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Sunday, March 5th, 2017

Michelangelo_Sündenfall.jpg

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마태 4:1-11)

유혹은 서툰 생각의 틈새를 비틀어 벌려 놓으면서 시작합니다. 이 말이나 저 말이나 비슷하다고 쉽게 넘어가려는 게으름을 파고듭니다. 다만, 오늘 창세기 본문(2:15-17, 3-17)을 유혹에 넘어간 ‘여성 하와’로 읽지는 맙시다. 그렇게 읽으면 성차별적인 해석으로 흐를 위험이 있다고 성서학계는 경고합니다. 하와는 아담과 ‘같은 뼈, 같은 살’을 나눈 동체이며, 유혹으로 미끄러지는 인간의 한 모습을 드러내는 이야기의 한 고리일 뿐입니다. 오늘 성서 독서의 배열은 창세기에서 유혹에 넘어간 인간(하와와 아담)과 복음에서 유혹을 물리친 예수님을 비교합니다. 또한,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비교합니다.

유혹은 그럴듯하게 명백하고 매끄럽게 흐릅니다. 하느님께서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9절)를 세우셨습니다(이 두 나무가 같은 나무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입니다). ‘따먹지 말라’는 금지 명령은 하느님이 만드신 생명을 무엇이라도 쉽사리 빼앗거나 억압하지 말라는 뜻이며, 선과 악을 손쉽게 판단하려 들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이때, 뱀이 나타나 원래 의도를 비틀고 내용을 과장하여 사람의 분노를 부추깁니다.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사실’로 단정하게 만듭니다. 그런 뒤 ‘눈이 밝아지리라’는 거짓 약속을 합니다. 이러한 유혹이 인간 마음으로 파고들 때, 하느님과 경쟁하려는 의식이 생겨납니다. 이 경쟁의식은 ‘권력’에 대한 환상으로 이어집니다. 이 환상 안에서 하느님과 인간은 동료가 아닙니다. 함께 동산을 거닐던 하느님과도 멀어지고, 사람도 서로 멀리하여 숨기기 시작합니다. 인간은 자신을 괴롭히는 내면의 어둠을 만들어 스스로 빨려들어갑니다.

반면, 복음은 창세기의 이야기를 뒤집습니다. 예수님의 세례 사건 뒤로 광야의 유혹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세례는 하느님과 경쟁하고 다른 사람의 부끄러움을 쉽게 판단하면서 뒤틀린 관계를 새롭게 회복하는 사건입니다. 세례 때 들려오는 하늘의 목소리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사랑과 친밀함을 다시 선포합니다. 유혹에 넘어가 자기 의심을 증폭하는 아담과는 달리, 예수님은 성령에 자신을 내어주고 악마의 유혹에 용기 있게 맞섭니다. 생명을 살리는 선한 ‘빵’마저 유혹에 악용되는 세상의 질서를 간파하십니다. 하느님에게서 받은 능력을 자기 과시의 ‘마술 행위’ 정도로 끌어내리는 행동을 거부하십니다. 하느님 나라의 꿈과 윤리를 이 세상의 도덕 수준으로 낮추려는 태도를 훌쩍 넘으십니다.

인간 내면의 약한 어둠 때문에, 정의와 공평의 주장마저도 유혹의 미끄럼틀을 타기 쉽습니다. 진실을 감추려는 뻔뻔한 억지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성급하고 성난 주장은 모두 세상을 장악하려는 경쟁의식로 빨려들어 ‘모든 사람의 심판’과 파멸로 이끕니다. 그러나 하느님 나라를 함께 지키고 세우려는 헌신은 길고 지루하며 조심스러운 용기입니다. 이를 통과할 때 우리는 ‘풍성한 은총의 생명’으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다가섭니다.

성실한 자기 성찰과 면밀한 배움의 대화가 없이는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구분하는 식별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자신을 성령에 맡겨 거친 ‘광야’에서 힘들게 훈련하는 과정이 자기성찰과 신앙의 길입니다. 사순절은 그 훈련의 초대입니다.

Temptations_of_Christ_(San_Marco).jpg

친절한 ‘동임’씨

Saturday, February 11th, 2017

친절한 ‘동임’ 씨1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신부님, 새로 오셨으니 사진 찍으셔야죠. 앉으세요.” ‘찰칵.’ 메마른 초로의 여성 한 분이 불쑥 다가왔습니다. 가녀린 어깨를 짓누르던 검은 물체가 조막만 한 자기 얼굴을 가리는 찰나, 셔터스피드 1/500 초의 작은 울림이 공기에 살짝 퍼졌습니다. 여러분이 보는 제 ‘머그샷’은 3년 전 사제관 귀퉁이에서, 그 찰나의 시간과 빛이 남긴 흔적입니다. 콧잔등에 삐툴하게 내려앉은 안경을 바로 잡지 못하고, 손가락 빗질도 없이 고개를 슬핏 내밀다가 멋쩍은 웃음이 들킨 사진입니다. 그렇게 ‘동임’씨와 만났습니다.

‘동임’씨는 자주 조리개 f/16의 실눈으로 쨍하게 저를 째려보곤 했습니다. [복음닷컴] 원고 모집이 얽히거나 제게 맡긴 교정지가 속도를 내지 못할 때는 여지 없었습니다. 스톱워치를 든 육상선수 코치처럼 옥죄는 싸늘한 긴장감은 슬쩍 오해와 이해의 경계, 신자와 성직자의 거리를 위태롭게 만들곤 했습니다. 마지막 교정에 ‘오케이 사인’이 나면 환히 열린 눈빛의 조리개가 선명합니다. “애쓰셨어요, 신부님 없으면 이걸 어떻게 만들어욧?” 새침데기 아가씨 같은 미소와 목소리에 저와 다른 신부님들은 언제나 즐거운 패배를 인정해야 합니다. 그렇게 ‘동임’씨와 우정을 쌓습니다.

