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Sunday, September 25th, 2016

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루가 16:19~31)

돈을 둘러싸고 사회와 인생의 희비가 출렁거립니다. 돈과 권력이 많으면 출렁이는 파도가 더 높아서 인생도 위태롭기 일쑤입니다. 복 받아 성공했다는 삶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생명까지 앗아가는 일이 잦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이 비극의 원인을 간명하게 말합니다. 모든 돈과 재산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은총입니다. 우리는 청지기로서 재산을 바르고 착하게 베풀며 살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이 소유관계가 어긋나면, 우리 인생도 어긋난 비극이 되고 맙니다. 신앙인은 이 비극의 연쇄 현상이 넘실대는 세태를 멈추고 바로잡으라는 소명을 받았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부자와 거지 라자로의 운명은 죽은 후에 완전히 뒤바뀝니다. 세심하고 흥미로운 대조가 눈에 띕니다. 유명했던 부자의 이름은 안 나오지만, 천한 거지에게는 ‘나자로’라는 이름을 남겨 후세가 기억하게 합니다. 부자는 죽어서 “땅에 묻힙니다.” 그러나 무덤덤하고 차가운 땅은 현세를 살면서 세상의 고통에 무관심하며 살던 인생의 결과입니다. 돈에 사로잡힌 인생은 땅에 묻혀 잊혀집니다. 반면, ‘라자로’는 새로운 신앙의 전통인 아브라함의 ‘품’에 안깁니다. 세상이 말하는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용기 있게 떠났던 아브라함이었습니다. 외롭고 나그네 같은 생명을 보듬는 따스함과 위로가 신앙의 품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약속과 희망을 얻습니다. 세상의 질서에만 묶여서 살면 땅속으로 들어갑니다. 여기가 지옥입니다. 고통 안에서도 생명을 지키려 발걸음을 내딛을 때 우리는 하느님의 품에 듭니다. 그곳이 천국입니다.

재산과 권력에 관한 태도가 신앙과 인생의 건강을 결정합니다. 아모스 예언자는 가난한 사람을 등쳐서 얻은 재산으로 호의호식하는 이들을 호되게 비판합니다. 이들의 행태는 결국 하느님의 심판을 받을 테니 정신 차리라고 경고합니다. 바울로 사도는 안타깝게 호소합니다. “부자가 되려고 애쓰는 사람은 유혹에 빠지고 올가미에 걸리고 어리석고도 해로운 온갖 욕심에 사로잡혀서 파멸합니다. 돈을 사랑하는 것은 악의 뿌리입니다”(디모 6:9~10). 우리 사회 여기저기서 목격하는 현상입니다. 재산을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다 보면 악한 곳으로 미끄러지고 맙니다. 예언자의 경고와 사도의 가르침을 귀담아듣지 않는 사람이 부활을 믿을 리 없습니다. 이런 이들의 신앙은 허세입니다.

돈과 재산, 지위와 권력은 그 자체로 좋고 나쁨도, 옳고 그름도 없습니다. 하느님께 속한 것을 인간이 자기 것이라고 고집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세상 땅’에 붙잡힌 사람들이 만든 질서 안에서 남을 빼앗고 억누르는 수단이 될 때, 그것은 눈과 귀를 가려 악한 유혹과 파멸의 길로 변합니다. 그러나 ‘하늘에 깃든 생명의 품’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손길이 될 때, 그것은 함께 누리는 복락과 은총이 되어 더욱 풍성해집니다. 그곳에 선한 재산과 정의로운 권력이 섭니다.

신앙은 생명 없는 돈과 권력에 생명을 보살피는 힘을 주겠다는 다짐입니다. 하느님의 재산을 하느님의 생명들에게 되돌려 사용하는 일이 신앙인의 사명입니다. 이 사명을 실천하는 신앙인의 이름은 영원히 잊혀지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이렇게 땅의 질서를 벗어나, 세상을 하느님의 품으로 만들어 나갑니다. 이것이 신앙의 인생역전입니다.

