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500주년 생각 – 캔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의 성명서

Saturday, January 21st, 2017

올해 2017년은 1517년 서방교회의 개혁과 창조적인 분열의 사건인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해이다. 잉글랜드 성공회 캔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는 이에 관해 공동 성명서를 내고, 종교개혁의 뜻을 되새겨 복음과 섬김의 사명으로 분열과 미움의 과거를 넘어 새로운 협력의 시대를 열어나가자고 촉구한다. 아래에 성명서 전문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싣고 원문 출처를 남긴다.

ABC_ABY.png

종교개혁 500주년 생각 – 캔터베리 대주교와 요크 대주교의 성명서

올해 세계의 교회는 유럽에서 시작된 종교개혁 500주년의 중대한 의미를 되새길 것입니다. 종교개혁은 1517년 10월 31일 교회의 사치와 도락에 저항하여 마르틴 루터가 95개 항의 비판문을 내걸면서 시작됐습니다. 잉글랜드 성공회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 기념 활동에 참여할 것이며, 유럽 대륙의 개신교 동반자 교회들과 행사를 함께 나눌 것입니다.

종교개혁은 유럽 그리스도교인 안에서 일어난 쇄신이자 분열의 과정이었습니다. 올해 종교개혁 [500] 주년을 맞이하여, 많은 그리스도인은 종교개혁의 공헌을 이어받은 것을 커다란 축복으로 여기며 감사를 표할 것입니다. 그 많은 공헌 가운데는 은총의 복음을 분명하게 선포한 일과 자국어 성서가 마련된 사건, 그리고 신자들을 불러 세상과 교회에서 하느님을 섬기게 하신 소명이 포함될 것입니다.

많은 그리스도인은 또한 교회 일치의 훼손이 지난 5세기 동안 계속되었던 것도 기억할 것입니다. [교회의 분열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랑 가운데 일치하라 하신 분명한 명령에 반한 것이었습니다. 이 격동의 시기에 그리스도인들은 서로 싸웠으며, 많은 사람이 같은 주님을 알고 있다는 사람들의 손에 박해받으며 고통당했고, 심지어 죽이기도 했습니다. 그 뒤로 수 세기 동안 불신과 경쟁의 유산이 그리스도교의 세계 확장과 더불어 따라다녔습니다. 이 모든 일은 우리가 깊이 성찰해야 할 과제를 남기고 있습니다.

종교개혁을 기억하는 일은 종교개혁자들이 모든 사람의 삶의 중심에 넣어주려 했던 내용, 곧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순전한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어야 합니다. 올해는 그리스도 한 분만을 향한 우리의 신앙을 쇄신하는 시간입니다. 이러한 확신으로 우리는 좀 더 어려운 질문, 다시 말해 우리의 삶과 교회의 삶 속에서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을 나누고 축하하는 길에 들어서자는 질문을 던질 준비를 해야 합니다.

종교개혁을 기억하는 일은 또한 지속적인 분열들에 관해서 우리가 관여한 부분을 회개하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이러한 회개는 다른 교회들에게 손을 내미는 행동이어야 하며, 그들과 나누는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 500주년은 그리스도교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을 시작으로, 이러한 일의 기회를 더 많이 마련해 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종교개혁 기념에 참여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에 담긴 진리 안에서 쇄신하고 일치할 것을, 우리의 분열들에 회개할 것을, 그리고 그분 안에서 함께 하기를, 예수 그리스도께 복종하여 세상을 향한 축복이 되기를 촉구합니다.

(번역: 주낙현 신부)

영어 원문 링크 (캔터베리 대주교 홈페이지)

예수 – 임마누엘 – 그리스도

Sunday, January 1st, 2017

Jesus_Name.jpg

예수 – 임마누엘 – 그리스도 (루가 2:15-21)

거룩한 이름 예수 축일

거리에서 “예수를 믿습니까?” 하는 질문을 받거나, “예수천당, 불신지옥”이라는 팻말 아래 고함치는 이들을 종종 만납니다. 예수를 믿어 구원의 삶을 기쁘게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마저도 당황하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그 ‘전도’ 열정을 마음으로 칭찬할는지 몰라도, 실제로는 ‘예수’의 이름이 조롱거리가 되지 않을까 염려합니다. 여러 종교의 포교 행태가 자칫 광신으로 그 가르침의 핵심을 가리는 일이 많습니다. 게다가 종교가 사회 안에서 윤리와 도덕의 기준을 세우기보다는 세상의 욕심을 부추기면, 그 종교 자체와 그 종교인마저 애꿎은 비난을 받습니다.

한국 사회의 여러 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의 처지가 안타깝습니다. 예수의 이름이 민망할 지경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때, 신앙인은 우리가 믿는 분의 이름을 드높이고, 그분에게서 받은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값을 하며 살아야 합니다. 새해 첫날 거룩한 이름 예수 축일을 지키는 우리의 다짐입니다. 그 다짐은 ‘예수-임마누엘-그리스도’의 이름 뜻을 되새기며 시작해야 합니다.

