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는 누구인가?

Sunday, October 30th, 2016

Screen Shot 2016-10-25 at 7.11.55 PM.png

주교는 누구인가?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서울교구는 오는 11월 26일 정기 교구 의회 중에 새 주교를 선출한다. 서울교구만이 아니라 전국 교회가 바른 주교 식별과 선출을 바라며 성령의 인도 아래 한마음으로 기도드리고 있다. 때가 가까워지면서 복잡한 논의와 민망한 논쟁도 적잖다. 바른 지도자를 뽑겠다는 신앙의 책임을 통감한다는 증거다. 그런데 ‘이참에 주교제를 없애면 안되느냐?’ ‘임기만 짧으면 된다’는 차가운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먼저 물어야 한다. ’주교는 누구인가?’ 그 대답을 복음과 교회의 선교 전통 안에서 찾고 있는가? 이 물음과 대답이 없다면 후회를 되풀이한다고 역사는 말한다. 다시, 주교는 누구인가? 우리 기대와 판단 기준은 교회 전통에 근거가 있는가?

주교직은 교회 선교의 필요에 따라 마련된 역사의 산물이다. 성공회는 초대교회 신앙과 삶에 새겨진 주교 상을 온전히 담으려 했다. 복음의 전파와 교회 선교의 방편으로 주교제를 택했다. 그래서 주교제는 그리스도교의 필수 요소가 아니지만, 성공회 전통에는 필수 요소이다. 주교제를 포기하면 적어도 성공회는 아니다. 여기에 이견을 달 수 없다. 문제는 주교직을 바로 이해하고 세우는 일이다.

초대교회와 성공회 전통은 주교를 신앙의 교사, 공동체의 사목자, 복음의 진리에 목숨을 바치는 순교자로 가르친다.

교사로서 주교는 생각과 신념이 어지러운 신앙을 바로 세우고, 변화하는 세상 안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을 설득하는 사람이다. 교회와 세상을 위태롭게 살아가는 신앙인의 경험을 분석하여 신학으로 정리하고 이를 신앙의 행동으로 이끈다. 주교는 현장의 신학 교사이다.

사목자로서 주교는 ‘교구’라는 한 교회를 신앙의 기준과 전례의 행동으로 아우르고 돌보는 사람이다. ‘교구’라는 한 교회의 책임 사목자인 주교는 자신의 대리자인 사제를 지역교회에 파송하여 주교의 권위로 신자를 보살핀다. 다양한 지역교회의 신앙과 선교의 일치는 전례 안에서 확인하고 쇄신한다. 이것이 선교를 위한 권위와 위계질서의 본질이다.

순교자로서 주교는 복음 전파와 선교에 삶을 바치는 사람이다. 여기서 권위가 선다. 순교(마티리아)라는 말은 ‘복음 증언’의 다른 말이었다. 순교자는 권력과 지위와 명예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그의 관심은 신앙을 세우고 이를 공동체가 누리며 증언하도록 돕는 일이다. 그 밖의 일은 순교의 의지를 꺾는 온갖 유혹일 뿐이다.

주교는 교사와 사목자와 순교자로서 일만 하면 된다. 신자들은 주교에게 다른 것을 기대할 필요가 없다. 자신의 지위로 생겨난 여러 다른 일에 귀와 눈을 파는 주교나, 주교에게 불필요한 책임을 다 맡기면서 그 업무 수행을 비판하는 신자나 모두 주교직을 위험에 빠뜨린다. 주교에게서 최고경영자(CEO)를 기대하면, 주교도 망치고 교회도 망친다.

