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성 요셉 – 보호와 퇴장의 신앙

Saturday, March 10th, 2018
Hays-Joseph-Icon-Life.jpg

성 요셉 – 보호와 퇴장의 신앙 (3월 19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복음서에 나오는 성 요셉은 역사에 잠시 등장했다가 홀연히 사라졌다. ‘성모 마리아의 배필’, ‘예수의 양 아버지’라는 별칭이 앞에 붙어야 할 정도로 존재감이 얕다. 예수를 적대하는 이들이 그분을 깍아내리며 ‘요셉의 아들’이라고 부를 때나 슬쩍 보이는 이름이다. 성인 이름으로 신명을 정할 때도 구약성서의 ‘꿈장이 요셉’을 선호하지, 이 성인은 인기가 덜하다. 이처럼 별 볼 일 없는 성인이 전례력에 깊이 박힌 까닭은 무엇일까?

네 복음서를 다 뒤지면 요셉은 열두 번 나온다. 대체로 마태오와 루가에 있고, 요한에 이름만 한 번 내비치고, 마르코에는 아예 언급이 없다. 그것도 예수 탄생 사건에 집중돼 있다. 요셉은 젊은 마리아와 약혼했고, 마리아가 이미 임신한 사실을 알고는 괴로워했으나, 천사의 말을 따라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어린 엄마와 아기의 생명을 지키려고 헤로데의 학살을 피해 고향을 떠나 이집트로 피신했다가, 나자렛에 돌아와 정착했다. 예수께서 열 두 살 나던 해에 예루살렘 성전에 다녀왔다는 이야기를 끝으로 요셉은 자취를 감춘다.

초기 교회 전통에서도 요셉은 별로 드러나지 않았다. 4세기 교부 성 제롬이 잠시 언급했지만, 9세기에 이르러서야 마리아 신심에 곁들여 요셉의 지위가 조금씩 떠올랐다. 이때 처음 성인은 ‘주님의 양육자’라는 이름을 얻었고, 3월 19일을 축일로 지키기 시작했다. 예수 탄생 사건 안에서 요셉 성인의 의미를 풀어낸 사람은 13세기 교부 토마스 아퀴나스였다. 요셉이 없었더라면 마리아는 혼외 임신으로 돌에 맞아 죽거나, 헤로데의 학살을 피하지 못했을 테다. 이런 점에서 거룩한 어머니와 아들 안에서 펼쳐질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지켜낸 성인이었다.

토마스 성인의 해석에 따라 교회는 성인에게 ‘겸손한 보호자’라는 뜻을 다양하게 덧붙였다. 16세기 종교개혁 때는 혼란한 교회의 처지를 염려하여, 19세기 근대 세속화로 위기를 맞는 교회를 보호한다는 뜻으로 ‘보편교회의 수호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5년에는 아예 ‘노동자 성 요셉’ 축일을 노동절인 5월 1일로 따로 정하여 노동자의 수호성인으로 삼았다. 노동자의 권리를 교회가 먼저 생각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역사를 두고 대체로 천주교에서 마련한 결정이었으나 성공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동방교회는 성인 축일을 성탄 첫 주일에 지켰다. 일찍부터 성탄 사건에서 성인의 의미를 확인하려는 노력이었을 테다. 흥미롭게도, 천주교는 17세기부터 성가정축일을 성탄과 공현 절기 사이에 지키다가, 1969년 전례력 개정 때, 성탄 후 첫 주일로 옮겼다. 동방교회의 전통을 존중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덧붙여 만든 축일이겠다.

성서와 역사에서 보듯이, 성 요셉은 겸손한 환대와 보호, 용기 있는 퇴장의 성인이다. 자신을 위태롭게 하는 상황을 무릅쓰고 힘없는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품어 지켜냈다. 소임이 끝나자 주저 없이 사라졌다. 환대와 보호 속에 신앙이 움트는 자리가 생긴다. 퇴장하여 생긴 빈자리에 다시 새로운 역사가 피어난다. 교회와 신자의 사명은 성인이 마련한 환대의 공간을 넓히는 일이다. 완고하고 딱딱한 곳에서 갈라지고 부서진 이들과 더불어 틈을 넓히고, 그 사이로 빛의 공간을 품은 요셉의 영성을 사는 일이다. 그리고 삶의 막바지에 하느님께로 조용히 퇴장하는 일이다.

