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Sunday, May 7th, 2017

 cathedral_seoul.jpg

성당 – 사랑의 가정, 평화의 교회 (요한 10:1~10)


유혹은 늘 달콤합니다. 나쁜 소문은 귀에 더 솔깃합니다. 진실을 가리고 세상을 어지럽히는 거짓 뉴스는 달콤하고 솔깃합니다. 보통 사람은 기존의 생각과 주장에 도전받기보다는 지지받고 싶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앙인은 새로운 도전 속에서 조금은 불편할지라도 진실한 목소리를 찾습니다. 거친 주장과 혼란한 잡음에 묻힌 희미한 진실에 귀 기울이고, 숨은 듯한 작은 싹을 눈여겨 발견합니다. 오늘 예수님 말씀대로, 작고 허름해도 그가 참된 목자이면 양들은 그 목소리를 알아듣습니다. 한눈팔지 않고 목자를 따릅니다. 목자는 온 힘을 다하여 양들에게 생명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가정은 진실한 사랑의 목소리를 식별하는 훈련의 공간입니다. 가정에서 우리는 사랑의 음성이 무엇인지를 배웁니다. 너무나 가까운 탓에 오히려 가정에서 서로 함부로 대하기 쉽습니다. 넘치는 사랑에서 나온 기대와 욕심으로 부모 자녀 사이에서 서로 부담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합니다. 사랑이 오해에 자리를 넘겨주어 갈등과 상처가 생기기도 합니다. 세월이 한참 지난 후에야, 가족이 서로 멀어진 후에야, 오해 아닌 사랑을 깨달을라치면 이미 시간이 늦기 일쑤입니다. 자신의 욕심과 기대에 사랑을 묻어버리지 말고, 순간마다 작고 따뜻한 음성으로 서로 길들이는 일이 필요합니다. 세상의 거친 소음 속에서도 그 작은 사랑의 목소리를 잊지 않고 알아듣도록 우리의 마음과 귀를 매일 훈련해야 합니다.

교회는 사랑의 목소리를 더 큰 가족 안에서 나누는 평화의 공간입니다. 신앙인은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을 이룹니다. 목자이신 그리스도의 이름 아래 새로운 가족이 되어 저마다 지닌 생명의 가치와 선물을 함께 축하하고 격려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모인 공동체이니 갈등과 불화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신앙 공동체는 자신의 주장과 식견이 아니라, 사랑이신 그리스도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고, 그리스도의 모습에 눈을 돌려서 우리의 길을 걷습니다. 자신과 자기주장을 기준으로 서로 맞서지 않고, 자기 너머에 있는 그리스도의 삶과 부활에 눈을 돌려 서로 맞선 시선을 같은 방향으로 돌려 맞춥니다. 참된 목자를 따르는 참된 양의 신앙입니다.

오래 전에 온갖 땀과 수고로 이곳에 세워진 서울주교좌성당은 사랑의 가정이고 평화의 성전입니다. 아기 예수님을 품으신 성모 마리아의 자애로움을 닮으려는 공동체입니다. 니콜라 성인처럼 미래세대 어린이 청소년 청년들과 세상의 힘없는 사람들을 껴안아 보살피고 선물을 듬뿍 나누려는 손길입니다. 어머니 마리아 성인의 염려와 기도와 사랑의 음성이 우리 자신과 우리 가정에 더 넘쳐나야 합니다. 보살피며 이끄는 목자 니콜라 성인의 기도와 베풂의 손길이 세상에 더 널리 펼쳐져야 합니다.

126년 전에 설립하여 축성 91년을 맞은 서울주교좌성당은 삭막한 도심에서 꽃과 나무의 생명을 보존하며 겸손하고 너른 품으로 지친 사람을 초대하는 쉼터입니다. 사랑과 평화를 실천하는 우리 가정과 우리 교회는 세상의 거짓을 넘어 진실을 알아듣고, 미움을 넘어 사랑으로 감싸고, 갈등을 넘어 평화를 만드는 성전입니다.

성 목요일 – 더럽고 배고프고 발가벗겨지는 신앙

Thursday, April 13th, 2017

Maundy-Thursday.jpg

부활-성삼일 성 목요일 전례 강론

요한 13:1-17, 31b-35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성목요일 세족례 및 성체제정 기념 성찬례
2017년 4월 13일

+ 나의 바위 나의 구원이신 하느님, 
 내 머리의 생각과 내 입술의 말들이 주님 마음에 들게 하소서. 아멘.