본연을 되찾아 거듭 물어야 올바른 주교 식별이 가능하다. 이제 주교를 어떻게 식별할 것인가? (다음 호에 계속)

  1. [성공회신문] 2016년 10월 30일 치 – 서울교구 주교 선거를 앞두고 [성공회 신문]의 요청으로 짧은 글을 썼다. 이번 호에는 “주교는 누구인가?”라는 글에서 주교의 근본적인 직무를 되새기고, 다음 호에서는 “주교를 어떻게 식별할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주교 선출을 위한 식별의 기준을 제공한다. []

신앙 – ‘뒤를 돌아보지 않는’ 나그네 길

Sunday, June 26th, 2016

wandering-jews-for-jesus-600.jpg

신앙 – ‘뒤를 돌아보지 않는’ 나그네 길 (루가 9:51~62)

복음은 종종 우리가 바라는 기대와 어긋나기도 합니다. 간절한 소원을 품고 성당에 들어왔는데, 전례에서 들려오는 복음은 우리에게 매우 낯선 명령을 내립니다. 지친 마음과 몸을 위로하러 찾았는데, 복음의 풀이인 설교는 우리 마음을 헤아리기는커녕 더 복잡하고 힘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어느 설교자도 사람을 괴롭히려는 마음을 품지 않는데, 하느님께서야 그 사랑하는 자녀들을 외면하실까요?

다만, 신앙의 길은 우리가 일상에서 평범하게 기대하는 것 너머를 바라볼 때 열립니다. 우리 생각을 초월한 공간을 향해 몸을 한 번 맡겨보겠노라고 굳게 마음먹을 때, 우리 소원과 위로의 길이 새로운 방식으로 펼쳐집니다.

오늘 예수님은 ‘마음을 결연하게 다지시고’ 새로운 일이 펼쳐질 ‘예루살렘’으로 길을 걷습니다. 권력과 부의 집착이 쌓은 ‘옛 예루살렘’을 무너뜨리고, 자기 포기와 헌신으로 ‘새 예루살렘’으로 건설하시려는 의지입니다. 그 길목마저 쉽지 않습니다. 낯선 땅 ‘사마리아’를 통과하시며, 스스로 낯선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낯익은 관습과 땅을 지키는 사람의 ‘냉대’마저 받아야 합니다.

사람 마음은 거의 똑같습니다. 자신을 환대하지 않으면 섭섭하고, 자신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분개합니다. 종교와 정치는 더 위험해서 믿음과 이념이 다르면 쉽게 정죄하고 심판하려 듭니다. 제자들처럼 “그들을 불살라 버릴까요?” 하는 분노가 우리 사회와 종교 곳곳에 널려있습니다. 예수님은 이들의 태도를 호되게 꾸짖습니다. 그곳에서도 ‘착한 사마리아 사람’이 나올 테니까요.

예수님은 심판의 분노를 우회하고, 집착을 버리는 자유의 길을 걷습니다. “머리 둘 곳조차” 없다는 예수님 말씀은 신세 한탄이 아닙니다. 신앙의 길은 ‘여우와 새’가 상징하는 생존 자체가 목적인 동물의 질서를 떠나고, ‘굴과 보금자리’가 뜻하는 안위의 집착에서 벗어난 선택입니다. 신앙의 길은 ‘나를 따르라’는 초대에 응답하여, 세상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삶의 쳇바퀴와 자신이 세운 기대에서 실제로 떠나는 연습입니다. 과거의 부채감과 죄책감에서 자신을 풀어주어 자유를 얻는 훈련입니다. 자신과 자녀, 가족과 친구 관계에도 해당합니다.

예수님의 조건이 마음에 걸리나요? 부모 장례도 못 치르고, 작별 인사도 막는 냉혹한 주문은 당시 상황에서 나온 과장법입니다. 엘리야도 제자 엘리사에게 작별 인사의 기회는 주었습니다. 제자가 되려는 의지가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악의 유혹은 선의 의지가 조금이라도 틈을 보일 때 파고들어 번져갑니다. ‘이쯤이야’ 하고 눈 감아서 미끄러지고 망가지는 일이 세상에 숱합니다. 당연하고 익숙한 질서, 그리고 과거에 미련을 두고 “뒤를 돌아다 보아서는” 신앙의 길이 계속 흔들린다는 경고입니다. 우리 삶에 새로운 사고와 행동이 필요하다는 촉구입니다.

