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나요?

Sunday, July 9th, 2017

burden_humility.jpg

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나요? (마태 11:16-19, 25-30)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30절). 세상 풍파에 시달리며 허덕이는 사람을 향한 예수님의 초대가 참으로 감사합니다. 신앙인은 초대 안에서 안식을 누리려 주님을 따릅니다. 그러나 어찌 멍에가 편할 수 있고, 짐이 가벼울 수 있을까요? 이런 의문으로 오늘 성서 독서 전체에 흐르는 내용을 좀 더 깊이 살펴보니 다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삶의 고통을 덜고 안식을 누리려면 신앙의 새로운 선택과 발걸음이 필요합니다.

첫째, 즈가리야 예언자는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의 질서를 비교하며 하느님을 선택하라고 선포합니다(9:9-12). 세상도 신앙도 정의와 평화를 말합니다. 그러나 세상의 정의는 힘센 사람들에게만 해당합니다. 평화는 군사적인 힘의 대결과 균형으로 위태롭게 유지됩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정의는 개선장군의 군마가 아니라 어린 새끼 나귀 등 위에서 시작합니다. 생명을 앗아가는 무기를 ‘꺽어버리고’서야 하느님의 평화를 맛볼 수 있습니다. 하느님과 인간은 ‘피’를 나누는 친밀함 속에 있으니, 그 어떤 인간 생명도 억압하거나 위협하는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됩니다.

둘째, 사도 바울로 성인은 스스로 자신이 ‘비참한 인간’(로마 7:24)이라고 고백하며, 실은 모든 인간이 그러하다고 선언합니다. 세상의 기준에서는 서로 잘 나고 부자이고 높은 뜻을 세웠다 하더라도, 사람의 생활과 일은 어떤 처지에든 ‘악이 도사리고’ 있어(21절) 괴로움이 그치질 않습니다. 사람이 다 이런 처지일진댄 자신이 이룬 성취와 지위로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정죄하는 ‘율법’을 휘두를 수 없습니다. 인간의 구원은 자기 내면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오로지 밖에서 손을 내미는 그리스도를 붙잡을 때, 자기중심의 시선과 삶을 넘어서서 바깥을 바라볼 때, 구원의 은총이 우리에게 들어와 자리를 잡습니다.

셋째, 예수님은 세상의 삶을 아이들의 놀이에 비유하며, 자기 기분에 따라 남에게 이래라저래라 명령하는 권력가들을 나무라십니다. 바리사이파는 편하게 앉아 ‘율법의 피리’를 불면서, 남들에게 춤을 춰라, 곡을 하라며 지시하고 비난하는 이들입니다. 그들은 자기 기준으로만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지배하려 합니다. 세례자 요한이 금식한다고 비판했다가, 이제는 예수님을 ‘먹보와 술꾼’이라고 비난합니다. 요한과 예수님이 무슨 연유로 그런 삶의 방식을 선택했는지 되새겨 보려 하지 않습니다.

세상의 멍에와 짐은 경쟁과 대결로 만든 정의와 평화입니다. 자신의 모자란 선을 내세우려는 교만이며, 자기 멋대로 힘을 휘두르는 지배욕입니다. 이 어지럽고 억지스러운 일이 우리 삶을 괴롭힙니다. 이때, 예수님은 전혀 새로운 멍에와 짐을 선사하십니다. 우리 안에 들어찬 세상의 멍에와 짐을 덜어내고 치워서, 밖에서 찾아오시는 주님을 우리 안의 중심 자리에 모시려는 노력입니다. 예수님과 함께 다른 신앙인과 더불어 ‘겸손하고 온유하게 배우며’ 대화하는 수고입니다. 이 새로운 노력과 수고의 짐과 멍에를 우리가 함께 나눌 때, 우리는 짓눌린 삶의 무게에서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전례력 연재] 나마스테 !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Saturday, May 27th, 2017

