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Sunday, August 13th, 2017

Henry_Ossawa_Tanner_The_Disciples_See_Christ_Walking_on_the_Water.jpg

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마태 14:22-33)

희망은 고난으로 단단해집니다. 신앙은 풍파로 흔들리는 삶의 진실 안에서 자라납니다. 믿음은 여리고 아픈 자신의 한계를 인정할 때 성큼 다가옵니다. 삶의 상처는 쓰라려서 우리를 주저하게 하지만, 잠시 멈추어 세상의 아픔까지 헤아리게 합니다. 새로운 용기와 신앙의 은총은 여린 상처 안에서 조용히 솟아오르려 꿈틀거립니다. 풍랑을 잔잔하게 하시고 물 위를 걸으셨다는 오늘 복음 이야기가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오천 명을 먹이신 사건에 이어 나오는 이유입니다.

예수님도 마음을 흔드는 상처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참담한 죽음 탓입니다. 그는 예수님을 뱃속부터 서로 알아보고 뛰놀던 사이였습니다. 두 분은 세례로 연결되었고, 요한이 갇히자 예수님께서 세상 전면에 나서셨습니다. 가장 큰 예언자, 가장 큰 인간이 처절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주님은 분노와 고통, 슬픔과 아픔 속에서 요한을 기억하며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하며 홀로 있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병자들과 배고픈 이들이 따라나섰을 때, 그들의 처지가 마음 아팠습니다. 친구를 잃은 슬픔 속에서 아픈 이들을 치유하시고 배고픈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셨습니다.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 슬픔의 눈길로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바라보며 펼치신 성찬례였습니다.

다시 예수님은 슬픔을 안고 땅과 하늘이 만나는 거룩한 시공간으로 들어갑니다. 시간이 필요합니다. 경쟁으로 몸부림치며 성취를 향해 달음질치는 시간이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들여다보려고 멈춰서는 시간입니다. 자신의 상처와 슬픔을 하느님께 내보이는 시간 속에서 우리는 삶의 희망과 신앙을 새롭게 발견하기 시작합니다. 엘리야가 절망 속에서 하느님을 찾다가 기대와 달리 ‘조용하고 가녀린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났듯이, 주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과 상실 안에서 눈물의 바다 위를 걸으셨습니다.

제자들과 우리를 넘실거리며 위협하는 파도는 절망과 상실의 눈물인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그것을 피하며 허둥댈수록 그것들은 우리를 더욱 위협하고 두렵게 합니다. 그러고 보면, 믿음은 그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눈물 속에 내 몸을 던지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그 눈물의 바다에 몸을 던져서 그 눈물 위를 걸으셨습니다.

베드로가 그것을 깨닫고 바다에 몸을 던졌을 때, 그는 물 위를 걸어 주님께로 다가갔습니다. 그러나 삶의 고난과 상실을 잊으려 하고 귀찮다고 생각할 때 오히려 삶의 무게가 파도가 되어 그를 두렵게 했습니다. 자신의 안전과 행복에 눈을 팔 자, 물속에 빠져 허우적거려야 했습니다.

여전히 우리는 세상의 배고프고 가녀리고 절망과 슬픔이 가득한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야 합니다. 다른 이들이 겪는 깊은 슬픔과 눈물을 살피고, 함께 밥을 굶고, 함께 밤을 새우며 함께 깊이 기도할 때, 우리는 주님과 더불어 그 눈물의 바다 위를 걷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의 슬픔과 상처의 눈물 위를 예수님과 함께 걷는 신앙인인가요?

변모의 빛 – 선교를 향한 변화

Sunday, August 6th, 2017

Transfiguration.png

변모의 빛 – 선교를 향한 변화 (루가 9:28-36)

주님의 변모 축일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기도하시러 산에 오르셔서 영광스러운 빛으로 변모하신 사건을 기억하고 축하합니다. 주님은 사람들을 가르치시고 아픈 이들을 고치시고 배고픈 이들을 먹이시느라 아주 바쁘셨습니다. 그런데도 자주 홀로 떨어져 기도하는 시간을 잊지 않으셨습니다.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삶에서 자주 빠져나와야 새로운 신앙의 힘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 잠시 떨어져서 우리 삶을 지긋이 돌아볼 수 있습니다. 안주하던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꿈으로 삶에 변화를 키워낼 수 있습니다. 그 변화 속에서 그리스도의 빛과 교회의 선교가 세상에 펼쳐집니다.

사건은 산에서 일어납니다. 성서에서 산은 인간이 하느님을 만나는 공간입니다. 땅의 유한한 인생이 하늘의 영원한 차원으로 이어지는 곳입니다. 이 경계 위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환하게 우뚝 서셨습니다. 예수님처럼 신앙인은 아등바등 살아가는 땅의 생활을 하늘의 가치에 비추고 잇대며 살아갑니다. 자기 삶과 세상이 잘 변하지 않는 까닭은 땅의 염려에만 붙들려 골몰하기 때문입니다. 눈을 들어 고귀한 가치를 바라보며 떠나는 일이 변화의 시작입니다.

