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성모수태고지 – 하느님을 품는 신앙
Saturday, March 25th, 2017성모수태고지 – 하느님을 품는 신앙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모수태고지(3월 25일)는 천사 가브리엘이 시골 처녀 마리아 앞에 나타나, 인류의 구원자 예수를 잉태하게 되리라고 전해준 사건이다(루가 1:26-38). 이 이야기는 성서 전체를 통틀어 신앙인의 삶과 본질을 가장 빼어나고 아름답게 보여준다.
인간은 하느님을 멀리하고 제멋대로 살았다. 하느님은 우리 삶과 역사에 개입하시기로 작정하셨다. 다만, 세상의 방식과 기대와는 달리 가난한 시골 처녀의 가녀린 몸을 이용하신다. 두렵고 떨리는 마음 위에 하느님은 은총을 부어 용기를 주시고, 성령의 힘으로 감싸고 동행하시며 하느님의 뜻을 이루시겠다고 약속하신다. 마리아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열고 이 일에 동참하겠다고 응답한다. 하느님의 구원 사건의 동역자로 초대받은 마리아는 이후로 예수님의 탄생과 성장을 도우며 선교에 동행한다. 자기 몸에서 나온 아들이 십자가에서 죽는 모습을 지켜보며 애끊는 슬픔을 경험하고, 마침내 부활의 증인이 된다. 이처럼 신앙인의 역사가 수태고지에서 시작된다.
교회 전통은 새로운 역사의 시점을 지혜롭게 포착하여 연결했다. 교회는 원래 3월 25일을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신 날로 지켰다. 이날에 새로운 역사가 펼쳐졌다고 믿은 교회는 서양력 ‘A.D.’ (Anno Domini: 주님의 해)에서 한 해의 시작을 3월 25일로 삼았다. 또한, 뜻밖의 소식을 용기 있게 받아들인 신앙의 출발점과 구원의 역사가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에서 완성된 종착점을 겹쳐놓았다. 이것이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날을 잉태하신 날, 곧 수태고지 축일로 정한 이유이다. 탄생은 죽음을 향하지만, 죽음은 인생을 완성하여 새로운 탄생이 된다. 이에 따라 성인 축일은 대부분 순교와 죽음의 날을 새로운 탄생의 날로 지키며 정했다.
수태고지가 3월 25일인 탓에 성탄절은 12월 25일이 되었다. 만 아홉 달 뒤에 아기 예수가 태어난 것이다. 성탄절의 기원을 로마의 태양신 축제일에서 찾는 주장도 있었지만, 점차 수태고지와 십자가 사건, 성탄절을 함께 잇는 계산법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앙의 삶에 대한 신학적 해석에 훨씬 잘 어울리는 설명이다.
수태고지 사건에 담긴 중요성 탓에 성모 마리아에 대한 교리도 잇따라 발전했다. 그리스도교의 정통 교리는 성모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로 부르는 것이다. ‘어머니’라는 말에 많은 사람이 걸려 넘어져 오해하고는 했다. ‘어머니’는 친밀감과 신앙의 가장 아름다운 표현이다. 신앙은 자신의 실제 몸과 마음에 낯선 생명과 두려운 사건을 열림과 순종으로 받아들이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신앙을 ‘어머니’라는 여성의 이미지보다 잘 드러낼 말은 없다.
쉽게 이해하려면, ‘테오토코스’를 ‘하느님을 품은 사람’이라고 풀이하면 좋겠다. 성모 마리아는 우리 모든 신앙인의 모본이다. 수태고지 사건에서 시작한 신앙인의 여정과도 잘 어울린다. 실제로, 동방 교회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가장 완벽한 제자’로 보고 그의 삶을 따르는 일을 강조한다. 안타깝게도, 서방 교회에서는 중세 이래 마리아를 숭배하는 듯한 행태를 보였고(천주교), 이에 대한 불신으로 마리아를 신앙의 생각에서 아예 지우려 한 적도 있었다(개신교). 성공회는 초대 교회 전통에 충실하게 성모 마리아를 깊이 생각한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모두 수태고지를 받은 ‘성모 마리아’이다. 신앙인은 생각과 마음을 열어 하느님의 불편하고도 두려운 도전을 받아들인다. 우리 몸을 내어드려 하느님의 뜻이 우리 행동으로 드러나게 하고, 예수님의 길을 걸으며 세상을 산다. 혹시나 이런 ‘수태고지’ 사건의 신앙을 잊을까 염려하여, 교회는 주일마다 성찬례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을 실제로 먹고 마시며 우리 몸 속에 품는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품은 마리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