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

Sunday, December 6th, 2015

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 (루가 3:1~6)1

예수님은 역사의 현장에 오십니다. 오늘 복음이 낯선 이름과 지명을 굳이 상세하게 기록하여 들려주는 이유입니다. 티베리오와 빌라도, 헤로데와 필립보, 리사니아라는 정치 권력자들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안나스와 가야파 같은 종교 권력자들의 이름도 빠지지 않습니다. 이들은 특정한 지역과 사회를 지배하던 이들이었습니다. 갈릴래아는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고, 예루살렘은 유대교 성전의 핵심부였습니다. 이 현장에서 정치와 종교의 권력자들은 자기 이익에 따라 서로 얽혀 야합하거나 견제합니다. 이 현장에서 권력자들이 의기투합하면 힘없는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수고와 땀을 고스란히 빼앗기는 처지가 되고 맙니다. 차별과 격차가 깊어지고, 억압과 희생이 꼬리를 뭅니다. 이 현장에 예수님께서 오십니다.

역사의 현장에 먼저 나타난 사람이 있습니다. 중심의 권좌에 틀어 앉은 힘센 사람들 앞에 우뚝 선 세례자 요한입니다. 권력자들은 요르단 강 변방에 기이한 모습으로 나타나 회개를 외치고 세례를 베푸는 요한을 우습게 봅니다. 그러나 세례자 요한은 그 하찮고 연약해 보이는 일에 자신의 혼신을 담아 두려움 없이 외칩니다. ‘회개하라 – 지금 살아가는 방식을 멈추고 방향을 돌려라. 세례를 받아라 – 과거를 벗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선택하라. 용서를 받아라 – 자신을 옥죄는 과거와 일에서 몸과 마음을 놓아 자유를 얻어라.’ 권력이든 재산이든, 지위든 명예든, 가진 것이 많으면 자유롭기 어렵습니다. 사회에 널리 퍼진 차별과 격차를 묵인하기 쉽습니다. 자신의 행동을 변명하는 일이 더 많습니다. 이를 그치고, 돌이켜, 놓아버릴 때, 우리 삶에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변화를 향한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이 신앙입니다. 이 행동의 신앙이 새로운 길을 마련합니다. 대림의 준비는 소극적으로 ‘기다리는’ 일이나 ‘앉아서 받는 일’과 거리가 멉니다. 세례자 요한 성인이 밖으로 나가 외치듯이, 예수님께서 역사를 뚫고 우리 삶에 들어오시듯이, 신앙인의 준비는 ‘우뚝 일어서, 나아가 길을 닦는’ 적극적인 응답입니다. 세례자 요한은 자신의 삶을 닦아 예수님의 길을 내고, 더 많은 사람을 구원의 길을 닦는 일꾼으로 초대합니다. 우리 삶 자체가 예수님께서 걷는 길이 되라는 호소입니다. 신앙인은 우리 삶과 사회 곳곳에 놓인 골짜기 같은 차별과 격차, 험하게 뒤틀린 억압과 상처의 방식을 “참된 지식과 분별력”(필립 1:9)으로 살핍니다. 신앙의 식별력으로 사람살이, 살림살이를 힘들게 하는 일에 맞섭니다.

다시, 대림은 우리 삶과 역사의 현장에 오시는 예수님을 모시는 시간입니다. 우리 삶이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펼치시는 구원의 길이 되도록 우리 자신을 수련하는 때입니다. 자신이 일군 성공과 성취의 성곽이든, 자신이 숨어든 실패와 절망의 울타리든, 모두 자기 안에 웅크려 갇힌 감옥이 되기 십상입니다. 자신의 감옥은 안전하고 편안한 곳이 되기는커녕 불안과 우울이 자라나는 음지입니다. 신앙인의 눈은 자신에게서 돌이켜 세상과 이웃을 바라봅니다. 자신을 열어 빛으로 오시는 주님을 모시고, 자신과 사회의 골짜기에 그리스도의 빛을 반사하는 거울입니다. 권력의 어두운 진실을 드러내며, 그늘 아래 힘없는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일이 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입니다.

