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불꽃 논쟁 – 승천일과 성령강림일 사이

Saturday, May 13th, 2017

Ascesion_Pentecost.jpg

불꽃 논쟁 – 승천일과 성령강림일 사이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예수께서 두 손을 들어 제자들을 축복하시고,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라가셨다” (루가 24:50-51, 사도 1:9). 예수의 승천 사건은 루가복음의 결말과 사도행전의 시작을 연결한다. 그러니 예수의 승천 사건만 똑 떼어 풀이할라치면 그 깊은 뜻이 밋밋해진다. 부활 사십일 째 일어난 승천은 부활의 기쁨이 사십 일의 고난(사순절)을 넘어섰다는 뜻이다. 기쁨은 더 확장된다. 열흘을 더해 성령강림절(오순절)이 부활절의 완성이다.

초대교회는 부활절을 ‘위대한 오십일’로 읽으며 한 절기로 지켰다. 승천 축일을 따로 지키는 관습은 4세기 말과 5세기 초에야 정착했다. 승천에 관한 성서 기록이 명백한데도 교회 전통에서는 애초에 부활절기를 워낙 강조했기 때문이다. 승천을 부활절 전체 맥락에서 풀이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승천일은 부활 사십 일 셈법에 따라 늘 목요일이 된다. 그래서 ‘승천일’이라는 말보다는 ‘거룩한 목요일’이라는 이름이 더 널리 오래 쓰였다.

승천은 부활의 구원 사건에 담긴 새로운 역사의 운동을 보여준다. 인간을 구원하시러 땅에 내려오신 하느님께서 다시 하늘에 오르셔서 우주 전체를 다스리신다. 인간의 잘못으로 부서져 내려앉은 창조세계를 회복하여, 끌어올리고 확장하는 부활의 뜻을 보여준다. 이 사건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모든 인간을 포함한 창조세계 전체에 걸쳐 여전히 계속 일어난다. 그분은 다시 우리에게 새로운 선물로 내려오신다. 열흘 후 성령강림 사건이다. 하강과 상승의 예수 운동에 우리 삶을 맡기고 포개는 일이 승천 사건이 보여주는 부활 신앙이다.

서양에서는 그리스도교가 문화와 종교 생활의 핵심이었던 탓에 여러 주요 축일과 마찬가지로 승천일도 휴일이었다. 그러나 근세기에 선교지가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고 사회의 세속화도 빨라져서 축일을 휴일로 지내기 쉽지 않게 됐다. 천주교는 1960년대에 이르러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여 축일 당일을 고집하지 않고 다음에 오는 주일을 해당 축일로 지키는 지침을 제정했다. 성공회와 다른 전례적 교회는 획일적 지침을 정하지 않았으나, 이런 변화를 적절하게 받아들인다.

승천일은 부활밤에 밝힌 부활초를 끄는 날로도 유명했다. 예수께서 승천하셨으니 예수의 지상 생활을 청산하는 뜻에서 부활초를 끄고 보이지 않도록 치운다는 해석이다. 당일 축일 미사에서 복음을 읽은 직후에 부활초를 끄는 관습이 자리 잡았다. 단순하고 명백한 상징이어서 교육 효과가 상당히 컸다.

그러나 부활의 위대한 오십일 전통을 회복하면서, 이 관습에 변화가 생겼다. 부활초는 지상을 걷는 예수의 몸만이 아니라 부활 사건 전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승천을 예수께서 하느님 나라의 통치자로 등극하셨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예수께서는 떠나지 않고 여기에 우리와 함께 계신다. 그래서 성령강림절에 부활초를 끄고, 부활초를 세례대 옆으로 옮긴다. 세례와 장례 때에는 부활초를 밝혀서 사용한다.

오랫동안 보고 익힌 관습의 힘은 여전히 세다. 부활초 끄는 시점을 두고 논란이 적지 않다. 나름대로 이유와 전통이 있으니 서로 옳다 그르다 하면서 배척할 일은 아니다. 공동체가 그 여러 의미를 다시 생각하고 되새기는 일이 더 중요하다. 다만, 새롭지만 실은 더 오래된 신학을 되살려서 성령강림절에 끄면 좋겠다. 영성체 후나 파송 선언 직후에 부활초에서 저마다 작은 초를 밝혀서 성령의 선물을 받은 사건을 기억하고 축하한다. 퇴당 때, 부활초를 들고 세례대로 순행하여 불을 끈 뒤에, 순행을 뒤따른 신자들이 개인 촛불을 세례대 근처에 놓고 떠난다. 자신의 세례로 시작한 부활의 생명을 기억하고 확인하는 뜻이겠다.