신앙의 길은 체험과 신념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성을 결연하게 떠날 때 시작합니다. 낯선 곳을 여행하며 스스로 낯선 나그네가 되어 새로운 만남에 자신을 여는 길입니다. 처음에는 괴롭고 불편한 길처럼 들리지만, 곧 여행의 새로운 은총을 맛보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모두 예수님처럼 신앙의 길을 걷는 나그네입니다.

오늘도 내일도 – 사랑으로 품는 예언자 교회

Sunday, February 21st, 2016

gravity.jpg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 사랑으로 품는 예언자 교회 (루가 13:31~35)1

빛의 속도로 13억 년을 달려와 지구에 다다른 ‘중력파’라는 우주의 물결이 연일 뉴스입니다. 현대 과학의 난해한 이론이 어떻든, 상상하기 어려운 속도와 거리를 뚫고 그 오랜 시간을 견디며 어떤 힘이 와 닿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경이롭습니다. 먼 여행 끝에 다가와 우리를 가녀리게 감싼 우주의 파장은 우리 신앙 여정의 비밀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낯익고 편안한 고향을 떠나 낯선 땅으로 향하라는 하느님의 명령을 듣고 ‘아브람’은 두려움에 떱니다. 자기 고향에서도 이룬 것이 미미한데, 정처없는 여행을 떠나라 하시냐는 볼멘소리도 들립니다. 하느님은 아브람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시어” “하늘을 쳐다보게 하신 다음” “별들을 세어보라”고 하십니다. 신앙은 ‘자기 안’에 있지 않고, 세상 가치인 ‘땅’에 있지 않고, 약삭빠른 ‘셈’으로 가능하지 않다는 선언입니다. 유혹하는 악마는 자기 안에서 당장 움켜쥐는 성과를 찾으라고 속삭이지만, 신앙의 예수님은 자신의 안위를 멀리 떠나서 자기 ‘너머’에 있는 더 큰 세상을 길게 바라보라 하십니다.

바울로 성인도 유혹받는 인생과 신앙의 인생을 분명하게 구별합니다. 유혹의 ‘세상 시민’은 “자기네 뱃속을 하느님으로 삼고” 수치스러운 성과마저 “오히려 자랑으로 생각하며 세상일에만 마음을 쓰는 자”입니다. 반면에, 신앙의 ‘하늘 시민’은 눈앞의 이익에 연연하지 않고 어려움과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이며, “예수님을 바라보고 굳세게 사는 사람”입니다. 세상 가치로 유혹하는 “원수들이 미워하더라도” 하느님 안에 머무는 삶을 갈망하는 시편 노래와 맥이 닿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생명을 노리는 ‘여우’와 이를 지키려는 ‘암탉’ 사이에서 분명한 선택을 촉구하십니다. 헤로데는 권력과 부를 누리면서도, 가난하고 병든 사람을 고치시는 예수님을 위협하며 죽이려 합니다. 자리 보존과 이익에 따라 다른 사람을 평가하고 이용하는 사람은 생명을 짓밟는 ‘여우’입니다. 그러나 ‘암탉’은 세상 가치에 눈을 돌리지 않고, 깨지기 쉬운 ‘알’의 가능성을 보호하고, 병아리처럼 연약한 사람들을 사랑하여 온몸에 품습니다.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멀고 험한 길이 계속되더라도, 자기 생애에 다 마치지 못하더라도, 연약한 가능성을 먼저 사랑하고 품는 일을 멈추지 않겠다는 다짐입니다. 이것이 신앙이요, 선교입니다. 이것이 하느님 나라를 이루려는 예언자 교회의 사명입니다.

예수님의 마지막 경고가 준엄합니다. 밖에 있는 낯선 사람, 연약한 사람, 정처 없이 서성이는 사람들을 사랑으로 품지 않으면 ‘성전’은 곧 무너지고 맙니다. 아무리 아름답고 단단한 성당일지라도 구원의 배가 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외쳐도 주님을 만날 수 없습니다. 오직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세상 밖을 걸으며 낯설고 연약한 이를 초대하여 사랑으로 품을 때, 그리스도의 구원이 긴 여행 끝에 다가와 우리를 어루만집니다.

Hen_Jerusalem.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2월 21일 사순 2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