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의 공동체 – 평등한 세례로 나누는 슬픔의 잔

Sunday, October 18th, 2015

영광의 공동체 – 평등한 세례로 나누는 슬픔의 잔 (마르 10:35~45)1

“소원이 있습니다. 꼭 들어주십시오”(마르 10:35). 신앙인 뿐만 아니라 세상 사람 누구나 드리는 부탁이며 기도입니다. 저마다 어려운 처지에서 바치는 절박한 간구는 듣는 이의 마음을 뭉클하게 합니다. 도울 방법을 함께 찾는 일이 사람 마음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서 이야기는 같은 부탁이라도 사정이 다릅니다. 제자 형제 둘이 예수님께 ‘영광스러운’ 자리를 청탁하는 장면을 읽자니 입이 씁니다. 예수님께서 곧 수난을 당하시라는 비장한 말씀을 꺼낸 직후에 나온 행동이라, 사람의 뻔뻔함이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십가가의 길을 들어서신 예수님의 고뇌는 정작 제자를 자처하는 이들의 이익과 입장에 가려져 버립니다.

청탁하는 제자 형제들의 혈연관계는 우리 사회 곳곳에 드러나는 지연, 학연, 인맥과 같은 ‘이익의 끈’ 문제입니다. 본래는 가까운 신뢰와 배려에서 나왔을지라도 종내에는 다른 사람을 배척하는 태도와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이 추구하는 영광의 경쟁은 어떤 결과를 낳을까요? 의도하지 않더라도, 이익의 끈에 들지 않은 사람은 쉽사리 배척합니다. 자기 울타리 밖에 있는 사람을 향한 관심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배제당한 사람의 질투와 ‘화’를 돋굽니다. 불필요한 시기와 경쟁이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꼬리를 무는 원인입니다.

반면, 예수님의 기도는 “큰소리와 눈물”의 청원이었습니다(히브 5:7). 삶의 고난과 슬픔을 있는 그대로 나누는 기도였습니다. 이익과 신분상승의 욕망에 사로잡힌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고난의 세례를 받아서 쓰디쓴 잔을 나누겠느냐?’”고 물으십니다. 그리스도교 신앙과 성사 생활의 핵심인 세례와 성찬례의 뜻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세례는 인간사의 고통과 슬픔에서 도피하지 않고, 그 가장 깊은 밑에까지 들어가서 자기애(自己愛)가 익사(溺死)하는 경험입니다. 삶의 물밑에 닿는 절망을 통해서 우리는 평등해지고, 바닥을 치고 올라오는 세례 안에서 우리는 새로운 형제자매의 관계로 태어납니다. 교회는 이처럼 평등하게 세례받은 이들이 이루는 신앙공동체입니다. 성찬례는 세례로 맺은 형제자매가 함께 밥상에 둘러 모여 삶의 기쁨과 슬픔의 눈물을 ‘한 잔’에 담아 나누며 성장하는 일입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영광이요, 하느님 백성이 누릴 영광입니다.

신앙인은 고난과 절망의 세례를 통과하여 기쁨과 슬픔의 잔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나눕니다. 신앙인은 이제 새로운 삶을 다짐합니다. 그것은 이사야 예언자가 선포하는 ‘고난받은 종’의 삶입니다. 다른 사람, 낯선 사람을 위하여 어려움을 “대신” 지는 일을 예수님께만 맡길 수 없습니다. 우리 신앙인은 서로 함께 삶의 짐을 ‘대신’ 짊어져서, ‘굴욕 당하며 외로움에 방치되고, 인간사회에서 끊기고 매장당하여 잊혀진 이들을 일으킵니다’(이사야). 그때 우리를 일으켜 세우시는 하느님의 영광을 또다시 경험합니다. 그때 우리가 겪던 “극심한 고통이 말끔히 가시고 떠오르는 영광의 빛을 보게 될 것입니다”(이사 53:11).

Nolde-last-supper-1909.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0월 18일 연중29주일 주보 []

나는 생명의 빵이다, 그러면 너는 누구인가?

Sunday, August 2nd, 2015

나는 생명의 빵이다, 그러면 너는 누구인가? (요한 6:24~35)1

사람이 종교를 찾는 이유를 물으면 각양각색이지만, 자신이 현실에서 겪는 문제와 의문에 대답을 주십사 하는 소망이 많습니다. 현세에서 자신의 안녕과 성공, 가족의 건강과 축복은 당연한 일이고, 내세에도 안녕과 축복이 계속되기를 갈망합니다. 그런데 이 갈망의 해결 방식을 되새겨 보면, 인간은 요청하고 하느님은 베풀어 주신다는 공식입니다. 구약시대 모세 때도 같았습니다. 괴롭다고 소리치니 파라오의 압제에서 건져 주었고, 배고프다가 아우성치니 하늘에서 만나를 내려주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불평과 더 큰 것을 바라는 욕심이었습니다. 그렇게 바라서 하늘에서 내려온 ‘만나’가 하루 지나 썩듯이, 인간의 욕심은 마침내 황금소를 만들어 우상을 섬기는 일로 부패하고 말았습니다.

예수님의 해결책은 다릅니다. 자기가 소망하는 대로만 받은 것은 “썩어 없어질” 것이지만, 실제로는 먹을 수도 없고 마실 수도 없는 예수님을 “생명의 빵과 물”로 받아들이면 ‘영원히 계속되는’ 새로운 일이 펼쳐집니다. 불가능하다고 세상이 내치거나 버린 일을 다시 되새겨서 받아들이고, 그 일에 온 마음을 두고 온 몸을 던질 때 하느님 나라가 열린다는 장담입니다. 모세 앞에서 불타면서도 사그라지지 않은 떨기나무 사건이 그렇습니다. 말이 안 되는 사건 속에서 하느님께서는 “나는 나다”라 하시며 당신의 이름을 알려주셨습니다. 세상이 불가능하다는 것 속에서 하느님의 가능성이 펼쳐진다는 뜻입니다.

