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아픔 – 아기 예수 봉헌 축일

Sunday, February 1st, 2015

아기 예수 봉헌 축일 – 구원의 아픔 (루가 2:22~40)1

“아기는 날로 튼튼하게 자라면서 지혜가 풍부해지고 하느님의 은총을 받았다”(루가 2:40). 자녀를 향한 세상 부모의 마음을 모두 담은 말씀입니다. 아기 예수를 성전에 봉헌하는 마리아와 요셉의 소망도 우리와 다르지 않습니다. 가난한 처지인지라 비싼 새끼 양은 엄두가 나지 않아 비둘기 한 쌍을 구하여 제물로 바치려는 마음은 세상 여느 부모처럼 간절했습니다. 하느님의 은총을 받아 건강하고 지혜롭고 어려움 없이 자라기를 바랐습니다.

그런데 이 소박한 소망을 훼방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하느님의 구원을 기다리며 경건하게 살아온 시므온이라는 노인입니다. 그는 아기 예수를 안고 기쁨에 넘쳐 하느님의 구원을 목격했노라고 외칩니다. 그러나 구원이 펼쳐지는 내용이 사뭇 다릅니다. 이 아기는 자라서 수많은 사람을 넘어뜨리기도 하고 일으키기도 할 것이며, 많은 사람의 반대를 받는 표적이 되어서, 이를 지켜보는 부모의 마음은 칼에 찔리듯 아플 것이라 합니다. 도대체 아기를 성전에 바치는 장면에서 벌어진 이 일은 축복인가요, 저주인가요?

복음이 전하는 예수님의 삶은 역설투성이입니다. 그분의 삶과 죽음은 하느님의 일을 완성하는 삶이지만, 세상 사람들 보기에는 실패요 불명예인 삶입니다. 그러나 다시 뒤집어 보면, 그 삶은 하느님과 지상의 부모에게는 크나큰 고통과 아픔이지만, 세상 사람들에게는 용서와 화해를 가져다주는 축복입니다. 복음을 따르겠다는 신앙인은 이 역설을 통하여 구원의 기쁨 안에 있는 아픔을 살핍니다. 그리고 다시 그 아픔을 우리 것으로 짊어져서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삶을 삽니다. 이것이 우리가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 속에서 우리 삶을 헌신한다는 말의 본래 뜻입니다.

피붙이로만 이뤄진 가족으로는 이런 다짐을 실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때 교회는 성찬례의 밥상에 둘러 모여 함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먹고 마시는 새롭고 든든한 가족입니다. 아픈 마음을 서로 기대며 소망을 나누며 세상 모든 사람에게 구원의 기쁨을 나누는 일이 바로 우리의 헌신이며, 교회의 선교입니다. 우리를 조금씩 덜어내어 물질로나 시간으로, 봉사로나 기도로 함께 응원하는 일로 우리는 헌신의 생활을 이어갑니다.

여전히 우리는 자녀가 잘 자라고 가족이 잘 되기를 소망합니다. 동시에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펼치는 구원에 아로새겨진 아픔, 그와 함께했던 마리아와 요셉이 겪었을 아픔을 함께 안고 살아갑니다. 우리 자녀가, 우리 자신이, 그리고 우리 교회가 세상의 아픔을 깊이 느끼며 세상에 구원의 기쁨을 전달하는 아기 예수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신앙, 우리의 헌신입니다.

Presentation_Temple.jpg

  1. 주교좌성당 주보 2015년 2월 1일치 []

해방과 전복의 어머니 – 성모 안식 축일

Friday, August 15th, 2014

해방과 전복의 어머니 – 성모 안식 축일 (8월 15일)1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난 해방을 기념하는 광복절입니다. 이 기쁘고 즐거운 날이 그리스도교에서는 성모 마리아 안식 축일과 겹쳐 있습니다. 루가복음에 나오는 ‘마리아 송가’(루가 1:46~55)는 광복절을 되새기기에 좋은 해방의 복음이요 노래입니다.

“하느님은 전능하신 팔을 펼치시어 마음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습니다. 권세 있는 자들을 그 자리에서 내치시고 보잘것없는 이들을 높이셨으며, 배고픈 사람은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고 부요한 사람은 빈손으로 돌려보내셨습니다” (루가 1:51~53).

성모 마리아의 삶은 이 ‘마리아 송가’에 따라 해석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서양 중세처럼 성모 마리아에 관한 잘못된 신심과 미신적인 숭배를 낳기에 십상입니다. 마리아는 작고 가난한 시골 소녀였으나, 하느님께서는 바로 그 작고 가녀린 몸을 당신께서 몸소 이 땅에 오시는 통로로 사용하셨습니다. 그 목적은 뚜렷합니다. 교만하고 권세 있는 자들을 내치시고, 보잘것없는 이들을 높이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교에서 천주교만 유독 이날을 ‘성모 승천’ 축일로 지킵니다. 마리아의 몸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말인데, 중세기에 생겨난 생각입니다. 1950년 천주교 교황 비오 12세가 교황은 오류가 없다는 무리한 주장을 펴며 ‘성모 승천 교리’를 선포했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오랜 전통과 가르침을 무시한 행동이었습니다.