Rich-man_n_Lazarus.png

제자되기 – 예수님 몸짓 연습

Sunday, September 4th, 2016

two_women_running_on_the_beach.jpg

제자되기 – 예수님 몸짓 연습 (루가 14:25~33)

성서를 읽는 여러 방식 가운데 크게 잘못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성서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문자적 해석’과, 무엇이든 심리적 상징으로 풀어내려는 ‘영적 해석’입니다. 실은, 편의에 따라서 ‘문자적 해석’과 ‘영적 해석’을 자기도 모르게 섞어 쓰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부모형제를 버리고 자신을 미워해야 한다’는 예수님 말씀을 문자 그대로 따를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사이비 종교에 빠진 광신도가 아니라면요. 그렇다고 ‘부모와 자기’를 자기 마음을 괴롭히는 특정한 요인을 상징한다고 엮어내려는 시도도 무리수입니다. 신앙인은 역사 안에 오신 예수님의 행동과 몸짓에 우리 자신을 겹쳐서 살아가는 ‘제자’입니다.

“돌아서서” – 예수님은 군중을 이끄시는 걸음을 멈추고 ‘돌아서서’ 말씀하십니다. 새롭고 권위 있는 가르침, 치유와 기적으로 그분의 인기와 명성이 높습니다. 눈에 보이는 이익과 손에 잡히는 혜택에 사람이 모이곤 합니다. 예수님은 당신의 인기와 명성의 유혹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으십니다. 또한, 모여 따르는 군중에게도 편리와 안정이 신앙의 진정한 이유인지를 묻습니다. 신앙인은 다 잘돼가는 일을 두고도, 그 일이 어떤 힘으로 굴러가고 있는지 늘 ‘멈추고 돌아서서’ 묻는 사람입니다. 이를 ‘성찰의 신앙’이라고 합니다.

“미워하라” – 사랑의 예수님 입에서 나온 말씀이라 당황스럽습니다. 다시 읽으면, “원수를 사랑하라”와 “친지와 자신을 미워하라”의 대비가 뚜렷합니다. ‘자기 이익’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의 관습과 질서를 그냥 그대로 인정하지 말라는 당부입니다. 그럴 생각이라면, 굳이 예수님의 제자가 아니어도 된다는 말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시선은 자신과 다른 사람, 심지어 ‘원수’, 다시 말해, 자기 울타리 ‘밖’에 있는 이들을 향합니다. 이를 ‘타자를 향한 신앙’이라고 합니다.

“따르라” – 신앙은 제자가 되는 행동입니다. 세계를 보는 시선과 식견, 판단의 기준을 ‘세상’이 아닌 예수님으로 삼겠다는 의지입니다. 이러면 사람을 대하는 눈도 달라집니다. 편의와 소비를 제공하는 물질이 제일가치인 세상에서는 혈연, 지연, 학연 같은 인맥이 힘을 씁니다. 이러면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을 그런 처지에서 바라봅니다. 그 가운데서 승리감에 도취하고, 낭패감에 절망합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신앙인은 인간을 나누지 않고, 인간 생명 자체, 그 전체를 볼 뿐입니다. 자신을 어느 높낮이에 끼워 넣지 않고, 하느님 앞에 선 인간 자체로 살아갑니다. 이를 ‘생명의 신앙’이라고 합니다.

“먼저 앉아서” – 더 크고 깊은 세계를 배우고 대화하는 일이 쉽지 않은 시대입니다. “망대를 높이 쌓아 올리려”는 성과주의가 우리 사회를 좀 먹고 갈라놓습니다. ‘4대강’ 사업의 무자비한 상처가 곳곳에 남아 눈물을 흘립니다. 상황을 외면하고 전쟁에서 이기겠다는 상상으로 허용한 ‘미사일 기지’는 두려움과 분노만 만들어냅니다. 신앙인은 “먼저 앉아서” 평화를 일구려 고뇌합니다. 이를 ‘지성의 신앙’이라고 합니다.

“버리라” – 우리 삶의 행복과 인생의 구원은 결국 우리 자신을 하느님께 놓아주는 일로 통합니다. 재산과 명예와 지위라는 욕망의 사슬에 자신을 얽어매지 않고 손을 놓는 일이 용기 있는 신앙입니다. 모든 것을 손에 쥐고, 우리의 행복과 생명을 잃는다면 무슨 소용일까요? 예수님은 이 모든 삶을 “돌아보고” 이기심을 “미워하고” 낮게 “앉아서” 자신의 존재와 역사를 깊이 성찰하라고 하십니다. 찌꺼기를 “버리고” 바른 길을 “따르라”고 분부하십니다. 이것이 제자의 삶입니다.