Visitation_14th_C.png

나마스테! –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축일 (5월 31일)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마리아는 길을 떠나 걸음을 서둘러 유다 산골에 있는 한 동네를 찾아가서 즈가리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을 드렸다”(루가 1:39-40).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수태고지를 받은 마리아는 비슷한 경험으로 아기를 가진 사촌 엘리사벳을 방문했다는 이야기이다.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여서 일찍부터 기념했으리라 생각하지만,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을 축일로 정한 일은 13세기에 들어서다. 중세 때 성모 마리아 신심이 널리 퍼지면서 성모에 관한 여러 사건을 축일로 정했다. 그 탓에 이 축일은 오직 서방교회에만 있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몇몇 정교회가 이 축일을 도입했다. 원래 날짜는 7월 2일이었다.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6월 24일)의 팔일부가 끝나는 시점으로 정한 것이다. 이 관습은 1960년대 말까지 이어졌다. 1965년 판 한국 성공회 기도서도 이 날짜에 ‘성모 왕문 성 엘리사벳’ 축일을 지켰다.

지금처럼 5월 31일로 고친 것은 1969년부터다. 성서 이야기와 시간의 흐름에 한결 걸맞기 때문이다. 임신한 마리아는 만삭의 엘리사벳을 찾아갔고(5월 31일) 석 달 정도 머물렀다. 그동안 세례자 요한의 탄생(6월 24일)을 보았겠고 산후조리도 도왔을 테다. 그렇다면 이 축일의 주제도 달라진다. 현재 본기도는 중세 전통을 따라 마리아가 받은 축복과 순종에 초점을 맞추지만, 실은 아기를 가진 두 여인의 만남이 더 중요하다. 그들은 자기 몸과 삶에 나타난 당황스러운 일을 함께 나누며 서로 격려하고 도우며 보살핀다. 이때 더 깊고 큰 만남이 펼쳐진다.

“문안의 말씀이 내 귀를 울렸을 때에 내 태중의 아기도 기뻐하며 뛰놀았습니다”(루가 1:44). 두 사람은 하느님께서 일으키신 두렵고 당황스러운 일, 그러나 신비하고 거룩한 일을 받아들여 자기 몸속에 품었다. 그 몸 안에 있는 거룩한 생명이 오히려 두 사람의 만남을 이끌었다. 두 사람이 나누는 축복의 인사는 태중에 있는 거룩한 아기들이 서로 알아보고 기뻐하는 만남이다.

‘나마스테’ – 인도와 네팔에서 사람이 서로 만날 때 합장하며 고개 숙여 나누는 인사말이다. ‘내 안에 있는 하느님이 그대 안에 있는 하느님께 문안합니다’라는 뜻이다. 마리아와 엘리사벳가 나눈 인사는 분명 ‘나마스테’의 인사이다. 태중의 예수와 세례자 요한이 서로 알아보고 인사하기 때문이다.

하느님을 품은 마리아와 하느님의 약속을 품은 엘리사벳의 정중한 만남과 예의는 우리 신앙인의 사표다. 그들을 따라 우리 몸 안에 모셔 우리 안에 사시는 하느님께 인사한다. 성찬례의 영성체로 ‘그리스도’를 성체로 보혈로 우리 몸에 모시기 때문이다. 신앙인은 모두 하느님을 모시고 품은 사람이다. 서로 함부로 대할 수 없다. 존경과 예의 없이 하대하거나 반말할 수 없다. 서로 예의를 차려 존중하고 격려하고 보살펴야 한다.

이처럼 정중하고 거룩한 만남의 기쁨에서 마리아의 찬가가 울려난다. 신앙인은 다른 사람 안에 머무시는 하느님을 두렵고 설레는 마음으로 바라본다. 우리 안의 교만함과 권세를 내치시는 하느님을 목격하며, 비천한 이들을 높이시는 하느님을 찬양한다. 나마스테!