John_Baptsist_Preaching.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2월 6일 대림 2주일 주보 []

치유 – 열림과 살림의 영성

Sunday, September 6th, 2015

치유 – 열림과 살림의 영성 (마르 7:24~37)1

예수님은 가끔 기이한 언행으로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우리 멋대로 예수님을 기대하는 고정관념을 깨뜨립니다. 다른 사람을 옥죄고 억압하는 위선자를 향해서 뿜어내신 분노와 독설은 우리로서도 통쾌할 지경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 이야기에서 보여주신 예수님의 행동은 더욱 세심하고 근본적인 도전을 담고 있습니다. 종교와 지역, 성차별이 우리 무의식에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밝히시고, 이를 발본색원하는 길을 예수님 몸소 보여주십니다.

마귀 들린 딸을 고쳐달라는 여인 이야기에는 대결과 차별 구도가 명백합니다. 예수님은 ‘유대인 남자’이고 그 여인은 ‘이방인 여자’입니다. 지역 차이와 성 차이가 함께 만나면 차별이 곱절로 고약해집니다. 예수님은 ‘유대인 남자’의 편견을 그대로 시연하시며, ‘이방인 여자’를 강아지에 비유하여 모욕합니다. 이때 여인은 그 모욕을 받아들이면서도 ‘용기를 내어 두려워하지 않고’(이사 35:4) 예수님께 항의합니다. 모든 생명은 그 처지와 신분이 어떻든 여전히 하느님의 은총 안에 있다는 선언입니다. 예수님은 기다렸다는 듯이 여인의 ‘옳은 항의’를 받아들이시고 당신의 고정관념을 바꾸십니다. 예수님도 그리하셨는데 우리가 거절할 도리가 없습니다. 이때 마귀가 떠나갑니다.

청각장애로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의 행동이 특별합니다. 예수님은 “손가락을 그의 귓속에 넣으셨다가 침을 발라 그의 혀에 대시고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쉰 다음 ‘에파타’하고 말씀하셨습니다”(33~34절). 예수님 당시 장애인이 살던 환경과 처지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나빴습니다. 예수님은 위생과 정결의 율법을 넘어서서 징그러울 만큼 친밀하게 자신을 장애인과 맞대십니다. 예수님의 ‘한숨’은 마음 아픈 현실을 향한 한숨이며, 생명을 주는 하늘의 숨결입니다. 그 숨과 함께 ‘귀먹은 반벙어리’의 귀와 입이 열렸습니다. 그를 통해 예수님의 소문은 세상에 더 퍼져나갔습니다. 우리의 선교가 그렇습니다.

‘에파타’ 하며 열리는 경험이 예수님의 치유이며, 우리의 신앙입니다. 신앙은 귀를 열어서 하느님께 귀 기울이고 바른 정보와 지식으로 고정관념을 고쳐 세상의 고통과 이웃의 아픔을 경청합니다. 입을 열어서 하느님을 찬양하고, 곁에 있는 사람에게 ‘사랑한다’고 말합니다. 눈을 열어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연민의 새로운 눈으로 더욱 깊이 응시합니다. 닫힌 신앙을 깨고 귀와 입과 눈이 열릴 때, 우리는 치유되어 서로 열고 살리며 살아갑니다. 이렇게 예수 신앙은 무의식에 깃든 고정관념과 차별이 만든 악령의 질서를 넘어섭니다. 이렇게 예수 영성은 삶의 질곡에 갇힌 사람을 열어주고 살리며 함께 품으며 넉넉하게 살아갑니다.

the-Canaanite-woman-dog.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9월 6일 연중23주일 주보 []

오해와 박해를 넘어 생명을 향하여

Sunday, July 12th, 2015

오해와 박해를 넘어 생명의 소식을 향하여 (마르 6:14~19)1

세상을 떠도는 ‘소문’에는 사람을 기쁘고 복되게 하는 선한 소문과 사람을 이간하고 오해하게 하는 악한 소문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소문을 바르게 식별하여 복된 것을 더 널리 나누고, 악한 것을 끊어내는 일이 신앙입니다. 교회와 사회, 역사와 정치 모든 영역에 적용할 신앙의 의지이기도 합니다.

