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를 향한 오바마의 연설

Tuesday, January 20th, 2009

마틴 루터 킹 목사 기념일을 쉬고, 우리는 신학생 아파트 이웃들과 함께 모여 오바마의 대통령 취임식을 시청했다. 역사를 만들어 내는 순간이었다. 솔직히 처음으로 미국 정치가 부러웠다.

내내 우리나라를 생각했고, 무엇보다 우리 교회를 생각했다. 또 오바마의 취임 연설이 우리 사회와 교회의 현실과 겹쳐졌다. 그 참에 그 생각들이 겹치는 대목만을 우리 교회 용어로 바꿔 옮겨 보았다. 오바마와 미국인이 당면한 미국의 위기는, 우리 사회와 교회의 위기와도 다를 바 없을 것이니, 듣고 가늠해 보아야 한다. 우리 지도자들에게서 – 기대했으나 – 듣지 못하고, 남의 말을 베끼고 고쳐 옮기고 있자니, 참으로 서글프다.

우리 교회는 약해졌습니다. 탐욕과 무책임의 결과입니다. 어려운 결정을 내리지 않고, 새로운 시대를 위한 선교를 준비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 교회 전통의 위대함을 다시 선언합니다. 우리의 위대함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얻어서 성취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여정은 어떤 지름길이 있거나, 어떤 소수의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수고를 대신한 여가나, 부자들, 혹은 명망가들의 기쁨을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위험을 무릅쓰고, 행동하며, 어떤 일을 만드는 사람들의 것이었습니다…

우리의 저력은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낡은 생각을 고집하고, 몇 사람들만의 이익을 보호하고, 언짢은 결정을 미루기만 하는 시절은 지났습니다. 그런 시절은 분명히 지나 갔습니다.

우리는 지금 교회를 새롭게 만드는 일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현재 교회의 위기는, 제대로 감시하는 눈이 없이는, 교회가 제멋대로 돌아간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고 있습니다. 오직 소수의 부자들을 위한 정책으로는 이 교회가 결코 번성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번영은 무엇을 기꺼이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이것이 공동선을 위한 길입니다…

부패와 사기을 통해서, 다른 의견을 입다물게 하면서 얻은 권력에 집착하는 이들에게 고합니다. 당신들은 잘못된 역사의 길을 걷고 있다고…

우리의 도전은 아마도 새로운 것일는지 모릅니다. 우리가 사용해야 할 도구 역시 새로운 것일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를 성공으로 이끌 분명한 가치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정직과 수고, 용기와 공정한 행동(fair play), 관용과 호기심, 충성심과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이 가치들은 오래된 것이지만, 진실된 것입니다. 우리 역사를 통해서 경험하거니와 이 가치들이야말로 진보의 힘이었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 진실의 가치로 되돌아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책임감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지닌 확신의 원천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불러 불확실한 우리의 운명을 새롭게 만들라고 부르셨다는 사실에 대한 책임감입니다…

교회와 구원: 성사적 원칙과 성공회 전통

Thursday, May 8th, 2008

그동안 몇몇 신부님과 대화하는 참에 사목적 경험에서 나온 신학적 관심들은 결국 구원론과 교회론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겠느냐는 생각을 나눴다. 그렇다. 전통적인 신학적 논쟁뿐만 아니라, 교회 분열까지 야기하는 최근의 신학적 논란들도 실은 이 문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대한 변주인 경우가 많다.

역사적 경험과 신학적 자료를 통해서 좀더 너른 성공회 신학의 토대를 구축하는 작업을 해 온 폴 에이비스(Paul Avis)는 Anglicanism and Christian Church 개정 증보판(2002)을 거의 새로 집필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교회와 구원”이라는 장을 새로 섰다.

에이비스에 따르면, 근대 성공회 신학자들의 생각에서 어떤 통일된 이념을 잡아내기는 어렵겠지만, 거칠게 나마 교회와 구원이라는 주제에 대한 생각의 흐름을 잡아서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한다.

