과 고민에 딱 맞는 말입니다. 실제로 성공회 신자이자 예배학자로서 개신교 신학교에서 오래 가르친 로버트 웨버 교수가 이 말을 교회와 전례에 적용해서 반성을 이어갔습니다. 교회는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너무 쉽게 예배와 신학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운 변화에만 눈을 돌렸습니다. 전통을 시대와 관습에 가두어 기득권을 휘두르는 세력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전통의 근거와 성찰의 거울이 부족한 채 시도하는 ‘새로운 변화’는 매혹적일지 몰라도 자주 위태롭습니다. 교회를 성사(sacrament)와 역사의 실체로서 살지 못하면 친목 단체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개혁과 대안의 실상이 의도와는 반대로 개인주의와 영성주의로 미끄러지는 이유입니다. 그 결말은 대체로 종교 상품화과 소비주의입니다.

성공회는 신앙의 ‘오래된 미래’입니다. 초대교회 전통에서 길어 올린 예배와 신앙의 가치로 사려 깊게 자신을 빚어내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교리에만 얽매이지 않고, 현대 학문에서 배우고 대화하며 오늘의 문제들과 정직하게 씨름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예배는 오랜 신앙의 선조들과 함께 하느님을 찬양하도록 초대합니다. 켜켜이 쌓인 역사를 전례 안에서 체득하고 음미하여 새로운 시공간을 상상하고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성공회 교리와 신학은 신앙의 가치를 오늘에 되살리려고 정직하게 흔들리며 배웁니다. 그 흔들림이 아름다운 교회입니다. 교회는 예배와 배움 안에 모인 사람들이 부족하나마 함께 모여 하느님 나라를 미리 맛보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미래인 성공회는 당장 시원하지만 갈증만 더하는 ‘사이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깊은 우물에서 길어 올린 맑은 정직한 생수를 나누려 합니다. 당장 손에 잡히는 생색내기 성과로 사람을 탈진하게 하지 않습니다. 다만, 오래 곰삭아 빚어진 맛과 영양의 잔치를 널리 나누려 합니다. 음식을 내는 오래된 그릇이 조금 답답하고, 시중드는 걸음이 흔들려 조금 못 미더워도, 서로 받아주고 견디어 순례의 잔치를 이어갑니다.

오래된 미래의 잔치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8년 6월 24일 치 []

[전례력 연재]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

Saturday, May 12th, 2018

lectionary_bible.jpg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교회력)의 목적은 분명하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펼쳐진 구원의 역사를 축하하고, 주님의 삶을 우리 삶에 포개어 사는 일이다. 신앙인은 이를 전례 안에서 훈련하고, 성서 안에서 확인한다. 전례력에 따라 ‘전례독서’(성서정과)를 마련하여 복음에 드러난 주님의 삶과 가르침을 되새기고, 서신성서에서 교회의 신앙을 확인하는 이유이다.

‘전례독서’는 정해진 절기와 주제에 따라 전례 안에서 성서를 읽는 방법이다. 그 기원은 유대교까지 올라간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 펼치신 구원 역사를 매년 되새기도록 1년에 걸쳐 ‘토라’(모세오경)를 읽는 전통이 있었다. 그리스도교는 이 전통을 이어받아 일찍부터 전례독서를 마련했고, 전례략이 정비된 5세기에 이르러 그에 맞는 ‘전례독서’가 자리 잡았다. 초기 전례독서는 복음과 서신서로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약은 크게 중시하지 않았고, 시편은 성가대의 노래로 편곡하여 불렀다. 대체로 1년 주기 전례독서로 매년 되풀이하여 읽었다.

1960년부터 전례독서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천주교는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전례 개혁을 교회 개혁의 첫걸음으로 삼았다. 전통적인 1년 주기 독서를 개정하여, 공관복음서(마태오, 마르코, 루가)에 바탕을 두고, 요한복음서를 주제에 따라 삽입한 3년 주기 독서를 마련했다. 1969년의 천주교 전례독서는 전례독서에 관한 이해를 크게 증진했다. 당시 기도서를 개정 중이던 성공회와 루터교가 이를 적극 수용했고, 다른 개신교들도 잇따라 도입했다. 이로써 3년 주기 주일 성찬례 전례독서와 2년 주기 매일기도(성무일도)의 독서가 마련됐다. 물론, 교단 전통에 따라 조금씩 수정하여 사용한다.

북미 그리스도교 연합 모임인 ‘공동전례문위원회’는 수년의 노력 끝에 1983년 ‘공동전례독서’를 출간했다. 이후 다른 영어권 교회들과 협력을 확대하여 1992년 ‘개정공동전례독서’(Revised Common Lectionary: RCL)를 내놓았다. 성공회는 대체로 이 전례독서를 따른다. 대한성공회는 1983년부터 ‘공동전례독서’를 따르기 시작했다.

주일 전례독서는 3년 주기이다. ‘가’해는 마태오 복음서, ‘나’해는 마르코 복음서, ‘다’해는 루가복음서를 따라 주님의 길을 걷는다. 요한복음서는 주요 절기들(대림/성탄, 사순/부활)에 사용되며, 짧은 마르코 복음서를 보충하여 ‘나’해에는 요한 6장을 덧붙여 사용한다. 전례력의 주제는 같지만, 복음서의 특성에 따라 해마다 강조점이 다르다.

최근 전례독서의 큰 변화는 구약성서의 재발견이다. 구약과 신약에 드러난 구원 역사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구약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노력이다. 전통적으로 구약을 복음서의 주제에 따라 배열한 ‘선택 독서’가 있고, 새롭게 구약의 흐름을 존중한 ‘계속 독서’가 있다. 천주교는 전자를 고수하지만, RCL은 ‘계속 독서’와 ‘선택 독서’를 모두 제시하여 설교자가 선택하도록 배려했다. ‘선택 독서’든 ‘계속 독서’든 한 방식을 선택하면, 한 해 동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전례독서’가 3년 주기로 반복되는 탓에, 사목 상황과 사목 주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자의적으로 성서 본문을 선택하는 개신교 예배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데 많은 성서학자가 동의한다. 세계 여러 교회가 같은 전례력을 지키며 같은 성서 본문을 두고 성찰하는 일은 한 분이신 구세주 그리스도를 함께 고백하고 따른다는 중요한 징표이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5월 12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