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Sunday, March 20th, 2016

Entry_Jerusalem_Spanish_mural.jpg

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루가 23:1~49)1

‘호산나, 찬미 받으소서’ 하며 외치던 환호와 ‘그 사람을 죽이시오’ 하는 성난 외침 사이에 도대체 무슨이 있었던 것일까요? 종려가지를 들고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축하하던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고함치는 데는 불과 며칠이 걸리지 않습니다. 성지를 축복하고 손에 받아든 채로 우리는 주님의 수난 복음을 듣습니다. 이 격렬한 변질과 모순의 순간을 성주간 전례 안에서 우리 자신과 사회를 돌아보며 뼈아프게 직시하라는 부탁입니다.

불의한 재판과 모진 고문, 고통스러운 십자가 처형이 이어집니다. 인간의 배신은 재빠르고, 희망의 신뢰는 희미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희망을 욕망으로 맞바꾸는 우리 자신의 연약함, 진실을 알고도 모략으로 덮어버리는 권력의 뻔뻔함을 목도합니다. 힘을 보여줄 때 가까이하던 이들이 슬금슬금 꽁무니를 빼고, 멀리 주변부에서 안타깝게 지켜보던 이들이 조심스럽게 십자가 고통의 목격자로 중심에 등장합니다. 인간 내면의 어둠과 사회 외면의 불의 속에 감춰진 것들을 드러내며, 인간의 기존 생각과 관계를 뒤집는 일이 주님의 십자가 수난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루가복음서는 예수님의 죽음이 정치적 사건이라고 분명하게 고발합니다. 종교 권력과 정치 권력이 야합하여 예수님을 죽음으로 내몹니다. 예수님의 무죄를 분명하게 알고 있는데도, 권력자들은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려는 정치적 술수로 진실과 정의를 묻어버립니다. 서로 경쟁하던 기득권자들은 정치적 인기주의에 몸을 던져, 무고한 사람을 희생하는 불의를 작당하면서 서로 ‘다정한 사이’가 됩니다. 무죄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몰고도 자신은 책임이 없다는 뻔뻔한 변명을 내놓습니다. 모든 형태의 기득권자와 권력자가 보이는 이런 행태를 신앙인은 식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어떤 항변도 없이 무기력하게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곁에 다가온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시골 무지렁이 키레네 시몬이 난데없이 등장하고, 제자들마저 도망친 십자가의 길을 눈물 흘리며 동행하는 여인들이 예수님의 위로를 얻습니다. 십자가 처형 틀 위에서 같은 죽음의 고통을 받던 죄수가 낙원의 약속을 받습니다. 이들은 신앙의 내력, 재력과 권력과는 상관없는 사람들입니다. 다만, 하릴없이 고통과 고난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이들과 함께 십자가 위에서 이름없이 고통받는 이들의 연대를 선언합니다. 고통의 연대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 안팎에 너절한 차별과 분열과 분리의 ‘휘장’을 찢어내는 일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명령입니다.

환호의 종려가지가 아니라, 고통의 십자나무 위에 우리의 희망과 세상의 구원이 달려있습니다. 높은 권력의 기득권을 ‘비워서’ ‘종의 신분’으로 내려앉아 세상 고통의 밑바닥과 손을 잡을 때, 우리는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신앙인은 이 모든 일의 증인입니다.

ecce_homo.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20일 성지 및 주의 수난 주일 주보 []

그리스도인 – 삶의 향기를 품어 나누는 사람

Sunday, March 13th, 2016

Mary-Annointing-Jesus-Feet.jpg

그리스도인 – 삶의 향기를 품어 나누는 사람 (요한 12:1~8)1

예수님 발에 향유를 부어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닦아드린 마리아의 이야기는 아름답고 향기롭습니다. 이 향기로운 이야기는 다채로운 대비와 역전으로 예수님의 구원 사건과 하느님 나라의 진실을 드러냅니다. 권력과 재력의 셈이 빠른 ‘남성성’과 겸손하고 넉넉한 ‘여성성’이 분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차갑고 인색한 돈과 방안을 부드럽게 휘감는 향유의 대비가 뚜렷합니다. 위에서 힘을 부리는 이들을 내려 앉히고, 아래에서 섬기는 사람을 올려 함께 나누려는 의지가 선명합니다.

히브리어 ‘메시아’와 희랍어 ‘그리스도’는 ‘기름 부음을 받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히브리 구약성서에서는 특별한 사람을 뽑아 왕과 예언자, 사제들을 세우며 머리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정치적인 업적이 분명한 지도자를 ‘메시아’로 호칭하기도 합니다. 기름을 붓는 사람도 높은 지위에 있는 남성입니다.

신약의 복음서 ‘그리스도’ 예수님은 어디에서도 구약의 왕이나 예언자나 사제와 같은 권력과 행태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당시 그런 지위에 있던 이들과 불편하게 대결합니다. 기름 붓는 장면도 사뭇 다릅니다. 예수님께 기름을 붓는 사람은 당시에 신분 낮은 여성입니다. 마리아는 예수님 발에 향유를 붓고,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발을 닦아드립니다. 그것도 일 년의 수고와 땀을 다 모아야 살 수 있는 분량의 기름을 아낌없이 부어드립니다. 한 생명을 어루만지고 감사하며 축하하려는 마음때문에 그 향기가 온 집안에 가득합니다. 그 향기는 자기 혼자 움켜잡을 수 없습니다. 그 집에 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향기의 시간과 공간에 감싸여 다른 이들과 서로 연결되고 함께 삶을 즐깁니다.

