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Saturday, August 25th, 2018

st_augustine_hippo.png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주교 축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북부 아프리카 히포의 주교 어거스틴(라틴명: 아우구스티누스, 354-430년)은 ‘서방 교회’ 역사상 최고의 신학자로 꼽힌다. 그의 신학은 서방 교회의 형제인 천주교와 성공회, 그리고 모든 개신교에 영향을 주었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외쳤던 ‘성서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어거스틴 신학을 다시 살려내자’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의 신학은 초대 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종합하여 중세 교회를 열었다. 그는 진리를 향한 여정을 멈추지 않았고, 마침내 그리스도교 신앙의 순례를 새롭게 열었다.

어거스틴은 로마 제국의 변방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었던 어머니 모니카가 그를 그리스도인으로 키웠으나 세례는 받지 않았다. 당시 최고 교육을 받으며 법률가가 되려 했으나, 점차 플라톤 철학에 관심을 두고 학자와 교수의 길로 나섰다. 그는 한동안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마니교’에 빠져 어머니의 신앙에서 멀어졌다. 마니교는 세계를 ‘영와 물질’, ‘빛과 어둠’, ‘선과 악’으로 나누고, 두 세력의 싸움으로 우주와 인간의 흥망성쇠를 설명했다. 이 매력적인 이분법과 이원론은 세상을 확고하게 관통하고픈 젊은 어거스틴을 사로잡았다.

그는 마니교의 확실한 이론 체계가 실은 닫힌 사고라는 점을 서서히 알아차렸다. 스스로 영성 엘리트들이라 뻐기던 ‘영지주의자’들의 교만과 무책임한 태도를 확인했다. 그는 머물지 않고 배움의 여행을 계속하되, 얕게 걷지 않고 자신을 던져 그 깊이와 한계를 체험하며 나갔다.

마침내 그는 그리스도교로 돌아왔다. 어머니 모니카의 깊은 기도 때문이라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더 큰 영향을 준 인물은 당시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스 성인(340-397년)이었다. 처음에는 수사학에 뛰어난 주교에게서 논리 기술이나 배우려 했지만, 차츰 그리스도교 신앙의 논리와 깊이에 매료됐다. 그가 사막 수도자 안토니오 성인의 생애를 읽을 때 환청이 들려 펼쳐 읽었다는 로마서 구절은 그의 회심을 이끌었다. “진탕 마시고 취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로마 13:13-14).

그가 방탕하며 살았다는 고백은 신앙적인 과장도 섞여 있다. 결혼하지 않고 십수 년을 함께 살았던 연인과 헤어진 일로 마음의 큰 상처를 겪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이 여인이 받았을 상처에는 말이 없다. 그는 여기서 얻은 아들과 함께 암브로스 주교에게서 세례를 받는다. 아들은 젊은 나이에 죽는다. 이후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사제가 되고 4년 후에는 주교가 된다. 이후 탁월한 신학자 주교로서 성서 해석과 교리에 관한 저작으로 ‘서방 교회’ 신학의 주춧돌을 놓는다.

그의 유산에는 그늘도 있다. 그의 신학은 마니교의 이분법과 이원론을 완전히 떨치지 못했다는 비판이 꽤 있다. 과거 생활의 죄책감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고, 죄와 악에 관해 집착했다. 그는 교회에 ‘원죄’ 신학을 심어 놓았다. 결혼 후의 성관계도 불가피한 악이라며, 이마저 아기를 갖기 위해서만 용인된다고 했다. 급기야 원죄는 성관계로 유전된다고 주장했다. 이후 교회는 여기에 머물렀고, 바울로 신학을 어거스틴의 눈으로만 읽게 만들었다.

어거스틴의 순례는 계속돼야 한다. 그의 순례가 시대의 그늘 안에 갇히지 않게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고맙게도, 마이클 마셜의 책 <순례를 떠나다>(비아, 2018)는 어거스틴과 함께 걷는 새로운 신앙 순례를 안내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8월 25일 치 []

[전례력 연재]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

Saturday, March 31st, 2018

DB_MLK.png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2004년 <성공회 기도서>는 1965년 <공도문> 이후에 나온 첫 개정 기도서이다. 되도록 예전 기도서의 관습을 여러모로 존중하려고 애썼다. 성인 축일에 관한 부분이 대표 사례이다. 그래서 “16세기 종교개혁 이전에도 성공회가 지켜왔던 축일로 1965년 공도문에 수록한 성인들의 기념일을” 대체로 수용했다(기도서 28쪽). 큰 변화도 있다. ‘기념일’ 항목에서는 “근현대사에서 그리스도교파를 초월하여 그리스도교 신앙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을 교회력에 넣어 기억하게 했다.

