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Sunday, November 20th, 2016

Christ_Rievaulx.jpg

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루가 23:33-40)

잉글랜드 북부 노스워크셔 지역에는 폐허가 된 리보 수도원 성당(Rievaulx Abbey)이 있습니다. 1538년, 당시 왕이었던 헨리 8세가 수도원을 철폐하면서 방치되고 결국 폐허가 되었습니다. 폐허에서 나온 ‘전능한 지배자 그리스도’ 상(그림)은 오늘 읽은 복음서의 예수님 십자가 처형 장면과 묘하게 겹쳐, 보는 이의 마음을 애잔하게 합니다.

교회력의 막바지를 ‘그리스도 왕’ 주일로 지킵니다. 그리스도의 삶과 가치가 이 세상과 우리 삶을 이끌고 다스리는 원칙이어야 한다는 희망입니다. 그러나 ‘왕의 통치’라는 말에서 떠올리는 승리감과는 달리, 우리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무기력하게 처형당하는 장면을 읽습니다. 무참하게 짓밟힌 이들이 서로 위로하려고 내놓는 무력한 ‘낙원’의 기대만 엿보일 뿐입니다.

시대가 흘러, 그리스도는 중세 시대에 권력과 부를 자랑하던 ‘지배자’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지배하려는 힘은 경쟁하여 서로 공격하고 파괴합니다. 이 싸움에서 한때 지배자였던 상징은 다시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이 파괴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남아 있습니다.

성서와 역사는 그리스도가 무참한 실패와 상처 안에 있다고 되새겨줍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고통과 고뇌가 없는 세상을 약속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깊은 신앙인이라 하더라도 우리 생명이 맞이할 병고와 죽음을 피하지 못합니다. 삶에서 겪는 아픔과 슬픔, 불행을 완전히 피해갈 수 없습니다.

신앙은 모든 것이 무너지는 상태와 부서지는 상황에서도 상처 입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동행하신다는 확신입니다. 신앙은 그 확신을 나누는 여럿이 서로 기대어, 세상 여러 곳에서 스러진 이들의 손을 맞잡고 일어서는 행동입니다. 하느님의 다스림은 이렇게 세상에 펼쳐집니다.

우리의 희망은 죽음과 패배의 십자가에서 피어오릅니다. 이것이 십자가와 부활에 담긴 역설의 신비입니다. 교회는 이 신비를 붙잡고 살아가는 이들의 공동체입니다. 우리 역사와 사회에서 경험하듯이, 세상을 권력과 돈으로 지배하고, 협잡과 인맥으로 속이는 이들은 마침내 종말을 맞이합니다. 그러니 종말은 무차별한 파국이 아니라, 휘두르는 지배 권력의 끝이고, 연약한 이들이 함께 이루는 낙원의 시작입니다.

신앙인은 세상의 욕심과 질시가 망가뜨린 그리스도의 머리를 우리 삶의 가치로 되찾아내는 사람입니다. 고난과 상처, 희생과 위로로 함께하시는 그리스도를 자기 삶과 사회의 그늘에서 발견하는 사람입니다. 그 안에 깃든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가치를 지탱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이때 자신뿐만 아니라, 교회와 사회, 나라와 세계가 바로 섭니다. 여기서 십자가 위에서 무참하게 부서진 그리스도의 몸이 온전하게 우리 삶을 다스립니다.

신앙의 출사표 – 해방의 은총이 지금 여기에

Sunday, January 24th, 2016

JesusIconNazareth.jpg

신앙의 출사표 – 해방의 은총이 지금 여기에 (루가 4:14~21)1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예수님께서 세례받으실 때에 하늘에서 들려온 음성은 예수님과 하느님이 나누는 친밀한 관계를 천명합니다. 하늘은 무서운 심판을 내리는 곳이 아니라, 사랑으로 서로 마음에 품는 넉넉한 관계를 상징합니다.

예수님의 세례를 나누는 우리도 죄와 심판의 두려움에 떠는 여느 ‘종교인’에서 이제 하느님과 사랑과 마음을 나누는 ‘자유로운 신앙인’으로 변화합니다. 이 새롭고 친밀한 관계가 예수님께서 펼치시는 선교의 핵심입니다. 이 관계의 선교는 하느님과 예수님의 관계, 하느님과 신앙인의 관계를 통과하여, 이제 세상 모든 사람의 삶에서 펼쳐져야 합니다.

작은 곳에서 더 넓은 곳으로, 한 개인에서 공동체와 사회로 펼쳐지는 신앙인의 삶이 명백합니다. 세상이 보기에 작고 보잘것없는 곳에서 새로운 일이 일어납니다. 천한 갈릴래아에서 세례의 사건이 일어나고, 작은 나자렛에서 예수님의 출사표가 들려옵니다. 갈릴래아와 나자렛은 또한 하느님의 구원과 예수님의 복음이 사회 정치의 환경과 밀접히 관련돼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마찬가지로, 구원과 복음은 지금까지 눈여겨보지 않았던 사람들을 향합니다. 가난한 사람, 묶인 사람, 눈먼 사람, 억눌린 사람을 부릅니다. 이처럼 그리스도교 신앙의 은총은 사회와 정치의 해방 사건으로 이어집니다. 이점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은 개인의 안녕과 기복에만 갇힌 원시 종교를 초월하여 사회와 공동체 전체와 관계합니다. 예수님께서 호명하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한, 우리 신앙도 이 상황에 책임이 있다는 말입니다.