하느님 나라 살기 훈련

Sunday, August 28th, 2016

diversity.jpg

하느님 나라 살기 훈련 (루가 14:1, 7~14)

어느 축하 식사 자리에서 목격한 일입니다. 갈증 난 손님들에게 수박을 대접하는 어떤 이가 행색이 조금 허름한 분에게 수박 곁자리 조각만 모아서 가져다주었습니다. 실수였는지 모르겠으나 잠시나마 당황하는 분의 안색이 역력했습니다. 이를 발견한 다른 분이 얼른 치우고 수박살이 튼실한 조각들을 담아 대접했습니다. 아주 잠깐 사이에 일어난 일이었으나 머리에 오래 남았습니다. 혹시라도 교회 잔치에서 일어난다면 몹시 안타까운 일입니다. 신앙인은 의식과 무의식을 넘어서 몸으로 먼저 사람을 귀하게 여깁니다. 신앙인은 사람이 모두 하느님의 자녀요, 서로 형제자매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세상의 생각’과 다른 ‘하느님 나라 신앙’의 출발입니다.

예수님도 오늘 식사에 초대를 받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대접보다는 예수님이 식사하는 행동을 유심히 지켜봅니다. 배고픈 손님의 처지보다는 안식일 율법 규정을 따르는지 검열하려는 태도가 엿보입니다. 하느님께 예배하려는 마음으로 더 온화하고 너그러워지기보다는, 예배 순서와 몸짓의 잘잘못에만 촉각을 곤두세우는 일과 닮았습니다. 이런 태도에서는 휴식과 회복이라는 안식일의 본뜻을 잊기 쉽습니다. 초대하여 넉넉히 나누고 축하하는 기쁨이라는 의미가 사라집니다. 세상에서 얻은 관습과 고정관념이 자신을 지배하면 신앙의 세계는 우리에게서 멀어지기만 합니다.

잔칫상에서 ‘낮은 자리에 앉으라’고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잔치에 ‘아무것도 갚지 못할, 힘없는 사람들’을 초대하라고 분부하십니다. 세상의 현실 감각과 동떨어진 말씀입니다. 세상의 질서는 경쟁하여 더 높은 지위에 올라, 더 편안하게 살라고 강권합니다. 지위 높고 부유한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일에 힘쓰라는 처세술도 가르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얻은 세상의 지위가 언제 내리막길을 걸을지 모른다고 경고합니다. 이익을 고려하여 끼리끼리 어울리는 삶은 언제 초대명단에서 빠질지 몰라 전전긍긍합니다. 세상의 질서를 따르면 그 기준에 따라 판단 받기 때문에 늘 불안합니다. 우리 사회에서도 요즘 자주 목격하는 장면입니다.

신앙인은 세상 속에 살면서도 세상의 질서에 들지 않으려 애씁니다. 세상에서 자신을 떼어놓고 구별합니다. 여기서 ‘구별된 삶’이라는 신앙의 말이 나왔습니다. 제 삶을 떼어놓고 구별하여야 하느님께서 거룩하게 해주십니다. 이처럼 축성된 삶의 다른 이름은 온전한 삶입니다. 온전하다는 말은 사람과 사회를 찢거나 가름 없이 하느님처럼 넉넉하게 품는다는 뜻입니다. 세상이 보상해 주지 못한다 해도, 하느님께서 기억해주신다는 확신이 우리의 믿음입니다. 이 믿음으로 세상에서 구별되어 온전하고 넉넉하게 사는 일이 신앙입니다. 이 신앙에서 하느님 나라가 우리 삶에 꽃피어 오릅니다.

세상의 질서는 ‘사다리’를 오르려 서로 경쟁하고 물리치고 차별하는 삶입니다. 언제 떨어질지 모르는 불안한 삶의 연속입니다. 그러나 하느님 나라는 서로 환대하여 손 맞잡고 이루는 ‘원’의 삶입니다. 담장 높은 감옥이 아니라, 둥근 울타리 안에 사람을 초대하여 귀 기울이고 보호하며, 그 울타리의 지경을 넓혀가는 삶입니다. 이것이 교회 공동체가 훈련하는 하느님 나라입니다. 이 삶을 가꾸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도우심이 절대 필요합니다. 우리는 세례 때의 다짐을 기억합니다. “이런 일을 하겠습니까?” “예,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그렇게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