“인생아 기억하라, 흙에서 돌아왔으니 흙으로 돌아가리라.” 우리는 이 말씀을 들으며 지난 사순절을 시작했습니다. 다시 되새겨 보면, 이 말씀은 우리 인간이 맞이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죽음을 의미합니다. 그 죽음을 기억하는 것이 사순절의 발원이요 본뜻입니다.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 “죽음을 기억하라!” 옛 수도자들은 서로 만날 때마다 이렇게 인사하면서, 우리가 언젠가 죽을 목숨이라는 사실을 늘 되새겼습니다. 그러나 그 죽음은 옛것의 죽음을 말합니다. 그 죽음은 우리 자신이 새로 태어나려고 환영해야 할 죽음입니다. 나아가 그 죽음은 다른 사람을 새롭게 살리려는 죽음입니다. ‘나와 우리’ 자신이 새롭게 태어나고, 그 기쁨으로 이제는 다른 사람까지 새롭게 살리는 일이 오늘 성 목요일의 주제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오늘 성목요일부터 새로운 삶의 전환점을 열어주십니다. 지난 세월 동안 예수님과 함께했던 시간을 다 모아 수렵하고, 그 수렴의 끝에서 새로운 일을 싹틔우는 시간입니다. 예수님께서 걸어왔던 모든 땀과 수고의 사건이 오늘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그처럼, 우리 인생의 온갖 슬픔과 기쁨, 절망과 희망, 그리고 실패와 성공이 우리 삶의 시간에 켜켜이 쌓여 있습니다.

노동과 수고의 세월 속에서 두터워진 우리의 손등 위에, 조금씩 늘어지고 피부와 깊어지는 주름살 사이에, 종종 피곤함에 말라서 갈라지고 터지며 딱딱해지고 일그러진 우리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에, 우리 삶의 웃음과 눈물이 새겨져 있습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쌓인 세월의 시간을 모두 껴안으시며, 우리를 새로운 삶의 공간과 시간으로 초대하셨습니다. 제자들의 피곤하다 못하여 더럽고 뭉툭한 발을 씻어주시는 세족례로 우리를 어루만져 주셨습니다. 한낮의 분주한 노동과 수고, 갈등과 방황에 지치고 목마른 우리 앞에 가장 귀한 저녁상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이처럼 초대받은 세족과 마지막 만찬 안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살아왔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의 혁명적인 변화를 목격하고 경험합니다. 예수님께서는 하인이 하던 일을 주인의 일로 바꾸셨습니다. 말로만 그리하시지 않았습니다. 주인이시고 주님이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손수 씻어주셨습니다. 그러나 그날 당신의 행동으로 그치지 않으셨습니다. 주님은 이 행동의 바통을 제자들에게 넘겨주시며, 이처럼 살아달라고 부탁하셨습니다.

이 겸손한 섬김을 향한 단단한 분부가 성 목요일의 별명이 되었습니다. 성목요일에 해당하는 영어 “몬디 서스데이” Maundy Thursday는 ‘분부와 명령’ mandatum 의 목요일이라는 뜻입니다.이 명령을 실천하지 않는 삶은 예수님과 “상관이 없는” 삶입니다(요한 13:8).

예수님은 한 걸음 더 나가십니다. 세상을 섬기러 온 사명을 몸소 보여주신 예수님께서는 아예 당신의 몸을 내어 주시며 이를 먹고 마시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라” 하시며 분부하십니다.

여기 눈여겨 살피고 귀 기울여 들어야 할 부분은 “이 일을 행하라”하신 말씀입니다. 교회 역사를 들춰보면, 성찬례를 두고 논쟁이 격하였고, 그 해석에 따라 서로 정죄하고 심판하려 했습니다. “이것은 내 몸이다. 이것은 내 피이다”하는 말에만 사로잡혀 교리 논쟁을 벌였습니다. “어떻게 떡이나 포도주가 예수의 살‘이고’(is) 피‘이냐’(is)?”를 두고 지금도 갈라져 싸웁니다. 자기 식대로 믿지 못하면, 자기네 성찬례에도 초대할 수 없다고 법으로 못 박아 두기도 했습니다. 주님의 말뜻을 제멋대로 듣고, 보고 들어야 할 부분은 허투루 생각한 처사입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예수님께서 두 번씩이나 깊이 하신 말씀, “나를 기억하여, 이 일을 행하라”(DO THIS)는 말씀은 안중에 없습니다. 이러면 성 목요일의 정신을 배신하고 맙니다.