‘예수’는 ‘하느님께서 구원하신다’는 뜻입니다. 구약성서 출애굽 사건 이후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인도했던 지도자 ‘여호수아’와 같은 이름, 같은 뜻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역사에 개입하셔서 사람이 권력자들의 지배를 받거나 착취를 당하는 일에 종말을 선언하십니다. 하느님께서 친히 그 구원의 역사를 펼치시는 놀라운 행동이 아기 예수 안에서 펼쳐집니다.

새날을 여는 분은 이제 정치 지도자 ‘여호수아’가 아니라, ‘아기 예수’입니다. 우악스러운 외침과 강요가 아니라, 우리 안에 내려와 동행하시는 ‘임마누엘’ 하느님입니다. 춥고 배고픈 빈곤의 현실에 오시고,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슬픔 안에 머무십니다. 다르고 낯설다고 배척당하여 서성이는 이들 옆에서 걸으십니다. 진실 안에서 정의와 평화를 외치며, 사랑을 회복하려는 수고와 땀을 함께 흘리십니다.

‘그리스도’는 기름 부음 받은 왕입니다. 연약한 이들과 동행하시며 부서진 세계에서 생명을 구원하시는 분이 진정한 왕이라는 말입니다. 이러한 구원의 동행을 걷지 않고 자신의 지위와 권력, 명예와 이름을 높이는 이들은 지배자들이거나 위선자들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부름 받은 신앙인은 우리 자신이 누구의 지배도 받지 않고, 오로지 하느님 안에서 창조 세계의 평등한 주역으로 떳떳하게 살아갑니다.

그리스도인의 교회는 시편 기자와 함께 새날 새 노래를 부릅니다. “사람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생각해 주시며, 하느님 다음가는 자리에 앉히시고, 존귀와 영광의 관을 씌워주십니까? 주의 이름 온 세상에 어찌 이리 크십니까?”

경계의 파수꾼 – 세례자 요한

Sunday, December 4th, 2016

John_the_Baptist.png

경계의 파수꾼 – 세례자 요한 (마태 3:1-12)

세례자 요한은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선포하며 회개를 촉구합니다. 우리 삶을 돌아보고 방향을 전환하는 회개로만 구원자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요한은 회개의 징표로 ‘물로 세례’를 베풀고 사람들에게 나쁜 행실을 그치고 자기 뒤에 오실 분을 향해 온몸을 돌리라고 외칩니다. 그는 자신의 한계와 역할을 정확히 알고 분별하여 다음 세대의 길을 열고 닦아주는 겸손한 사람입니다.

요한과 예수님은 늘 이어져 있습니다. 뱃속에 있을 때부터 서로 만나 기뻐 반기던 우정입니다. 요한이 권력을 비판하다가 옥에 갇히자, 예수님은 당신의 사목 활동을 시작합니다. 예수님도 권력자와 인간의 그릇된 욕망을 비판하고 새로운 세상을 여시다가 권력자와 대결하십니다. 이 대결이 만든 고난과 죽음을 통해서 부활의 문을 열립니다. 세례자 요한은 옛 시대를 어떻게 마감해야 새 시대가 열리는지 보여줍니다. 옛 시대가 그저 지나가고 새 시대가 자연스럽게 오지는 않습니다. 옛 시대를 아름답게 마감해야 새 시대가 놀랍게 펼쳐집니다.

세례자 요한의 삶은 먼저된 사람의 임무와 역할에 관한 깊은 통찰이기도 합니다. 먼저 태어난 사람, 먼저 신앙인이 된 사람, 먼저 서품받은 사람, 먼저 배운 사람은 자신의 경륜에 사로잡히기 쉽습니다. 자신의 능력과 지혜와 경험이 자기 세대에서 주역을 끝내고, 미래 세대를 위해 거름이 되는 일을 종종 잊곤 합니다. 자기가 여전히 역사를 이끌고 간다고, 자기가 없으면 세상이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다가 고집과 아집이 생겨납니다. 안타깝게도 이런 집착은 그동안 총명하고 지혜로웠던 눈을 가리는 방해물이 되고 맙니다.

경륜과 지혜와 경험이 진정으로 존중받고 싹을 틔우는 일은 그 다음 세대를 통해서 일어납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새로운 역사에 맡겨놓고 겸손하게 작아지지 않으면, 새로운 역사가 열리지 않습니다. 요한은 새로운 역사를 열려고 자신의 경륜과 지혜와 경험을 스스로 낮추고, 자기 다음에 오시는 예수님을 향해 완전히 열어 놓은 사람입니다.

요한은 새로운 길을 가로막는 옛 시대의 걸림돌을 치우며 길을 평탄하게 만듭니다. 시대의 전환과 새로운 역사를 위해서 자신마저도 쓸어담아서 스스로 치워버립니다. 생의 마지막 순간에 그는 예수님이 “오기로 약속된 메시아”인지를 확인하고, 예수라는 새로운 시대를 위해 기쁘게 자신의 목숨을 내놓습니다. 그는 시대의 경계에 선 파수꾼입니다. 이렇게 요한은 신앙의 역사 안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어른으로 우뚝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