아울러, 신앙인은 복음에 따라 자신을 성찰합니다. 사회 정치의 현실에 예수님께서 던지시는 말씀을 우리 자신의 내면에도 깊이 적용합니다. 우리는 마음이 인색한 사람이 되지는 않았는가? 우리는 세상이 말하는 성공과 부의 가치에 묶여있지 않은가? 우리는 사회의 불의에 눈 감고, 이웃의 아픔에 귀를 막고 살지는 않는가? 우리는 세상의 권세에 억눌려 체념하며 살지는 않는가? 이 상황을 정직하게 대면하고, 여기서 벗어나려는 용기가 신앙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러한 우리 삶의 처지에 동행하시며 해방의 은총을 베푸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예수님은 성령을 받은 분, 그리스도(메시아)이십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의 세례를 나눈 우리 신앙인 역시 성령을 받은 그리스도인이며, 세상에 해방의 은총을 선포하고 실천할 책임이 있는 사람입니다. 지금 이곳, 세상의 작은 곳에서, 작은 사람들과 더불어 이 세상에 구원을 알리며 몸으로 살겠다는 신앙의 출사표를 던지는 사람입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1월 24일 얀중 3주일 주보 []

치유 – 열림과 살림의 영성

Sunday, September 6th, 2015

치유 – 열림과 살림의 영성 (마르 7:24~37)1

예수님은 가끔 기이한 언행으로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우리 멋대로 예수님을 기대하는 고정관념을 깨뜨립니다. 다른 사람을 옥죄고 억압하는 위선자를 향해서 뿜어내신 분노와 독설은 우리로서도 통쾌할 지경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 이야기에서 보여주신 예수님의 행동은 더욱 세심하고 근본적인 도전을 담고 있습니다. 종교와 지역, 성차별이 우리 무의식에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밝히시고, 이를 발본색원하는 길을 예수님 몸소 보여주십니다.

마귀 들린 딸을 고쳐달라는 여인 이야기에는 대결과 차별 구도가 명백합니다. 예수님은 ‘유대인 남자’이고 그 여인은 ‘이방인 여자’입니다. 지역 차이와 성 차이가 함께 만나면 차별이 곱절로 고약해집니다. 예수님은 ‘유대인 남자’의 편견을 그대로 시연하시며, ‘이방인 여자’를 강아지에 비유하여 모욕합니다. 이때 여인은 그 모욕을 받아들이면서도 ‘용기를 내어 두려워하지 않고’(이사 35:4) 예수님께 항의합니다. 모든 생명은 그 처지와 신분이 어떻든 여전히 하느님의 은총 안에 있다는 선언입니다. 예수님은 기다렸다는 듯이 여인의 ‘옳은 항의’를 받아들이시고 당신의 고정관념을 바꾸십니다. 예수님도 그리하셨는데 우리가 거절할 도리가 없습니다. 이때 마귀가 떠나갑니다.

청각장애로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의 행동이 특별합니다. 예수님은 “손가락을 그의 귓속에 넣으셨다가 침을 발라 그의 혀에 대시고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쉰 다음 ‘에파타’하고 말씀하셨습니다”(33~34절). 예수님 당시 장애인이 살던 환경과 처지는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나빴습니다. 예수님은 위생과 정결의 율법을 넘어서서 징그러울 만큼 친밀하게 자신을 장애인과 맞대십니다. 예수님의 ‘한숨’은 마음 아픈 현실을 향한 한숨이며, 생명을 주는 하늘의 숨결입니다. 그 숨과 함께 ‘귀먹은 반벙어리’의 귀와 입이 열렸습니다. 그를 통해 예수님의 소문은 세상에 더 퍼져나갔습니다. 우리의 선교가 그렇습니다.

‘에파타’ 하며 열리는 경험이 예수님의 치유이며, 우리의 신앙입니다. 신앙은 귀를 열어서 하느님께 귀 기울이고 바른 정보와 지식으로 고정관념을 고쳐 세상의 고통과 이웃의 아픔을 경청합니다. 입을 열어서 하느님을 찬양하고, 곁에 있는 사람에게 ‘사랑한다’고 말합니다. 눈을 열어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연민의 새로운 눈으로 더욱 깊이 응시합니다. 닫힌 신앙을 깨고 귀와 입과 눈이 열릴 때, 우리는 치유되어 서로 열고 살리며 살아갑니다. 이렇게 예수 신앙은 무의식에 깃든 고정관념과 차별이 만든 악령의 질서를 넘어섭니다. 이렇게 예수 영성은 삶의 질곡에 갇힌 사람을 열어주고 살리며 함께 품으며 넉넉하게 살아갑니다.

the-Canaanite-woman-dog.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9월 6일 연중23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