아모스 예언자는 이스라엘 왕의 독재를 비판합니다. 이 소문에 왕의 참모와 어용 종교인은 아모스가 ‘나라를 망칠 소리’를 하고 있다며 박해합니다. 정치는 정치가에게 맡길 일이지 예언자가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비난합니다. 그러나 아모스의 응답은 단호합니다. 자신은 정치가가 아니라 농사짓는 보통사람이지만, 하느님의 분부라면 정치가 아니라 무슨 일에라도 관여하겠다고 합니다.

하느님의 분부를 시편은 하느님의 나라에 비추어 노래합니다. “사랑과 진실이 눈을 맞추고 정의와 평화가 입을 맞추리라. 땅에서는 진실이 돋아 나오고 하늘에서 정의가 굽어보리라.” 이 아름다운 가치가 성당과 예배 안에서 울리는 노래로 그칠 수는 없습니다. 왜곡된 세상을 바꾸는 가치와 실천의 소문이 밖으로도 울려 퍼져야 합니다.

못된 권력을 꾸짖고 연약하고 아픈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에 관한 ‘복된 소문’이 퍼져나갔습니다. 그런데 이 소문에서 헤로데는 자신이 죽인 세례자 요한이 살아돌아왔다는 환청을 듣습니다. 헤로데는 동생의 아내를 빼앗아 아내로 삼았고, 세례자 요한은 권력자의 부도덕한 행동을 비판했습니다. 그러자 감옥에 가두었고, 자기 즐거움에 취해 던진 약속에 죄 없는 요한의 생명을 빼앗았습니다. 생명을 주시는 예수님에 관한 소문을 듣자, 생명을 빼앗은 자신의 악행과 두려움 속에서 정신착란을 보였습니다.

헤로데와 세례자 요한의 죽음을 꺼낸 복음서의 뜻은 분명합니다. 세상 권력은 자신의 쾌락과 안녕을 위해서라면 양심도 누르고 생명을 앗아갑니다. 그 결과는 두려움과 분열증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과 제자들은 아픈 사람을 고쳐주시며 생명을 살리는 길을 올곧게 걸었습니다(지난 주일 복음). 그 걸음이 오해와 박해를 받기도 하지만, 예수님은 이제 배고픈 오천 명을 “거저 주시며 풍성하게 먹이시는” 희망과 구원의 길로 뚜벅뚜벅 향할 뿐입니다(다음 주일 복음).

성공회에 관해 ‘악한 소문’을 입에 담는 이들이 있습니다. 어떤 종교인들은 성공회에 ‘이단’ 혐의를 씌웁니다. 세계 그리스도교에서 세 번째로 큰 정통 교단이라는 객관적인 사실을 알려줘도 인정하지 않습니다. 세간의 어떤 이들은 한국의 역사와 변화에 함께한 성공회를 두고 ‘진보-좌파’라는 딱지를 붙이기도 합니다. 성공회는 세상에 오신 예수님의 성육신 영성을 깊이 성찰하고 실천하는 신앙 전통이라 해도 의심을 거두지 않습니다. 혐의와 의심을 작정한 이들을 바꾸기는 쉽지 않습니다. 비난과 두려움의 영이 눈과 귀를 가렸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흔들리지 않고 오직 ‘복된 소식’의 진실에 굳게 서서 의연히 걸을 뿐입니다.

Puvis_de_Chavannes,_Pierre-Cécile_-_The_Beheading_of_St_John_the_Baptist_-_c._1869.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7월 12일 연중15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