[전례력 연재] 부활 50일과 전례 상징들

Saturday, April 29th, 2017

Toscana_Pisa.png

부활 50일과 전례 상징들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공회는 전례적 교회로서 교회력(전례력)을 성실하게 지킨다. 교회력은 하느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신 구원 사건을 우리 일상의 시간에 고스란히 겹치려는 장치이다. 몸과 마음, 시간과 생활의 리듬이 되도록 하라는 부탁이다. 전례의 여러 상징도 새로운 삶을 돕는다.

부활은 인간에게 새로운 시간의 탄생이다. 창조 이후의 역사를 한번 마감하고, 새로운 창조의 시간이 열렸다. 과거와 현재를 가르는 분기점, 역사를 해석하는 기준, 신앙 식별의 잣대는 예수의 부활 사건이다.

이 새로운 시간을 강조하려고 고대 신앙인들은 흥미로운 숫자 놀이를 했다. 창조의 시간인 ‘칠’(7)에 하나를 덧붙여 ‘팔’(8)이라는 숫자로 이 새 시간을 표현하려 했다 (7+1=8). 옛 창조의 시간보다 더 풍요로운 새 창조의 시간이라는 뜻이다. 부활일은 단지 안식일 다음 날이 아니다. 새로운 제8요일이다.

새로운 시간의 놀라운 기쁨과 감격의 표현이 예배이다. 그리스도교는 유대교의 안식일 예배를 대신하여, 새로운 시간의 제8요일인 ‘부활하신 주님의 날’(주일)에 성찬례를 드렸다. 그리스도인들을 이후 일어난 모진 박해 아래서도 목숨을 걸고 새 시간에 모였다. 부활일은 일 년 중 가장 큰 주일이며, 매 주일은 모두 작은 부활일이다.

이 시간은 이제 ‘위대한 50일’로 확장된다. 여기에도 같은 숫자 놀이가 있다. 옛 창조 시간의 안식일이 일곱 번 지나서 새로 얻은 시간이 ‘오십일’이다 (7*7+1=50). 구약성서의 희년 사상과도 겹친다. 부활절기와 성령강림일은 구별된 교회 절기가 아니라, 새로운 시간의 확대인 ‘부활 축제’로서 통째로 하나인 희년의 시간이다. 부활절기는 부활밤에서 시작하여 부활일과 부활 후 팔일부, 그리고 사십 일째 되는 승천일을 거쳐 50일째 되는 성령강림일을 아우른다. 4세기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이 절기 동안에 무릎을 꿇지 않도록 정했을 정도로 부활의 기쁨을 강조했다.

부활절기는 예수께서 죽음에서 살아나신 일을 과거의 사건으로 축하하는 일에 머물지 않는다. 부활은 오늘과 미래에도 살아계시고 하느님의 다스림을 확인하고 되새기며 찬양하고 기뻐하는 영원한 시간이다. 그러므로 부활주일 단 하루의 종교적 의례에 머물지 않는다. 우리가 모두 부활의 증인으로서 나날이 변화하고 성숙하며, 주님 부활의 기쁨과 능력을 세상에 전하는 ‘기쁨의 50일’이기 때문이다.

부활절기의 중심적인 상징 두 가지는 부활초와 세례대이다. 부활초는 부활밤 새로 축복한 불에서 붙여서 세상의 어둠을 이긴 하느님의 빛, 즉 부활의 생명이 만든 빛을 드러낸다. 부활밤 세례식에서 부활초로 물을 축복하고 그 물로 세례를 베푼다. 세례를 베푸는 곳은 성천(聖泉:거룩한 샘)이라 불리는 세례대이다.

교회 전통에서 세례대는 성당 동쪽의 제대와 마주 보는 서쪽의 입구 중앙에 부활초와 함께 있다. 신앙은 세례를 받고 제대로 나아가며 그리스도의 몸이 되는 순례의 여정이라는 뜻이다. 성당 입구에서 우리는 죄를 씻고 기름 부음을 받았던 세례의 경험과 언약을 되새기며 그 물로 십자 성호를 긋고 성당에 들어온다. 전통적인 성당 배치에서는 제대와 성천이 마주하며 복음의 성사인 성찬례와 세례를 되새겨 준다. 종종 세례대는 팔각형으로 만들었다. 예를 들어, 서울주교좌성당의 세례대는 영국에서 가져와 1892년부터 사용하던 정교한 대리석 팔각형 성천이다. 숫자 ‘팔’(8)이 다시 적용됐다.