성 목요일의 전례는 주님의 삶 마지막 단계에서 보여주신 섬김과 나눔의 행동을, 우리 신자들이 우리 삶과 생활로 옮기라는 부탁입니다. 그리하여 세상의 구원하시는 예수님의 동역자가 되어달라는 초대입니다. 그 초대에 응답하여 모인 우리는 겸손히 섬기고 자신의 몸을 내어주는 행동을 오늘 전례에서 몸으로 훈련합니다. 우리가 드리는 전례는 세상 밖으로 나가기 전에, 섬김과 나눔의 뜻과 삶을 몸으로 익히는 일입니다. 전례는 이 신앙을 몸에 배도록 수련하는 일입니다. 그 수련에서 마음과 행동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펼쳐질 때, 이를 영성이라고 합니다. 성삼일은 전례를 통한 영성 수련의 근간이기도 합니다.

성 목요일 전례의 마지막 순서는 제대의 모든 장식을 벗기는 일입니다. 제대보를 걷으면 제대는 화려함 뒤에 숨겼던 알몸을 드러냅니다. 예수님의 몸이 벗겨진 사건을 상징합니다. 이 광경을 목도하는 우리는 이제 우리 자신을 발가벗겨야 합니다. 우리 몸에도 숨겨진 아픈 상처와 세월의 흉터가 고스란합니다. 감추고 싶었던 우리의 불신앙을 정직하게 돌아보아야 합니다. 이때라야 성 목요일의 분부를 무시하고 살았던 우리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그제야 화려한 명예와 권력과 욕심으로 가린 우리 마음과 몸에서 예수님의 세족과 성찬례에 대한 기억이 흐릿하게나마 다시 돋아납니다.

이제 여러분의 발을 씻을 터이니, 그 발로 세상을 향하여 밖으로 나가십시오. 이미 온몸이 깨끗해진 여러분의 발만은 이 세상의 어둠과 더러움을 몸으로 겪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는 일로 다시 더러워져야 합니다. 깨끗한 발을 지키는 일이 신앙이 아닙니다. 다시 씻으시고 어루만지시는 예수님의 손길을 기억하고 신뢰하면서, 주님을 위해서 복음을 전파하고, 주님의 삶을 따르며, 흙먼지 묻고 땀냄새나고, 갈라지고 비틀리도록 우리 발걸음을 걸어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 이 성당에 돌아오십시오. 주님께서 여러분의 피곤한 발을 다시 어루만지시며 씻어주십니다.

이제 주님의 몸과 피를 여러분의 몸에 모실 터이니, 그 밥의 힘으로 세상을 향하여 밖으로 나가십시오. 여러분은 주님의 몸을 모신 사람이니, 다시 허기지도록 온 힘을 다하여 세상에서 배고파하는 이들과 우는 이들과 슬퍼하는 이들을 일으켜 세우십시오. 하느님을 찬양하는 이들과 삶에 감사하는 이들과 더불어 우리 삶의 선물을 축하하십시오. 여러분의 시간과 에너지를 이 창조세계의 정의와 평화와 사랑을 위하여 사용하며, 우리는 다시 배고파하고 목말라져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 이 제대로 돌아오십시오. 주님께서 당신의 몸과 피로 우리를 먹여주시며 우리의 생기를 회복하십니다.

이제 여러분은 주님의 발가벗은 몸을 기억하며, 세상을 향하여 밖으로 나가십시오. 여러분이 입은 옷과 가진 선물과 능력으로 세상의 헐벗은 이들을 입히십시오. 그들과 더불어 풍찬노숙하여 같이 이불을 덮고 옷을 나누고, 감춰둔 여러분의 아픔과 상처, 슬픔과 절망을 나누십시오.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사람을 위로하고 격려하십시오. 그러다가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헐벗고 추위에 떠는 몸이 되어 다시 이 성당에 돌아오십시오. 하느님의 따뜻하고 깊은 숨결이 여러분을 기다리며 감싸 안고 하늘의 옷을 입혀주십니다.