  • 근대 성공회 신학자들이 구원과 교회에 대해서 말할 때 드러나는 근본적인 원칙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에게 새로운 삶이 주어졌다는 원칙이다.
  • 이 새로운 삶은 하느님에 의해 제정된 사회, 즉 교회 안에 자리한다.
  • 교회의 삶 속에서 성사적 원칙(the sacramental principle)이 중심이 된다.
  • 교회 안에 자리한,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새로운 삶은 세상 전체를 위한, 특별히 사회적 문제들을 변화시켜 나가기 위한 의미들을 담고 있다.
  • 교회 안에 자리한,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새로운 삶은 몸의 부활에 대한 종말론적인 희망을 이끌어 낸다.
  • 몸의 부활이라는 교리는 우주(cosmos)의 구원을 향한 희망을 동반한다.
  • 이 그리스도교적인 희망은 하느님의 전망에 담겨진 인간 존재의 궁극적인 완성을 가리킨다.

상세한 개념풀이가 필요해서 이를 당대의 신학자들과 대화하며 설명하는 것이 그 새로운 장의 내용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어떻게 생각을 진척시켜 나가 볼까? 이 특징들은 서구적 근대 신학과 성공회 전통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현대 에큐메니칼 신학 안에서 두루 확인되는 것들인데다, 또 현대 신학의 몇몇 흐름에 대해 매우 고전적인 도전을 담고 있으니 깊이 살펴보기에 적절한 것들이다.

위의 특징들은 에큐메니칼 신학 대화 안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있는 교회와 세상 안에서 성사 혹은 전례의 위치(cf. Karl Rahner)에 대한 확장시킬 수도 있겠다. 이 점은 곧장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를 교회와 전례가 어떻게 살아갈 것이며, 하느님의 선교가 지향하는 “하느님의 통치”(the Reign of God)에 대한 종말론적인 선체험(foretaste)이라 할 전례와도 연결된다.

도전의 측면에서만 보자면, 우선 소위 몇몇 포스트(post)주의의 변종 신학에 대한 것일 수도 있겠다. “또 다른 세상”에 대한 희망이 희미해지거나, 그것이 혹은 전통주의나 근대주의로 도매금 처리되면서 “이 세상”을 쉽게 인정해버리는 경향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 대한 긍정과 바라 볼 저 세상 사이의 긴장감이 약화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긴장감 상실이 이른바 근대 성공회 신학 자체 안에도 여러모로 깊게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전례와 교회의 관계에 관해서라면, 성공회는 우선 성사론적 이해(cf. Avery Dulles, Models of the Church)에 기운 특성이 강하므로, 여기서 비롯한 “세례적 교회론”(Baptismal Ecclesiology)과 “성찬례적 교회론”(Eucharistic Ecclesiology)은 그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적절하겠다. 이런 근거와 실천에서라야 교회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를 비추고 몸소 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폴 에이비스가 최근 이 점에서 다시금 “선교”1 문제를 부각시키는 것은 적절하고 마땅한 방향이다(Ministry Shaped by Mission, 2005).

그러나 여전히 그에게서는 전례와 선교를 이어가는 점들이 뚜렷하지 않아 아쉽다. 아니 그건 전례학자들의 몫이겠다. 이를 위해서라면 근대 전례 운동의 지향점들과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특별히 성공회 전통 안에서 실험되었던 이런 성사주의 운동의 경험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겠다. 그 성공과 실패를 통해서 배워야 한다.

다시 이런 말들을 정리하자면… 교회와 구원이라는 근본적인 사목적 신학적 주제는 교회를 기점으로 하여 펼쳐지는 교회의 전례와 선교를 통해서 실천하고 몸으로 드러나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몸의 실천은 물질적인 것 속에서 만나는 신성한 것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종말론적 희망을 부분적으로 먼저 맛보는 일이어야 한다. 종말론적 희망이라는 전망은 교회와 신학과 그 실천(전례와 선교)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과 성찰의 기준점이다.

  1. 여기서 말하는 “선교”는 내내 “하느님의 선교”에서 바라본 것이니, 19세기 제국주의 선교의 역사를 흉내낸 “전도 여행” “단기 선교 여행” 혹은 “교회 성장 전략” 등과는 아무런 혈친적 관계가 없다. 노파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