산 위에서 모세와 엘리야는 이러한 변화의 역사에 참여하라고 우리에게 손짓합니다. 모세는 판에 박힌 자신의 삶이 문제가 있다고 깊이 느꼈을 때 가녀린 떨기나무에 깃든 하느님의 불을 만났습니다. 말주변이 없어 주눅 들었던 그가 노예의 대탈출을 이끌었습니다. 예언자 엘리야는 하늘의 뜻을 기준으로 삼아 세상 권력을 비판하다가 모진 고생을 했지만, 하느님은 그를 하늘의 자리에 올려주셨습니다. 이처럼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누리는 자리에서 벗어나 하느님의 구원 활동에 참여하며 예수님과 만납니다. 이때 비로소 교회와 사회도 빛을 얻기 시작합니다.

변화를 향한 새로운 참여는 관습과 통념에서 탈출하는 모험입니다. 모세와 엘리야는 예수님과 함께 ‘죽음과 떠남’에 관해 논의합니다(31절). 이때 ‘죽음’에 해당하는 희랍어는 ‘엑소더스’(해방의 탈출)입니다. 교회와 사회 곳곳에 뿌리박힌 기득권의 관행을 그쳐야만 구원이 일어납니다. 그런데도 제자들은 오히려 겉에 드러난 영광만을 좇아 초막을 지어 머물려고 합니다. 안주하고 머물려고 온갖 변명과 뒷이야기마저 만듭니다. 그러나 하늘에서 들리는 소리는 “그의 말을 들어라!” 하는 명령입니다. 자신의 기득권과 명예 주장을 그치고 하느님의 일에 귀 기울여 참여하라는 일갈입니다.

신앙인의 목표는 높은 산에서 땅과 하늘을 이으시며 빛으로 변화하신 예수님입니다. 신앙인은 사람을 지치게 하고 억압하는 어두운 땅의 관습에서 떠나는 사람입니다. 모진 수고의 땀을 흘려 자유롭고 시원한 산의 높이에 올라서 하느님의 가치로 세상을 조망하는 사람입니다. 그 가치를 훈련하고 그 뜻을 품어 하산하여 교회와 세상을 바꾸는 노력에 참여하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신앙인이 이 땅에서 빛나는 존재로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이것이 신앙인의 교회가 세상의 변화를 향한 선교의 제자로 우뚝 서는 일입니다. 이때 주님의 비밀과 빛이 세상에 널리 드러나 펼쳐집니다.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Sunday, July 2nd, 2017

a_cup_of_water.png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마태 10:40-42)

우리 삶에는 온갖 배척과 환대가 뒤엉켜 있습니다. 조직을 지키려면 바깥에서 온 낯선 이들보다는 안쪽에 있는 인맥에 기대는 편이 더 지혜롭다고들 합니다. 반면, 고인 물이 쉽게 썩는 일을 염려하여, 새로운 물갈이 말고는 공동체의 쇄신과 성장이 어렵다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습니다. 일상에서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도 어떤 이익 분기점이나 감정의 경계 막바지에서는 등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만든 배척과 환대의 기준은 정갈하지 않고 변덕스럽기만 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신앙인에게 주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감추고 덮으려는 거짓 세상을 향하여 진실을 외치고, 힘의 대결로 약속하는 거짓 평화에 저항하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것이 ‘가르치고, 선포하고, 고쳐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깃든 우리 교회의 선교 사명이자 기준입니다. 녹록지 않습니다. 세상 가치에 물든 종교가 약속하는 성공과 안위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대와는 달리 모진 고생과 박해, 상처와 손해가 뒤따르는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나 진실과 평화의 행동 안에서 제자와 예수님, 그리고 하느님이 서로 안에 머물며 일치하는 신비가 펼쳐집니다(40절). 이 신비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며 확장합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방식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이 신비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여 경계합니다(로마 6:12-23). 그것은 ‘신앙 기득권’과 ‘제멋대로 신앙’입니다. 율법은 애초에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심을 조절하고 제어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라고 하느님께서 주신 규칙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종교권력자가 자신은 쏙 빼고 다른 사람들만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율법은 선물이 아니라 지배와 배척의 도구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규칙과 제어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는 자칫 공동체를 또 다른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사도 성인은 우리에게 익숙한 지배와 예속, 자유와 정의에 관한 생각을 사뭇 다르게 풀어갑니다. 그 분명한 대조와 역설적인 표현은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 사람은 율법이든 은총이든 지배 아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에 지배받고 사로잡히겠느냐는 선택입니다. ‘죄’는 남을 배척하며 힘을 휘두르는 행동입니다. 그러나 ‘정의’는 다른 사람을 환대하여 섬기는 일입니다. ‘죄’는 제멋대로 개인적인 자기감정과 주장에 골몰하게 합니다. 그러나 ‘정의’는 하느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성찰하여 대화와 배움의 고된 행동에 예속하도록 이끕니다. 제멋대로 세운 배척의 기준과 자유의 환상은 교회를 죽음으로 몰아갑니다. 그러나 밖이든 안이든 새롭게 다가오는 낯선 도전의 은총을 환대하고 견디는 일은 교회와 세상을 풍요롭게 합니다.

자신의 보호막으로 사용하려는 율법과, 고된 도전으로 낯설게 배우려는 은총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하고 있나요? 자리를 지키려고 웅크린 배척의 감정과, 초대하며 부딪쳐 나누려는 환대의 마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나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이들은 오늘 우리 사회와 교회에서 누구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