(도판: Fr. Edward M. Hays, The Great Saint Joseph, 20세기)

  1. 성공회 신문 2018년 3월 10일 치 []

[전례력 연재] 성인의 삶 – 축일의 신학

Saturday, February 24th, 2018

saints-calendar.png

성인의 삶 – 축일의 신학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교회 역사가 전례력(교회력)을 마련하고 구성한 목적은 명백하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펼쳐진 구원의 역사를 축하하며, 구원의 길인 그리스도의 삶을 우리 삶에 포개어 살자는 뜻이다. 우리 삶의 중심에 그리스도를 모신다는 말에는 우리 삶과 시간을 그리스도의 시간과 맞춘다는 뜻이 있다.

전례력이 세상의 시간인 달력과는 살짝 비껴 나가듯이, 신앙인은 세상의 가치와는 다르게 살아간다. 신앙인이 세상과 조금씩 불화하는 이유이다. 전례력을 바로 살아야 신앙의 삶도 바르게 된다. 새로운 시간의 길을 걷는 신앙인은 마지막 날에 그리스도와 일치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신학은 전례력이 마련하고 바라보는 종말론적인 희망이다.

초기 신앙인들은 그리스도를 그대로 따르는 일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부활 승천하신 그리스도가 눈과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느낀 탓일까? ‘그리스도의 몸’이라 자처하는 교회의 현실이 여전히 어수선하고 부족하여 낭패감에 휩싸인 탓일까? 교회는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는 ‘그리스도인의 모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초대 교회에서 그 모본은 예수를 곁에서 따르며 부활의 첫 증인이 되었던 성모 마리아와 여성 신앙인들이었고 사도들이었다.

시간이 좀 더 흐른 뒤에는 그리스도를 증언하며 자기 생명을 하느님께 바친 순교자들이 뒤를 이었다. 지상의 예수를 곁에서 친밀하게 따랐던 사람처럼 그들 곁에서 이어서 따르고, 후대에 그들을 다시 이어서 따르는 ‘신앙의 릴레이’가 마련됐다. 역사의 현실 안에서 한 사람이 교회의 신앙을 지키던 삶과 번뇌, 그리고 성취를 친밀하게 확인하는 일이었다. 역사에서 발전한 ‘성인 공경’ 관습은 함께 머물고 보고 만지며 냄새를 느끼는 오감의 친밀감에 바탕을 둔 신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사도 계승’ 교리는 지위의 계승이 아니라, 신앙의 모본을 정직하고 바르게 따르는 신앙의 행동이다.

전례력은 이렇게 두 개의 시간을 겹쳐서 절기와 축일을 만들며 발전했다. 그리스도의 삶을 시간의 기준으로 삼는 그리스도 절기(템포랄레 temporale)와 성인의 삶을 기억하는 성인 축일(상토랄레 sanctorale)이다. 그리스도 절기는 부활-성삼일을 정점으로 사순절과 부활 50일(오순절)이 마련됐다. 이후 성탄일을 지정하자, 먼저 만들어진 절기를 본떠서 대림절과 공현절을 두었다. 성인 축일은 그들의 순교일이나 별세일을 부활의 새로운 탄생으로 여겨, 축일로 지정하여 지켰다.

전례력 지침은 그리스도 절기를 최우선으로 하여 축일을 지키는 순서를 제공한다. 그 탓에 종종 여러 성인 축일을 다른 날로 미루거나 생략하기도 한다. 게다가 과거와는 달리 교회에서 공적인 매일 전례나 기도가 뜸해지면서 평일에 든 축일을 간과하기도 한다. 기도서에 선명한 축일들이 무색한 상황이다.

교회 신앙의 모범이라고 마련한 성인 축일을 되살려야겠다. 축일을 그날에 지키는 교회라면 성인의 삶과 의미를 명백하게 설명해야 한다. 사정상 그렇지 못하다면, 평일 중 한 차례의 전례 안에서 그 주간의 성인들을 함께 기억하는 것도 좋겠다. 그마저 어렵다면 주보를 이용하여 소개하거나, ‘이달의 성인’을 선택하여 소개하는 교육 시간을 만들 수도 있다. 우리 기도서에 새롭게 들어간 성인들, 특히 근대의 성인들은 자료 구하기도 쉽고, 현대의 신앙인에게 더 가깝고 친밀한 신앙의 모본을 선사한다. 성인들은 우리보다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있다.

