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와 성사성 – 제임스 화이트, 성공회 전통

Tuesday, May 6th, 2008

감리교 목사이자 전례학자인 제임스 화이트(James F. White: 1932-2004)는 교편에서 은퇴한 해에 펴낸 책(The Sacraments in Protestant Practice and Faith, 1999)을 천주교 신자인 아내에게 헌정했다.

화이트는 책 말미에서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를 인용하며 개신교 신학의 미래가 성사성(sacramentality)에 대한 감각과 실천의 회복에 달려 있다고 공언했다. 틸리히에 따르면, 개신교 신학의 운명은 “자연과 성사”(nature and sacrament)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개신교 신학의 완성은 “성사적 (시공간) 영역”(sacramental sphere)의 재발견에 달려 있다는 것이었다.

화이트는 이어서 현대 (개신교) 교회 안에서 풍요로운 성사적 삶을 막고있는 장애물 세 가지를 열거했다.

[1] 좀더 풍요로운 성사적 삶을 막고 있는 주요 장애물은 성사(sacraments)를 하느님의 현존하는 행동으로 보기를 꺼려하며, 단지 과거에 있었던 하느님 행동에 대한 인간의 기억으로만 보려는 태도에 있다. 이런 처지에서 성사를 하느님의 자기 주심(God’s self-giving)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성사의 효과에 대한 감각이 개신교인들에게는 너무 없다… 계몽주의는 영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의 모든 연관을 잘라내 버렸다.

[2] 최근에 일어나는 위협 가운데 하나는 교회 성장 운동을 통해서 더욱 두드러지는데, 여기서는 교회와 문화의 차이를 극소화하려 한다… 그리고 성사들과 교회력, 그리고 성서정과들이 우리 문화에 적절하지 않고 오히려 갈등을 일으킨다고 하면서 이를 주변화시킨다.

[3] 좀더 풍요로운 성사적 삶을 막고 있는 세번째 장애물은 대체로 생각없이 대충 대충 성사들을 집전하는 것이다… 준비없이 대충 드리는 성찬례는 그 안에서 이뤄지는 하느님과의 사귐이라는 신앙을 약화시키고 파괴한다. 성사들의 의미에 대한 가르침이 부족해지면서 이제 성사에 대해 무지한 세대가 되어 버렸다.

근대 전례 운동(the liturgical movement)이 태동하여 영향을 주기 시작한지 100년이 넘지만, 그 깨달음과 울림은 식민지 선교의 유산에 파묻혀 있는 한국 그리스도교계에는 멀기만 하다. 아니 최소한 주어진 전통에서나마 겨우 그 “감각”을 몸으로 익혀 온 것들 마저 멀어지고 희미해지는 양상이다. 화이트가 지적한 세가지 장애물을 빗대어 우리 교회(최소한 한국성공회의 전례 현실)를 성찰해 볼 일이다.

흥미롭게도 화이트는, 역사적으로 오래 논의되었던 성사(sacraments)와는 달리 “성사성”(sacramentality)이라는 개념이 근대에 이르러 부각되었다고 하면서, 그 근원을 성공회의 프레데릭 모리스(F. D. Maurice: 1805-1872)의 [그리스도의 왕국] The Kingdom of Christ (1837)에서 찾았다. 모리스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우주를 창조하셨으니, 물질적인 것(the physical)은 신성한 것(the divine)을 만나는 수단이요. 물질적인 것과 신성한 것 사이에는 어떤 틈이 존재하지 않고, 서로가 서로에게 이끄는 관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물질 세계 안에서 하느님을 발견한다. 그리고 다시 이 물질 세계는 신성의 체취를 풍긴다” (화이트의 요약).