Theophane_Dormition.jpg

성공회와 정교회는 그리스도교의 오랜 전통에 따라 8월 15일을 성모의 ‘안식’(dormition) 축일로 지킵니다. 여기서 ‘안식’이라는 말은 ‘잠들다’는 뜻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에서는 죽음이 없습니다. 이 세상을 떠난 신자는 모두 잠들어 하느님 품 안에서 쉴 뿐입니다.

정교회의 ‘성모 안식’ 이콘은 이 신학의 깊이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아기 예수를 낳았던 어머니 마리아는 이 세상을 떠나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순간 마리아는 강보에 싸인 작은 아기로 예수님 품 안에 안깁니다. 지상의 성모님이 천상에서 아기가 되고, 지상의 아기 예수님이 천상에서 마리아를 안은 ‘어머니’가 됩니다. 이 역전이야말로 성모 안식 축일의 중요한 의미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세상이 생각하는 질서를 하느님의 질서로 뒤바꾼다는 뜻입니다. 낮은 이들을 들어 올려서 하느님께 함께하도록 위치를 바꾸는 사건이 바로 하느님 나라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의 비천한 신세를 돌보셨습니다. 약속하신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의 가난하고 힘없는 종을 도우셨습니다.”

  1. 주낙현 신부,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8월 10일 치 []

눈물로 듣고 보는 신앙 – 성 막달라 마리아 축일

Tuesday, July 22nd, 2014

성 막달라 마리아 축일 (7월 22일)1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님의 연인이었을까요? 아니면, 새로 발견되었다는 파피루스 쪽지의 표현처럼 예수님의 아내였을까요? 소설가 댄 브라운의 ‘다빈치 코드’나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영화감독 마틴 스콜세지의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등은 이런 의문을 다뤄 세간의 이목을 받았습니다. 이때마다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막달라 마리아입니다. 그렇다면 복음서와 교회가 이해하는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는 어떤 관계였을까요?

Mary_Magdalene-Georges_de_La_Tour.png

막달라 마리아는 네 복음서에 모두 등장합니다. 그는 예수님과 함께 여행하던 여인들 가운데 한 명이었고, 자기 돈을 들여 예수님의 사목과 선교를 돕던 사람이었습니다. ‘일곱 마귀’로 고생하던 그를 예수님께서 구해주신 뒤에 그리한 것 같습니다. 우리는 이 ‘일곱 마귀’의 정체를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정신이나 육체에 깃든 심각하고 고통스러운 만성 질환이었으리라 짐작합니다.

몸을 파는 여인으로 돌에 맞아 죽을 뻔했다가 예수님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 여인을 막달라 마리아와 같은 인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건이 벌어진 한참 뒤에 이 여인이 예수님의 발에 향유를 붓고 자신의 머리를 풀어 닦아드린 아름다운 이야기가 복음서에 나옵니다. 서방 교회 전통에서는 이 여인의 사례에서 신앙인이 본받아야 할 참회와 헌신의 모본을 찾으려고 이 여인을 막달라 마리아와 동일인물이라고 결론짓기도 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는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과 묻힌 현장에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그는 예수님의 부활을 상징하는 빈 무덤의 첫 증인이었습니다. 모든 복음서의 한결같은 기록입니다. 그의 삶이 어떠했든 그토록 따랐고 사랑했던 사람이 죽었기에 예수님의 시신을 두고라도 마지막 인사를 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시신이 없어져 그 기회마저도 사라졌습니다. 마리아는 상실과 절망의 눈물을 흘려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 눈물 속에서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그 눈물이 그의 귀를 적셨을 때, 그는 예수님의 음성을 알아들었고, 그 눈물이 그의 눈을 씻어내렸을 때, 부활하신 예수님을 보았습니다.

다른 열 두 남성 사도들을 다 제쳐놓고, 부활하신 예수님은 무덤 가에서 우는 막달라 마리아에게 당신의 몸을 드러내셨습니다. 다른 열 두 남성 사도들을 다 제쳐놓고, 막달라 마리아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처음으로 만난 사람, 부활의 첫 증인이었습니다. 이 여성이 다른 열 두 남성 사도들에게 부활을 전했습니다. 이 때문에 동방 교회 전통에서는 막달라 마리아를 “사도들 가운데 사도”로 여기며 존경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는 복음서와 그리스도교 초기 역사의 신앙생활에서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습니다. 한 분은 ‘하느님을 품은 사람’(테오토코스)로, 다른 한 분은 ‘사도들 가운데 사도’로 불렸습니다. 예수님을 신실하게 따랐던 사도였던 두 마리아는 우리 신앙인이 걸어야 할 길이기도 합니다. 우리 신앙인은 예수님을 품은 사람입니다. 우리 신앙인은 예수님을 애틋한 그리움을 담은 연인으로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우리 신앙인은 삶의 고통과 슬픔, 기쁨과 즐거운 전체를 대면하면서 그 안에 깃든 눈물을 통해서 세상을 보는 사람입니다.

St_Mary_Magdalene.jpg

  1. 주낙현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주보 글 수정 보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