4월의 교회력에는 낯선 ‘기념일’의 주인공 두 분이 눈에 띈다. 디트리히 본회퍼(4월 9일)와 마틴 루터 킹(4월 5일)이다. 두 분은 지난 20세기, 무기력했던 그리스도교와 위태롭던 세계에 신앙의 가르침과 실천으로 깊은 발자국을 남겼다. 본회퍼(1906-1945)는 독일 나치 치하에서 순교한 루터교 목사였고, 킹(1929-1968)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다 총탄에 쓰러진 침례교 목사였다. 두 분 다 서른아홉 해의 생을 불태우고 하느님께로 돌아갔다. 현대 성공회는 신학과 교회의 실천에서 두 분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본회퍼는 탁월한 신학자였다. 당대 독일 신학계의 석학이었던 하르낙의 수제자였으며, 변화하는 현대 사회 안에서 설득력을 잃던 그리스도교에 날카로운 반성의 칼을 들이댔다. 특히, 그리스도교가 여느 종교와 다름없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안전만을 빌어주는 ‘값싼 은혜’의 수단이 되었다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참된 제자는 십자가에서 부활을 이루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값비싼 은총’을 구한다. 신앙인은 세상의 고통을 나누고 세상이 던지는 위험의 대가를 치르며 살아야 한다. 자신의 고백처럼 그는 독일의 독재자이자 유대인 학살자였던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 사전에 발각돼 옥살이하던 그는 히틀러가 자살하기 3개월 전에 교수형으로 순교했다.

킹 역시 촉망받던 신학자였다. 하느님의 사랑을 신학의 가장 깊은 차원으로 이해한 그는 일찍부터 신학과 사목의 길을 결합하여 현장 사목자로 일했다. 킹은 교회뿐만 아니라 거리에서도 인간을 향한 온갖 차별과 불평등을 비판하며 하느님의 사랑과 복음을 선포했다. 그는 예수의 선교 방법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해하고 1960년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며 인권운동의 선봉에 섰다. 그는 모든 사람이 차별과 증오를 넘어서서 인종과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서로 존중하고 함께 어울려 만드는 사회를 향한 꿈을 노래하며 행진했다. 출애굽의 모세처럼 마침내 다다른 가나안 땅을 건너보듯이 자신의 운명을 말했던 다음 날, 킹은 백인우월주의자의 총탄에 숨을 거두었다.

본회퍼와 킹은 서로 만난 적이 없다. 그러나 본회퍼는 뉴욕 흑인 동네 할렘가의 경험에서 인종차별과 가난의 문제에서 큰 깨달음을 얻었다. 킹 역시 본회퍼처럼 앞선 신학자들이 마련한 고민에 크게 기댔다. 신학과 신앙은 역사와 사회의 변화 안에서 새롭게 드러나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정직하게 응답해야 한다. 신학의 성찰과 현장의 경험은 서로 뗄 수 없으며,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신앙의 언어로 세상과 대화하며 관여해야 한다. 이렇게 역사가 만난다.

본회퍼와 킹은 어둠이 짙었던 20세기를 용기 있게 살았다. 하느님 앞에 솔직했고, 역사 앞에서 고통받는 이들과 더불어 사는 삶을 선택했다. 그 선택이 전례 안에서 우리 신앙과 실천에도 새겨져 있다. 이렇게 우리는 성인들을 다시 만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3월 31일 치 []

[전례력 연재] 공현절기 – 사라진 빛의 절기

Saturday, January 13th, 2018

Tanner_Magi.png

공현절기 – 사라진 빛의 절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의 절기와 축일에 관한 이 연재는 ‘공현절’의 의미를 다룬 글로 꼭 1년 전에 시작했다(<공현절: 세상의 빛 – 예수와 신앙인> 성공회신문 2017년 1월 21일 치). 그 글에는 이런 사족이 붙었다. “애석하게도 <2004년 기도서>에서는 공현절기가 빠졌다. 다행스럽게도 전례독서에는 공현절기의 뜻과 신학이 사순절 직전까지 드러난다. 나중에라도 공현절기를 회복하여 바로잡을 일이다.” 그러나 곧 배포될 2004년 기도서의 최종 수정판(2018)에서도 공현절기를 회복하지는 못했다. 수정판의 한계 때문이다.