현장에 있던 ‘남성’ 제자 가리옷 유다는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발에 부어버린 향유 값이면 가난한 사람을 여럿 도울 수 있겠다는 현실적인 판단입니다. 돈의 효율적인 사용에 관한 고민이 어쩌면 갸륵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신앙인은 이런 즉각적인 해결과 효율성이 지배하는 문화를 경계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시혜의 대상으로 여기기 쉬우며, 사회적 프로그램이나 제도의 성과에 집착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사람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지고 오해와 다툼이 잦아지며 비난과 요구가 더 완고해지고는 합니다. 급기야 서로 멀리하고 피하는 ‘썩는 냄새’를 풍기는 일로도 번집니다.

오늘 향유 사건이 일어난 무대는 과월절을 앞둔 ‘만찬장’입니다. ‘썩는 냄새’가 나도록 부패한 라자로를 새롭게 일으켜 세우고, 그 회생을 기뻐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온갖 수고와 땀으로 맺은 향기를 아낌없이 봉헌하는 성찬례의 잔치입니다. 우리의 수고와 땀을 모아 누구도 독점할 수 없는 향기를 다른 이들의 머리와 얼굴, 손과 발에 넉넉하도록 듬뿍 부어 축복합니다. 우리 삶의 구원을 축하하는 성찬례에서 신앙인은 서로 섬기며, 이 세상의 메시아/그리스도로 일어섭니다.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을 서로 기름 붓는 이들로 세워주고, 겸손하게 기름 받은 그리스도인이 된 것을 함께 축하합니다. 이렇게 그리스도인은 우리 가정과 교회, 사회와 세상을 주님의 향기로 가득 채워 하느님의 나라를 누리는 사람입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13일 사순 5주일 주보 []

돌아온 탕자 이야기 – 나는 누구의 그림자인가?

Sunday, March 6th, 2016


Rembrandt_Prodigal_Son.png

돌아온 탕자 이야기 – 나는 누구의 그림자인가? (루가 15:1~3, 11하~32)1

너무 잘 알려진 이야기에는 종종 함정이 있습니다. 복음서의 “돌아온 탕자” 이야기는 언제나 읽어도 감동과 아름다움이 넘치지만, 자칫 그 주제와 가르침에 너무 익숙해서 뻔한 이야기로 들리기도 합니다. 욕심 많은 아들이 아버지를 버리고 떠났다가 빈털털이가 된 뒤에야, 자신의 잘못을 크게 뉘우치고 돌아옵니다. 자비로운 아버지는 모든 잘못을 용서하고 그를 환대합니다. 우리는 종종 탕자의 삶을 살지만, 하느님은 우리를 기다리시고 늘 용서하십니다. 돌아오기만 하면 됩니다. 용서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것이 이야기의 끝일까요? 등장인물 세 사람의 삶에 드리운 그늘이 던지는 새로운 질문은 무엇일까요?

작은아들은 아버지를 없는 사람 취급합니다. “제 몫으로 돌아올 재산을 달라”는 말은 아버지의 죽음을 염두에 둔 요구입니다. 아들 눈에는 가장 친밀한 부모형제는 보이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워줄 재산만 보입니다. 곁에 있는 이들에게 눈 감는 사람은 신앙이 들어서지 않습니다. 재산과 성공만 보는 사람은 절제를 잃기 쉽습니다. 결국, 그 자신의 실패와 생존의 위협 속에서야 깨닫고 결심합니다. 돌아가자! 그러나 그 다짐은 여전히 자신의 배고픔을 달래보려는 마지막 이기심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큰아들은 아버지에게 화를 냅니다. 자신이 이룬 업적과 성과가 무시당했다고 생각합니다. 가문과 전통을 자신이 지켰다면서 그에 합당한 보상과 지위를 요구합니다. 자기 경험과 세월로만 판단하려는 사람입니다. 결국, 그는 자기가 속한 집에 들어가지 않고 밖에 나온 사람이 되고 맙니다. 그도 역시 집에 있는 아버지의 존재를 무시하는 사람입니다. 자신을 인정해달라는 큰아들의 분노는 작은아들의 이기심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연약한 사람을 환대하기는커녕, 스스로 자신을 내쫓는 어리석은 판단입니다.

아버지는 버림받고 무기력합니다. 작은아들에게서 죽은 사람 취급을 받고, 큰아들에게서 배신을 당한 사람입니다. 그의 재산은 이미 큰아들의 것이니,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살진 송아지를 잡아 잔치를 베풀고, 돌아온 자식에게 옷을 해 입히는 일 말고는 없습니다. 그의 눈은 희미하고 얼굴은 세월의 주름에 무너졌습니다. 아들을 껴안는 한 손은 연약하도록 가녀리고, 다른 한 손은 수고로운 노동의 세월에 뭉툭해졌습니다. 그에게는 잃은 아들을 품에 껴안을 힘과 마지막 잔치를 베풀 능력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 껴안는 품이 사랑과 신앙의 전부입니다.

이 세 인물은 우리에게 어떤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나요? 작은아들은 자기 꿈만 바라보는 젊은 세대를 대표할까요? 큰아들은 스스로 신앙을 잘 지켜왔다는 연륜의 신앙인을 가리킬까요? 아버지는 우리 근현대사의 거친 질곡을 견뎌왔던 세대일까요? 달리 물어보면, 방탕한 생활에서 돌아온 작은아들의 모습에 비친 나는 누구인가요? 스스로 자기 집을 거부해버린 큰아들 기성세대와 나는 얼마나 다를까요? 마지막 사랑의 힘으로 환대하는 늙고 병든 아버지의 모습은 거친 세월 속에서 고집 세고 인색해져버린 우리 자신에게 무슨 말을 건네는 것일까요?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6일 사순 4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