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 깨어 견디는 교회의 신앙

Saturday, November 26th, 2016

Advent_Christ.jpg

대림 – 깨어 견디는 교회의 신앙 (마태 24:36-44)

시절이 혼란할수록 모든 문제를 단번에 풀어줄 해결사를 기대하기 쉽습니다. 전능한 해결사를 바라는 마음은 삶의 당혹감과 절망감 때문에 나옵니다. 이때 절박한 마음을 파고들어 ‘종말 사상’을 뒤집어쓴 사이비 종교들이 사람들을 유혹하곤 합니다. 그 역사가 길고 자주 되풀이 됩니다. 예수님 때도 그랬고, 오늘 복음을 기록한 마태오 때도 그랬습니다. 이를 두고 예수님은 단호히 말씀하십니다. “그때는 오직 아버지만이 아신다.” 현실의 어려움에서 나온 나약한 기대는 현실 도피일 뿐,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대신, 예수님과 교회 전통은 대림절 신앙 안에서 주님의 재림과 세상의 종말을 전혀 다른 관점에서 풀어갑니다.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의 삶 속에서 일하셨습니다. 연약한 아기로 탄생하신 예수님은 인간의 삶 속에서 우리가 하느님 나라를 경험하도록 초대하셨습니다. 세상 권력이 욕망하는 성취와는 달리, 십자가의 고난과 죽음이라는 실패 안에서 부활을 이루시어 구원을 선포하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느님’ 임마누엘 예수님의 첫 번째 오심입니다. 새로운 세상은 예수님과 함께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예수님의 부활과 성령의 강림으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탄생했습니다. 교회 전통이 교회력을 마련한 까닭은, 주님의 탄생부터 죽음과 부활에 이르는 삶을 교회가 그대로 겹쳐서 살아달라는 부탁입니다. 하느님께서 예수님 안에 오셔서 시작하신 새로운 세상은 이제 교회가 겪는 탄생과 고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로 더 널리 펼쳐져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삶이 교회의 삶과 신앙의 삶에 겹쳐지는 신비를 대림절 안에서 시작합니다. 이것이 재림입니다.

복음서를 쓴 마태오는 지금처럼 희망과 신앙이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습니다. 외부에서는 역겨운 권력의 타락이 끝을 모르고, 내부에서는 불신과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어떤 이들은 신앙의 희망을 잃고 현실에 안주하며 소비주의에 몸을 맡겼습니다. 다른 어떤 이들은 하늘만 바라보며 땅의 현실을 외면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미 오셨으니, 주님은 교회 안에서 머리가 되어 그 손발이 세상에 펼쳐져야 합니다. 교회가 이 일을 다 하지 않는 한, 예수님의 재림은 계속 연기되고 멀어질 뿐입니다.

재림의 신앙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삶의 순간마다 복음의 가치를 선택하는 일입니다. 우리 삶의 작은 선택과 결정이 모든 삶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 겪는 정치와 경제, 교육과 복지는 우리가 순간마다 선택했던 일이 쌓여서 만든 결과입니다. 깨어있는 신앙은 우리 안에 오신 예수님의 복음을 되새기는 삶입니다. 오래 견디는 신앙은 복음의 가치가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갈등과 고난을 함께 견디는 삶입니다.

깨어 견디는 교회를 향하여 이사야와 시편 기자가 우리의 대림절 신앙을 격려합니다. ‘자, 올라가라. 하느님의 산으로. 생명을 빼앗는 무기를 꺾어 생명을 먹여 살리는 도구로 만들라. 하느님의 평화, 샬롬의 세계를 만들라.”

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Sunday, November 20th, 2016

Christ_Rievaulx.jpg

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루가 23:33-40)

잉글랜드 북부 노스워크셔 지역에는 폐허가 된 리보 수도원 성당(Rievaulx Abbey)이 있습니다. 1538년, 당시 왕이었던 헨리 8세가 수도원을 철폐하면서 방치되고 결국 폐허가 되었습니다. 폐허에서 나온 ‘전능한 지배자 그리스도’ 상(그림)은 오늘 읽은 복음서의 예수님 십자가 처형 장면과 묘하게 겹쳐, 보는 이의 마음을 애잔하게 합니다.

교회력의 막바지를 ‘그리스도 왕’ 주일로 지킵니다. 그리스도의 삶과 가치가 이 세상과 우리 삶을 이끌고 다스리는 원칙이어야 한다는 희망입니다. 그러나 ‘왕의 통치’라는 말에서 떠올리는 승리감과는 달리, 우리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무기력하게 처형당하는 장면을 읽습니다. 무참하게 짓밟힌 이들이 서로 위로하려고 내놓는 무력한 ‘낙원’의 기대만 엿보일 뿐입니다.

시대가 흘러, 그리스도는 중세 시대에 권력과 부를 자랑하던 ‘지배자’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지배하려는 힘은 경쟁하여 서로 공격하고 파괴합니다. 이 싸움에서 한때 지배자였던 상징은 다시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이 파괴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남아 있습니다.

성서와 역사는 그리스도가 무참한 실패와 상처 안에 있다고 되새겨줍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고통과 고뇌가 없는 세상을 약속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깊은 신앙인이라 하더라도 우리 생명이 맞이할 병고와 죽음을 피하지 못합니다. 삶에서 겪는 아픔과 슬픔, 불행을 완전히 피해갈 수 없습니다.