동행 – 낯선 도전과 배움의 신앙

Sunday, April 30th, 2017

Emmaus_disciples.jpg

동행 – 낯선 도전과 배움의 신앙 (루가 24:13-35)

그들은 힘없는 마음을 돌이키기로 했습니다. 모여서 이야기해도 궁금증은 풀리지 않고, 해결책이 나올 리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세상의 벽은 단단하고 움찔하지 않으니 포기하기로 했습니다. 희망을 걸었던 일들이 무너지자 세상이 싫고 사람도 싫고 자기 처지도 싫었습니다. 그들은 발걸음을 돌리기로 했습니다. 두 제자는 꿈에 부풀어 올랐던 예루살렘을 등지고 이제 낙향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 길은 그리 멀지 않았지만 알 수 없는 곳을 헤매듯이 걸었습니다.

인생을 헤매는 미로에서 새로운 만남이 일어납니다. 길에 동행한 어느 낯선 이와 함께 걸으며 과거의 희망과 현재의 절망을 나눕니다. 성서의 이야기를 같이 읽다가 서로 위로 삼아 ‘함께 묵자’고 초대합니다. 같이 빵을 떼고, 잔을 마시는 순간,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납니다. 우리가 인생에 즐비한 슬픔과 절망의 미로를 헤매는 시간은 우리와 동행하시려는 하느님을 만나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그러나 우리 ‘눈이 가려져서’ 그분을 알아보지 못합니다. 두 제자는 예수님의 정체와 행동을 알았고, 그분이 처형당했다가 살아났다는 증언도 들었지만, 그들의 눈과 귀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습니다. 성서를 아무리 많이 읽었어도 눈이 밝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눈을 가리는 일이 많습니다. 신앙의 체험과 경륜이 길다 해도, 오히려 신앙의 성숙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는 일이 숱합니다. ‘내가 안다, 내가 경험해 봤다’고 너무 자신하면 신앙의 성장을 멉춥니다.

예수님의 동행이 흥미롭습니다. 이미 알고 있는 성서를 다시 해석하여 새롭게 설명하십니다.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방향을 얻지 않으면, 정보와 지식은 눈을 가리는 책더미에 불과합니다. 더 깊은 성찰과 기도, 열린 대화와 배움으로 마련한 신학이 없는 교회는 신앙의 길을 잃습니다.

제자들의 반응도 흥미롭습니다. 그들은 낯선 사람을 붙듭니다. 낯선 이에게 자신의 잘못된 정보와 지식을 교정받습니다. 처음 만난 사람이 성서를 다시 가르칠 때 깊이 귀 기울입니다. 그들은 이제 이 낯선 사람의 도전을 자기 안에 받아들이고 곁에 두어 함께 지내고자 합니다. 이 도전과 배움에서 신앙이 열립니다. 낯선 이를 받아들이는 환대와 사귐에서 새로운 만남과 깨달음이 열립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식탁에 둘러앉아 음식을 나눕니다. 이 익숙한 광경은 가나의 혼인 잔치, 오천 명을 먹이신 음식 기적과 함께 성 목요일의 마지막 만찬을 되새기게 합니다. 이 나눔은 부활 후에 제자들 앞에 나타나셔서 친히 아침상을 마련하신 식사와도 겹칩니다. 오늘 우리가 나누는 성찬례는 이처럼 서로 기쁨을 주고, 주린 배를 채우며, 사랑과 섬김을 나누며 축하하라는 당부입니다. 절망과 실패, 수고와 땀으로 젖어 지친 이들을 초대하는 부활의 식사입니다.

부활의 성찬례 안에서 낯선 이와 대화하고 배울 때 가려진 우리 눈과 귀가 열립니다. 환대하여 빵을 떼어 나누고 잔을 나누어 마실 때, 닫히고 막힌 가슴이 찢어지고 열립니다. 이 동행의 성찬례의 사귐 안에서 새로운 희망과 꿈이 되살아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