더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모리스의 성사성 이해가 사회 정의를 위한 성사적 행동들과 이어졌고, 그것은 성공회 안에서 일어난 그리스도교 사회주의(Christian Socialism), 그리고 이후 전례 운동을 통해서 깊어진 성사적 사회주의(Sacramental Socialism)으로 발전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근대 성공회 전통과 기질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점차로 잊혀지는 전통이기도 하다. 화이트가 “성사성”를 설명하면서 성공회 전통의 신학자들(Percy Dearmer, A. G. Herbert, William Temple, John Macquarrie)에 기대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런데 정작 지금 우리 성공회 신자들은 어디에 곁눈질하고 있는가?

성찬례의 인간 Homo Eucharisticus

Sunday, May 4th, 2008

일전에 나눔의 집에서 일하시는 박순진 신부님께서 요즘 한국 사회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탄해 하며, 도대체 “우리의 전례(liturgy)가 이런 세상에서 무엇이야 하는지”를 물어오셨다. 당신의 사목 활동이 이미 그 뜻을 몸소 살고 있는 참이니, 똑바로 공부하여 나누라는 일갈로 여겼다.

하릴없이 나는 원칙만 되새기며 함께 가자고 할 뿐, 그리고 오히려 신부님의 나눔의 집 선교 활동을 통해서 몸으로 배워야 하겠노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이 상황에서 전례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매우 아프게 다가옵니다… 우선은 이런 편만한 욕심과 욕망의 분출 현상은 최소한 성찬례라는 전례가 갖는 비전과는 전혀 반대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이 비전을 우리 전례 안에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성공회의 위대한 전례학자인 돔 그레고리 딕스(Dom Gregory Dix)는 언젠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전례를 통해서 “경제적인 인간”(Homo Economicus) 혹은 “소비적인 인간”(Homo Consumericus)이기를 포기하고, “성찬례의 인간” 혹은 “나눔의 인간”(Homo Eucharisticus)으로 변화된다. 이게 성변화(transubstantiation)의 진정한 의미겠지요.

스리랑카의 예수회 신부인 티사 발라수리야(Tissa Balasuriya) 역시 성찬례가 갖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 G. Lohfink)의 전망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연결하여 천명한 바 있다. 성공회의 성사적 사회주의 전통과도 맥을 같이한다.

현존하는 세상의 질서 혹은 무질서는 성찬례의 가치와 분명히 대조적이다. 성찬례가 사랑과 나눔의 성사라면, 세상은 탐욕적인 착취의 체제이다. 성찬례가 공동체를 건설한다면, 세상의 관계는 인격과 인간을 파괴한다. 성찬례가 보편 지향적이라면, 세상은 인종차별적이다. 성찬례의 힘은 평등 사회를 향하지만, 세상의 권력은 헤게모니를 잡고자 한다. 성찬례가 겸허한 섬김을 추동한다면, 세상의 국제 관계 속에서는 오만한 지배가 판을 친다. 성찬례의 빵이 모든 이들을 위한 공동의 식사라면, 세상의 빵은 거래를 위한 상품이다. 성찬례의 이상 안에서 땅은 공동 이용을 위한 것이지만, 현재의 국가 체제 안에서 땅은 성공한 정복자를 위한 것이다. 성찬례는 인격을 우선시하지만, 국제 관계 안에서는 권력과 이익이 지배한다.

Tissa Balasuriya, The Eucharist and Human Liberation. Orbis Books, 1979.

다시 ‘이런 세상에서 전례는 무엇이야 하는가?’ 전례가 다만 세계관이나 전망에 그치지 않으려면, 그것은 대조 사회를 위한 몸의 수련이고, 그런 삶의 방식에 대한 훈련이며, 전례적 질서(ordo)를 통해 새로운 질서(order)를 미리 맛보며, 그 대조 사회의 시-공간을 넓혀 나가는 것이어야겠다. 그런데 이를 막아서는 일들이 교회와 전례 안에서 마저 팽배하다면, 교회와 전례는 또 다른 세상 권력의 표현일 뿐이다.

나쁜 전례는 나쁜 신학을 만들고 / 나쁜 신학은 나쁜 전례를 만들고,
나쁜 전례와 신학은 교회와 세상을 망친다.

전례 쇄신은 이래서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