그러니 부활 성삼일을 걷는 여러분, 다시 기억하십시오. 주님께서 분부하십니다.

“나를 기억하여 이 일들을 행하십시오.”

신앙의 시선 – 눈 뜬 자의 반격

Sunday, March 26th, 2017

Blind_Man_Siloam.jpg

신앙의 시선 – 눈 뜬 자의 반격 (요한 9:1-41)

예수님은 우리의 마음과 영의 눈을 밝히시는 빛입니다. 자기 스스로 두껍게 세운 고정관념의 벽과 ‘나 홀로’ 세운 신념의 감옥을 벗어나는 자유와 용기의 빛을 선사하십니다. 실로암 연못가에서 앞 못 보는 장애인을 고쳐주신 이야기는 우리 신앙의 여정과 겹칩니다. 새로운 진실에 정직하게 마음을 열고 배움으로 우뚝 선 그는 과거의 처지를 넘어서 주님의 제자가 됩니다. 새로운 신앙의 시선은 그의 존재를 무시하고 짓밟던 힘을 거슬러 반격합니다.

종교는 때로 ‘죄와 벌’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합니다. 제자들마저도 한 사람의 불행과 불운을 그 자체로 함께 아파하거나 헤아리기보다는, 자신의 행복에 견주어 빗나간 눈길을 보내고는 합니다. 남의 입을 타고 멋대로 흐르는 악한 소문에 얕은 귀를 빌려주어 단정하기도 합니다. 복잡한 삶의 처지와 말할 수 없는 속내를 경청하여 인생의 깊이를 더 헤아리는 일에는 인색합니다. 재빠르게 정죄하고 분리하여 자신을 보호하려 합니다.

복음은 이러한 차별의 고정관념에 담긴 논리를 뒤집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앞 못 보는 장애를 불행이 아니라 하느님의 놀라운 영광이 드러나는 통로로 뒤바꾸는 선언입니다. 예수님은 몸소 침을 흙에 개어 눈에 바르고, 물에 가서 씻으라고 하십니다. 침은 상처를 아물게 하는 치유의 손길입니다. 진흙은 태초에 하느님께서 인간 아담을 빚으신 수고와 사랑입니다. 원래대로 치유하시고 회복하시려는 손길은 연못의 물로 씻는 세례로 이어집니다. 세례받은 우리는 세상의 눈에는 천덕꾸러기일지라도, 그 자체로 하느님의 사랑을 받은 사람이며 그 은총의 손길에 감싸인 하느님의 귀한 자녀입니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자의 눈길은 완고합니다. 오랜 불행에서 벗어난 사람의 기쁨을 함께 축하하기는커녕, 자신들이 멋대로 해석한 율법으로 사람을 다시 ‘죄인’로 묶으려 합니다. 낯선 이를 경계하고, 사람의 가능성과 변화를 시기하며 ‘출신 성분’으로 시비를 겁니다. 그러나 새롭게 눈 뜬 사람의 반격이 놀랍습니다. 지금까지 권력과 지위에 눌리며 말을 못하던 사람이었으나, 새로운 용기를 내어 고정관념의 세력에 도전합니다. 권력의 법이 아니라, ‘하느님을 공경하고 그 뜻을 실행하는 사람의 청은 들어주신다’는 하느님의 방식을 높이 세웁니다. 권력자의 반응은 동서고금 늘 같습니다. 권력과 지위에 눈이 먼 사람은 진실을 말하는 사람의 입을 막고 밖으로 내쫓습니다.

차별받고 내쫓긴 사람에게 새로운 초대가 열립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세례받은 신앙인은 저마다 상처를 치유 받고 회복된 사람입니다. 우리가 새롭게 뜬 눈의 시선은 이제 세상에서 상처받은 사람들, 차별받는 사람들, 내쫓긴 사람들을 향합니다. 신앙에 눈 뜬 자의 반격이 시작됩니다. 우리 신앙인은 자유라는 치유, 진실의 회복을 가져오는 ‘실로암’ – ‘파견된 일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