  1. 성공회 신문 2018년 2월 24일 치 []

[전례력 연재] 신비, 신앙과 이성 사이 – 토마스 아퀴나스 축일

Saturday, January 27th, 2018

Thomas_Aquinas_by_Fra_Bartolommeo.jpg

신비 – 신앙과 이성 사이 – 토마스 아퀴나스 축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1225-1274)은 그리스도교, 특히 서방교회 최고의 신학자로 꼽힌다. 그가 남긴 <신학대전>(Summa Theologiae) 은 당시 그리스도교에 큰 도전이자 집대성이었으며, 이후로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교회는 그를 ‘천사와 같이 위대한 학자’로 불렀다. 그가 세상을 떠난 3월 7일이 축일이었으나 사순절기인 탓에 그의 위대한 생애를 적절히 기념할 수 없었다. 1969년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에서는 그의 유해를 프랑스 툴루즈 자코뱅 성당으로 옮긴 600주년을 기념하여 축일을 1월 28일로 옮겼고, 성공회도 이날을 따른다.

토마스 성인은 이탈리아 아퀴노 지방의 귀족 가문에 태어났다. 부모의 강요로 당시 출세가 보장된 베네딕트 수도회에 입회했으나 곧 ‘탈출’하여, 새롭게 등장한 설교 수도회인 도미니코회에 몸을 담았다. 이 수도회는 겸손과 절제와 가난의 삶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진리를 깊이 연구하고 정리하여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하는 일에 힘썼다.

오늘처럼 13세기 교회도 혼란스러웠다. 교회 권력자들은 관습과 교리에 기대어 자신의 입지를 변명하기 일쑤였다. 새로운 영성을 주장하는 이들도 사적인 종교체험을 부풀려 전통과 신학을 내치고 지성을 거부했다. 성찰하는 지식과 연구에 소홀하면 교회의 기초는 무너진다. 부패와 타락이 스며들고, 근거와 논리가 몹시 부족한 주장이 깨달음인 양 판을 친다. 토마스 성인의 의지는 뚜렷했다. 신앙인은 성서의 말씀과 교회의 가르침을 자신이 처한 상황 속에 맞게 새로운 언어와 논리로 끈질기게 묻고 대답해야 한다.

토마스는 고위 성직자나 신학자와 논쟁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런 성인을 시기하고 질투한 사람도 많았다. 처세술도 모르고 ‘무식한 황소’처럼 덤비는 ‘젊은 급진파’라고 핀잔했다. 그의 주장은 너무 ‘급진적’이라는 명목으로 여러 번 교회의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스승 알베르토는 토마스의 성실함과 총명함이 교회를 구할 것이라며 변호하고 응원했다. 이러한 보호와 가르침 속에서 성인은 하루도 쉬지 않고 연구하며 글을 썼다.

성인의 관심은 신앙과 이성의 조화였다. 신앙의 은총은 자연 세계와 인간 이성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자연과 이성의 완성이었다. 신앙과 이성이 서로 도울 때라야 오히려 둘이 건강하게 제대로 선다. 그는 시대의 질문을 궁리하고 시대 학문과 대화했다. 당시 떠오르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용하여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소통하려고 애썼다. 그 결실이 <신학대전>이다.

위대한 성인 학자는 신비 앞에 겸손했다. 어느 날 신비 체험을 한 뒤 그는 붓을 놓고 글을 멈추었다. 그의 제자가 옆에서 물었다. “선생님, 왜 글을 쓰지 않고 멈추십니까?” “이제는 글을 쓸 수 없다. 내가 지금까지 쓴 모든 것이 다 지푸라기와 같구나.” 성인은 자신과 시대의 한계를 분명히 식별하고 손을 놓을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 후로 그는 글을 쓰지 않았다. 3개월 후, 교회 공의회에 참가하는 여행길에서 세상의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나이 마흔아홉이었다.

후대의 역사가는 토마스 성인이 경험한 또 다른 신비 체험을 전했다. 절필 선언 후 자신의 저작을 모두 ‘지푸라기’ 같다고 말하던 성인에게 예수께서 나타나 위로하셨다. “토마스, 너는 나에 관해서 정말 잘 썼다. 너에게 어떤 보상을 줘야 할까?” 성인이 대답했다.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직 주님만 있으면 됩니다.”

  1. 성공회 신문 2018년 1월 27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