신앙은 모든 것이 무너지는 상태와 부서지는 상황에서도 상처 입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동행하신다는 확신입니다. 신앙은 그 확신을 나누는 여럿이 서로 기대어, 세상 여러 곳에서 스러진 이들의 손을 맞잡고 일어서는 행동입니다. 하느님의 다스림은 이렇게 세상에 펼쳐집니다.

우리의 희망은 죽음과 패배의 십자가에서 피어오릅니다. 이것이 십자가와 부활에 담긴 역설의 신비입니다. 교회는 이 신비를 붙잡고 살아가는 이들의 공동체입니다. 우리 역사와 사회에서 경험하듯이, 세상을 권력과 돈으로 지배하고, 협잡과 인맥으로 속이는 이들은 마침내 종말을 맞이합니다. 그러니 종말은 무차별한 파국이 아니라, 휘두르는 지배 권력의 끝이고, 연약한 이들이 함께 이루는 낙원의 시작입니다.

신앙인은 세상의 욕심과 질시가 망가뜨린 그리스도의 머리를 우리 삶의 가치로 되찾아내는 사람입니다. 고난과 상처, 희생과 위로로 함께하시는 그리스도를 자기 삶과 사회의 그늘에서 발견하는 사람입니다. 그 안에 깃든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가치를 지탱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이때 자신뿐만 아니라, 교회와 사회, 나라와 세계가 바로 섭니다. 여기서 십자가 위에서 무참하게 부서진 그리스도의 몸이 온전하게 우리 삶을 다스립니다.

신앙인 – 하느님 앞에 평등한 죄인

Saturday, October 22nd, 2016

expansion_Bradley.png

신앙인 – 하느님 앞에 평등한 죄인 (루가 18:9-14)

그리스도교에서는 인간을 ‘죄인’이라고 부릅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이나 다른 종교인들에게는 퍽 당황스러운 표현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그리스도교 신앙의 독특함과 은총이 있습니다. 먼저, 우리 스스로 ‘죄인’이라 여기는 까닭은 우리가 부족하여 실패할 가능성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완벽하지 않기에 몸과 마음을 열어 늘 새롭게 배우며 쇄신하는 행동에 하느님의 은총이 깃듭니다. 또한, 우리는 모두 ‘죄인’이라는 점에서 세상이 만든 우열과 성패의 기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됩니다. 우리는 하느님 앞에서 ‘죄인’으로서 평등합니다. 여기서 사람을 보는 새로운 은총의 눈이 열립니다.

예수님은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간 바리사이파 사람과 세리의 태도를 비교합니다. 율법을 잘 지키며 살았다는 바리사이파 사람의 고백에서 잘못된 점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욕심부리지 않고 정직하게 살았고, 신의를 지키고 살았으니 칭찬받아야 합니다. 신앙생활도 성실합니다. 한편, 세리는 당시 상황에서 보면 남의 돈을 억지로 빼앗는 사람이었으니, 떳떳한 사람이 못됩니다. 그러니 두 사람의 기도는 저마다 마땅한 기도로 들립니다. 그런데 왜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파 사람이 아니라 세리를 ‘올바른 사람으로 인정’하셨을까요?

우리는 ‘죄인’이기에 완벽하지 않고, 스스로 만족하여 누구를 판단할 처지도 아닙니다. 하느님만이 판단하십니다. 그런데 바리사이파 사람은 자신의 성취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을 판단합니다. 성취의 기준을 내세우면 우리는 자신의 능력으로 스스로 이룬 줄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성전 ‘안’은 자신의 업적을 뽐내듯 보고하는 자리가 되고 맙니다. 그러다가 무의식으로 자신을 구별하여 남을 쉽게 판단할 때, 하느님의 자리를 넘보는 유혹으로 미끄러집니다. 스스로 완벽한 사람에게는 은총이 스며들 틈이 없습니다.

세리는 성전 ‘밖’에서 서성입니다. 돌아보니 이룬 것도 없고, 잘한 일도 없습니다. 자신의 불완전함을 되새겨 의식한 세리는 감히 하느님 앞에 설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하느님께서 성전 ‘밖’으로 걸어 나오셔서 세리를 만나십니다. 하느님께는 안과 밖의 구분이 없으니까요. 오히려 죄가 있는 곳에 하느님의 은총이 필요하니까요. ‘죄인’은 다른 이들과 관계가 깨져서 상처 입은 사람입니다. 이를 인정하고 하느님께 내보일 때, 하느님은 상처를 어루만지십니다. 그 깨진 상처의 틈새로 회복과 치유의 은총이 깊이 스며듭니다.

예수님은 스스로 높다고 여기는 바리사이파를 낮추시고, 스스로 낮다고 여기는 세리를 높이십니다. 높낮이를 조율하여, 두 사람 다 같은 위치에서 평등한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우치십니다. 이 평등한 처지에서만 다른 사람이 신앙의 동료, 영혼의 친구로 보입니다. 이렇게 평등한 죄인인 우리는 상처 입은 그대로 교회로 모여 함께 하느님 앞에 섭니다. 이것이 치유를 바라는 우리의 기도이며 예배입니다. 여기서 회복의 은총이 스민 복된 삶이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