‘동임’씨의 노출계는 자신의 태생 같은 ‘일본산’ 정확도로 유명합니다. 우리 성당 새 교우들을 담은 얼굴에는 그들 삶의 비밀이 노출되는 것만 같습니다. 조잡하게 인쇄된 흑백사진 얼굴이 미안해서인지, 꼼꼼히 인화하여 챙겨 든 컬러사진을 예쁘게 보관하고 손수 찾아다니며 건넵니다. 새 교우들의 세례와 견진, 교회의 여러 행사를 찍은 사진을 보면 ‘언제 이렇게 많이 찍으셨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작은 몸으로 어떤 전례나 행사 안에서도 공기를 스윽스윽 가르며 빠른 셔터음 사이에 정작 자기 노출은 숨기니까요. 그렇게 ‘동임’씨와 우리 공동체는 하나가 됩니다.

이글의 주인공 곽동임 앵니스 교우는 지난 십수 년 동안 [복음닷컴]이라는 가늘고 위태로운 삼각대에 올려진 카메라와도 같았습니다. 우리 삶과 신앙의 흔들림을 기록하고, 함께 흔들리며 위로하고 손을 내미는 따뜻한 시선을 소중히 담았으니까요. 까칠하지만 ‘친절한 동임씨’를 우리가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우리 ‘동임’씨를 볼 때마다 저는 밤기도의 한 구절을 되뇝니다. “우리의 삶이 서로의 수고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항상 기억하며 살게 하소서.”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7년 2월 12일 치 1면 []

뒤집어야 열리는 행복

Sunday, January 29th, 2017

sermons_on_mountain.png

뒤집어야 열리는 행복 (마태 5:1-12)

예수님께서 빛으로 오셔서 널리 드러나셨으니, 그 제자들과 신앙인들도 그늘진 세상에 빛을 비추며 삽니다. 신앙인의 존재 이유입니다. 그런데 세상에는 오히려 종교와 신앙의 이름으로 사회 곳곳에 만든 음습한 그늘이 널렸습니다. 거기에선 거짓이 곰팡이처럼 번집니다. 하느님께서 모세를 불러 십계명과 율법을 주시며 그 가르침과 길을 따르라 하셨으나, 율법은 금세 스스로 ‘선택받은 자’라고 으스대는 자들이 다른 사람을 속박하는 도구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새 역사를 여시며 새 가르침을 주십니다. 사람을 옭아매는 과거 율법을 뒤집어, 사람에게 참된 행복을 선사하는 은총의 복음입니다.

마태오복음서는 새롭게 열린 은총의 법입니다. 복음서를 가로지르는 예수님의 가르침 다섯 묶음은 모세오경을 교체하고 뒤집습니다. 그 첫 단락 참된 행복 선언은 십계명을 넘어서며 우리 시선과 행동을 새로 열어줍니다. 십계명은 여전히 하느님과 우리 인간이 나누어야 할 관계, 인간과 인간 사이에 펼쳐야 할 관계를 가르칩니다. 그러나 명령과 조건이 가득한 계명은 압박과 통제의 수단이 되기 쉽습니다. 이에 반해, 복음은 우리의 모질고 거친 삶 자체에서 깃든 복락의 씨앗을 발견하시며 축복합니다.

모세가 험하고 외로운 시나이 산에서 십계명을 받았다면, 예수님은 여럿이 함께 오른 산 위에서 하느님께서 주시는 복락을 선언합니다. 높은 산의 지위를 독점하는 권력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올라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잡고 가르칠 때, 참된 권위가 섭니다. 세상에서 작고 비천하다고 취급받는 이들을 ‘산 위’로 끌어올려 ‘곁에’ 앉히실 때, 예수님께서 여시는 하느님 나라의 질서가 작동합니다. 세상 풍파로 가난하고 슬퍼하는 사람, 온유함을 갖추고 정의를 목말라 하는 사람, 깨끗한 마음으로 자비와 평화를 위해 사는 사람, 박해를 받는 사람이 복을 받고 그 삶이 칭송받는 질서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예수님께서 뒤집은 질서를 깊이 마음에 새깁니다. ‘이 세상 안에서 지혜 있고 강하다는 사람을 부끄럽게 하시려고, 이 세상이 보기에 어리석고 약한 사람을 선택하셨습니다’(1고린 1:26-28). 바울로 성인은 말끝마다 ‘이 세상’이라는 조건을 붙입니다. ‘이 세상’에 대항하여 ‘하느님 나라’에 깃든 가치를 세우라는 요청입니다. ‘이 세상’의 지식과 지혜와 지위가 아니라, ‘하느님 나라’의 지식과 지혜와 지위를 찾으라는 말입니다. 어거스틴 성인이 말한 대로, “이 세상의 사사로운 사랑이 아니라, 하느님 나라의 넓고 거룩한 사랑”을 분별하라는 당부입니다.

‘이 세상 속에서’ 경쟁하여 얻어내고 오른 성공과 성취는 예수님이 선포하는 은총과 행복에서 거리가 멉니다. 이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해방되는 길을 시작해야 합니다. 연약한 이들을 함께 초대하고 끌어올려 곁에 앉혀 누리는 삶이 행복의 길입니다. 세상의 시각을 뒤집어서 돌이켜야 참 행복의 길이 열립니다. 그 길을 예수님께서 비추시니, 함께 올라 누리며 빛의 길을 걸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