전례력에는 확정된 답이 없다. 긴 역사 안에서 조금씩 발전했고, 그 과정에서 더하고 빼기를 거듭하며 내용과 의미마저 변하고 풍성해졌기 때문이다. 여전히 변할 가능성도 있고 그래야 한다. 그럼에도 교회의 삶을 그리스도의 삶에 일치하게 하려는 노력에는 원칙이 있다.

교회의 시간을 정하는 제1원칙은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부활 사건이다. 여기서 성목요일부터 부활밤까지 이어진 ‘부활-성삼일’의 전례가 마련됐다. 초대 교회 맨 첫 시기에 발전한 ‘부활-성삼일’은 교회의 시간과 전례의 어머니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활을 중심으로 앞에는 사순절이 준비 기간으로 붙고, 뒤에는 부활 50일 축하 시간이 확장됐다. 교회는 2세기를 넘기기 전에 이미 사순절-성주간-부활성삼일-부활50일-성령강림일의 시간을 확정했다.

여기서 나온 제2원칙은 포개기 작전이다. 그리스도의 사건을 우리 삶에 포개어 우리를 거룩하게 하듯이, 이제는 그리스도의 생애 전체를 교회의 시간에 포개어 시간 전체를 거룩하게 한다는 뜻이다. 4세기에 이르러 주님의 성탄이 주요 축일로 주목받자, 성탄 사건을 부활 사건과 동시에 강조했다. 이미 마련된 부활절기를 그대로 성탄절기에 포갰다. 사순절을 따라서 대림절을, 부활 축제를 성탄축제로, 성령강림일을 성탄인 공현절로 삼았다.

제3원칙은 시간과 의미의 확장이다. 성령강림주일로 부활50일 축제의 대단원을 축하한 뒤에 교회 전통은 성삼위일체주일을 제정했다. 구원의 역사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친교와 일치가 마련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구원받은 교회의 삶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을 따라 사는 일이다. 성공회가 일찍이 전례력의 나머지 시간을 ‘성삼후’(성삼위일체 후 시기)로 표현한 까닭이다. 빼어난 통찰이다.

안타깝게도, <2004년 기도서>는 성공회의 빼어난 전통 두 가지를 지웠다. 절기로서 ‘공현절기’가 사라지고 ‘공현일’만 남았다. 공현절기의 일부였던 ‘주님의 세례 주일’이 아무 뜻 없는 ‘연중시기’의 시작이 됐다. 밋밋하기 짝이 없다. ‘성삼후’를 지켰던 <1965년 공도문>에서도 뒷걸음친 일이다. 실은, 1960년대 이후 천주교가 만든 ‘연중시기’ (또는 ‘보통시기’) 명칭을 그대로 따른 탓이다. 전례의 시간은 그저 ‘보통’이라 부를 수 없다.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이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2000년 기도서 <공동예배>는 공현절기를 살려냈다. 2월 2일의 ‘주님의 성전 봉헌 축일’까지 확장한다. 개정된 세계공동전례독서(RCL)은 교회의 전통을 되살려서 의미를 더 확장했다. 사순직전 주일을 ‘주의 변모 주일’로 삼아 공현절기의 절정을 삼게 했다. 다행히, 2018년 전례독서는 이를 따라 공현 마지막 주일(사순직전주일)에 주의 변모 사건을 읽도록 했다. 성탄의 작은 별이 주님 변모의 빛으로 우주에 널리 빛난다는 공현의 뜻을 확인한다. 이 사건은 이후 걷는 사순절 여정의 막바지에서 부활로 우리를 변하게 하실 예수 부활의 빛과 상통한다.

  1. 성공회 신문 2018년 1월 13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