신앙인은 부활밤의 새 빛으로 시작된 새로운 시간을 걷는다. 신앙인은 과거를 씻는 세례를 통과하여 새로운 ‘생각과 말과 행실로’ 새로운 시간을 사는 ‘제8요일의 사람들’이다.

[전례력 연재] 부활찬송과 거룩한 삼일

Saturday, April 15th, 2017

Easter-Vigil-candle.jpg

부활찬송과 거룩한 삼일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이제 기뻐하며 즐거워하라. 이 신비하고 거룩한 불꽃 앞에 둘러선 이들이여,
이제 전능하신 하느님께 기도하며, 그 은혜를 인하여 이 위대한 빛을 찬양하라”
(부활찬송 첫 부분).

부활밤 그리스도인들은 마당에 모여 새로운 불을 축복하여 어둠을 밝힌다. 새로운 불에서 빛을 밝혀 부활초에 옮겨 놓고는 세상의 어둠을 몰아내는 ‘그리스도의 빛’을 바라보며 길을 따른다. 이 순례자들의 손에도 작은 촛불이 들려있다. 빛의 순례자들이 모여서 듣는 부활찬송(Exsultet)에는 그리스도의 삶과 수난, 죽음과 부활 속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위대한 구원 행동이 펼쳐진다. 8세기부터 ‘부활찬송’은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부활과 구원의 신학을 보듬어 들려주었다.

하느님께서는 태초에 이 세상을 ‘보시기에 참 좋은 것’으로 창조하셨으나, 인간의 교만과 욕심으로 아름다운 낙원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경쟁과 시기, 질투와 모함이 하느님과 인간 사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파고들면 ‘아름다운 관계’는 깨지게 마련이다. 서로 멀어지고 깨진 관계를 신앙인은 ‘타락’과 ‘죄’라 부른다. 창조의 때를 회복하시려고 하느님께서 인간으로 내려오셔서 우리를 높이 들어 올리시겠다고 작정하셨다. 우리에게 선물로 오신 예수님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하느님과 인간의 화해를 마련하고, 우리의 교만과 미움을 쫓아내셨다.

이 부활밤이 거룩하고 복된 까닭은 이 위대한 사건이 예수를 건너 우리 자신과 교회를 통해 더욱 펼쳐지기 때문이다. 신앙인은 예수의 삶을 따라 악행을 지워나가고, 서로 용서한다. 우는 이에게 기쁨을 주고, 분열의 세상에 평화와 일치를 가져다준다. 신앙인은 이렇게 빛의 순례자들이다. 부활밤은 그리스도의 빛으로 모인 사람들이 세상의 빛으로 변화하는 축성의 시간이다.

“복되어라, 이 밤이여. 하늘과 땅이 결합하고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하는 밤이로다.”

부활-성삼일의 전례 안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의 삶을 나누고, 수난과 죽음을 목격하며, 부활을 경험한다. 이 거룩한 사흘 동안 일어난 우주의 결합과 화해를 기뻐하고 감사하며 축하한다. 그리스도께서 걸으셨던 마지막 삼일은 이 모든 화해와 구원의 필수요소를 제시한다.

성목요일은 세족례와 마지막 나눔의 만찬으로 섬김과 사랑의 실천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성금요일의 십자가 사건은 인간의 절망이 서로 내어주는 희생으로만 희망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목격하게 한다. 성토요일은 어둠 깊은 곳을 찾아다니며 새 생명을 건져 올리는 하느님의 자비를 보여준다. 마침내 부활밤에 우리는 죽음이 우리 삶의 끝이 아니며, 새 빛 속에서 펼쳐지는 삶이 우리의 부활이고 영원한 생명이라는 사실을 체험한다.

새로운 생명이 열렸으니 부활을 사는 그리스도인은 새로운 시간을 산다. 안식일 다음 날인 ‘일요일’은 이제 ‘주님의 날’(주일)이 되었으며, 새로운 시간인 ‘제8요일’의 역사이다. 새로운 시간에 우리는 새로운 양식인 ‘그리스도의 몸’을 먹고 마시며 산다. 우리가 먹는 것이 우리 자신이 된다. 그리스도를 먹으면 우리는 그리스도이다. 아울러, 부활 오십일 째인 성령강림절은 부활의 완성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삶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강력하게 보여준다. 우리는 ‘교회’라는 신비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고 먹고 마시며 그리스도의 몸으로 영원히 산다. 


“모든 창조물에게 빛을 주시는 분이여, 주님은 이제와 영원히 다스리시니, 우리도 세상에 이 빛을 비추게 하소서. 아멘.”

exsultet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