“나는 나다”하셨던 하느님의 어투를 예수님께서 그대로 쓰십니다.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는 문이요, 착한 목자이며 포도나무이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부활과 생명이다.” 어느 말씀 하나도 현실의 세상에서 통용될 말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하느님이신 예수님께서 우리 인간을 향한 의지와 실천의 선언입니다. 예수님이 보여주셨던 삶 전체는 욕심과 경쟁의 어둠에 잠긴 세상에 빛을 주고 새로운 길을 냅니다. 서로 마음의 벽을 쌓은 세상에 문을 트고, 버려진 사람을 찾아내어 보살피며 달고 단 포도를 한 움큼 입에 넣어주시며 기운을 일으킵니다.

오늘 “나는 생명의 빵이다”하신 말씀은 이제 우리에게 “너는 무엇이냐? 너는 누구이냐”는 물음으로 다가옵니다. 예수님의 삶 전체로 세상을 비추고 보살피고 먹이셨다면, 우리 신앙은 어떻게 세상을 살아야 하느냐는 도전입니다. 믿음은 자기 자신의 소망에 머물지 않고, 더 큰 희망과 진실 ‘안에서’ 살아간다는 뜻입니다(believe in). 믿음은 예수님의 삶 ‘안’에 들어와 살라는 초대입니다. 이를 몸소 보여주시려고, 영성체를 통하여 예수님이신 성체와 보혈이 먼저 우리 ‘안’에 들어오십니다. 이제 우리 차례입니다. 바울로 사도의 권면대로, 예수님을 모신 우리가 그분의 삶 ‘안’에 들어가서 하느님께서 주시는 직분의 은총과 선물대로 세상 속에서 실천하며 살아갑니다. 세상을 향하여 우리는 누구입니까?

Bread_Life_Paper_Doll.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8월 2일 연중18주일 주보 []

오병이어 – 상식을 이기는 감사의 신앙

Sunday, July 26th, 2015

오병이어 – 상식을 이기는 감사의 신앙 (요한 6:1~21)1

성서의 기적 이야기는 늘 우리의 상식을 시험하는 듯합니다. 덮어놓고 믿자니 허무맹랑하고, 의심하자니 신앙의 덕이 모자란듯하여 입 밖에 내기 부담스럽습니다. 보리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 천 명을 먹이신 기적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 ‘오병이어’ 사건은 복음서 네 권에 모두 나오는 유일한 기적일 만큼 예수님의 삶과 선교의 핵심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다섯 주간 동안 요한이 전하는 ‘생명의 빵’ 이야기를 이해하는 열쇠이니 허투루 볼 수 없습니다. 여러분을 오늘 이야기의 장면으로 초대합니다.

– 무대는 산에 펼쳐집니다. 요한복음서는 늘 구약성서 이야기를 머리에 담습니다. 모세가 산에 올라 하느님을 만나고 계명을 받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백성을 억압과 노예의 사슬에서 끌어낸 해방자 모세를 닮았습니다. 예수님은 모여든 우리의 궁핍과 어려움을 보고 지나치지 않는 분입니다.

제자들 – 예수님은 배고픈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라고 제자들에게 지시합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손익계산서를 예수님께 내밀며 실행이 곤란하다고 머리를 젓습니다. 현실을 나 몰라라 한 무리한 요구라는 불평입니다. 빠듯한 살림에 다른 사람을 보살피거나 선교에 힘쓸 겨를이 없다는 우리의 걱정이 겹쳐지는 장면입니다.

소년의 도시락 – 어떤 사정인지는 모르지만, 예수님 앞에 소년의 오병이어 도시락이 올라왔습니다. 이름 있는 제자들과 이름 없는 소년이 비교됩니다. 큰 어른의 손익계산과 작은 소년의 봉헌이 대비됩니다. 마련해야 할 엄청난 음식과 작은 도시락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손익계산서가 아니라 무명의 소년이 지닌 작은 도시락의 정성에서 일을 펼치십니다. 신앙인은 크기와 관계없이 어떤 헌신과 봉헌에서도 새로운 일이 펼쳐진다고 믿습니다.

감사기도 – 예수님은 감사기도(유카리스티아-성찬례)를 올립니다. 다른 복음서에 나오는 ‘축복’이라는 표현과는 사뭇 다릅니다. 작은 것에 감사하는 행동으로 축복이 널리 펼쳐지기 시작합니다. 오천 명이 배불리 먹고 나서야 제자들이 움직입니다. 남은 열두 광주리 분량의 음식은 제자들이 이전에 흔들었던 손익계산서 한 장과 좋은 비교를 이룹니다. 모세의 만나는 썩었지만, 예수님의 음식은 모아도 썩지 않고 다른 사람들까지도 더 먹이는 데 쓰입니다. 삶에 감사하는 모든 행동이 풍성한 변화를 낳고 썩지 않으며 널리 펼쳐집니다. 이것이 선교입니다.

물 위의 예수님 – 은총과 축복을 받았다 해도 우리 삶은 여전히 세상의 풍파와 사나운 파도 속에서 위태로운 시간을 겪습니다. 은총과 위기를 번갈아 겪으며 우리는 두려움에 휩싸입니다. 그때 주님께서 동행하시니 ‘두려워 말라’고 용기를 주십니다. 그러는 동안 ‘어느새’ 우리는 ‘목적지에 닿게 될 것’이니 말입니다.

five-loaves-two-fish-mosaic.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7월 26일 연중17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