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양식 – 우물가의 여인처럼

Sunday, March 19th, 2017

samaritan_woman_well.png

신앙의 양식 – 우물가의 여인처럼 (요한 4:5-42)

하느님은 생명의 물입니다. 어둠 깊은 물에서 하느님께서는 생명을 창조하십니다. 그 물은 죽음과 심판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죄는 홍수의 물로 심판받습니다. 다시, 홍해에서 갈라진 물은 하느님의 백성에게 자유와 해방의 길을 열어줍니다. 예수님은 변화의 물입니다. 세례의 물로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십니다. 차별과 분리의 벽을 넘는 만남으로 우리는 하느님과 더불어, 이웃과 함께 새로운 삶을 마련합니다. 신앙인은 예수님이 만난 우물가의 여인처럼 생명과 변화의 물을 선택합니다.

오늘 한낮에 벌어진 우물가의 만남은 지난주 어둠 속의 만남과 대조를 이룹니다. 니고데모는 어둠 속에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자신의 지위를 지키려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우물가의 여인은 대낮에 자신의 신분과 처지가 다 드러날 수밖에 없는 사람입니다. 니고데모는 예수님께 질문을 던집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권위 있는 선생입니다. 그러나 우물가에서는 예수님이 여인에게 물을 달라고 청합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지치고 연약한 나그네입니다. 니고데모는 예수님과 같은 유대인입니다. 그러나 여인은 이방인입니다. 니고데모는 권력과 도덕의 명분을 갖춘 사람이지만, 이 여인은 과거의 삶이 복잡합니다.

이 둘을 나누는 기준은 권력과 신분, 종교와 혈통입니다. 성차별이 심각한 사회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대비 점도 꼭 눈여겨봐야 합니다. 휘두르는 힘과 고통받는 연약함을 여러 맥락에서 조심스레 식별해야 합니다. 공통점이라면 둘 다 처음에 예수님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사실입니다. 무지의 상태 자체는 탓할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무지와 편견을 벗어나 배움과 깨달음으로 전진하느냐 마느냐는 신앙의 기준이 됩니다.

두 사람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펼쳐집니다. 니고데모는 어둠 속에서 여전히 알아듣지 못하지만, 여인은 깊은 대화와 배움 속에서 자기 생각을 바꿉니다. 자신의 외롭고 고통스러운 처지, 복잡하고 말할 수 없는 아픔을 낯선 사람과 나눌 때 새로운 일이 일어납니다. 예수님은 세상의 기준으로 세운 온갖 차별과 분열의 벽을 훌쩍 뛰어넘는 일로 여인에게 선물을 건넵니다. 과거가 불분명하고 낯선 이방인 여인을 복음의 증언자로 초대합니다.

예수님 말씀대로 신앙인이 먹을 양식은 따로 있습니다. 예수님의 삶은 새로운 음식의 조리법과 같습니다. 그 조리법에 따라 우리의 마음과 몸을 참된 기도와 예배의 그릇에 담습니다. 서로 다른 우리가 뒤섞여 세례의 물과 성령의 불로 끓을 때 새로운 음식이 마련됩니다. 교회는 이 음식을 올린 잔칫상에 낯선 사람들을 초대하는 공동체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이루고 그분의 일을 완성하는 행동이 우리 신앙인의 양식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우물가의 여인처럼 예수님과 생명의 물을 마시며 신앙의 양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이것이 우물가의 성찬례, 참되고 영적인 예배입니다.

친절한 ‘동임’씨

Saturday, February 11th, 2017

친절한 ‘동임’ 씨1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신부님, 새로 오셨으니 사진 찍으셔야죠. 앉으세요.” ‘찰칵.’ 메마른 초로의 여성 한 분이 불쑥 다가왔습니다. 가녀린 어깨를 짓누르던 검은 물체가 조막만 한 자기 얼굴을 가리는 찰나, 셔터스피드 1/500 초의 작은 울림이 공기에 살짝 퍼졌습니다. 여러분이 보는 제 ‘머그샷’은 3년 전 사제관 귀퉁이에서, 그 찰나의 시간과 빛이 남긴 흔적입니다. 콧잔등에 삐툴하게 내려앉은 안경을 바로 잡지 못하고, 손가락 빗질도 없이 고개를 슬핏 내밀다가 멋쩍은 웃음이 들킨 사진입니다. 그렇게 ‘동임’씨와 만났습니다.

‘동임’씨는 자주 조리개 f/16의 실눈으로 쨍하게 저를 째려보곤 했습니다. [복음닷컴] 원고 모집이 얽히거나 제게 맡긴 교정지가 속도를 내지 못할 때는 여지 없었습니다. 스톱워치를 든 육상선수 코치처럼 옥죄는 싸늘한 긴장감은 슬쩍 오해와 이해의 경계, 신자와 성직자의 거리를 위태롭게 만들곤 했습니다. 마지막 교정에 ‘오케이 사인’이 나면 환히 열린 눈빛의 조리개가 선명합니다. “애쓰셨어요, 신부님 없으면 이걸 어떻게 만들어욧?” 새침데기 아가씨 같은 미소와 목소리에 저와 다른 신부님들은 언제나 즐거운 패배를 인정해야 합니다. 그렇게 ‘동임’씨와 우정을 쌓습니다.

‘동임’씨의 노출계는 자신의 태생 같은 ‘일본산’ 정확도로 유명합니다. 우리 성당 새 교우들을 담은 얼굴에는 그들 삶의 비밀이 노출되는 것만 같습니다. 조잡하게 인쇄된 흑백사진 얼굴이 미안해서인지, 꼼꼼히 인화하여 챙겨 든 컬러사진을 예쁘게 보관하고 손수 찾아다니며 건넵니다. 새 교우들의 세례와 견진, 교회의 여러 행사를 찍은 사진을 보면 ‘언제 이렇게 많이 찍으셨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작은 몸으로 어떤 전례나 행사 안에서도 공기를 스윽스윽 가르며 빠른 셔터음 사이에 정작 자기 노출은 숨기니까요. 그렇게 ‘동임’씨와 우리 공동체는 하나가 됩니다.

이글의 주인공 곽동임 앵니스 교우는 지난 십수 년 동안 [복음닷컴]이라는 가늘고 위태로운 삼각대에 올려진 카메라와도 같았습니다. 우리 삶과 신앙의 흔들림을 기록하고, 함께 흔들리며 위로하고 손을 내미는 따뜻한 시선을 소중히 담았으니까요. 까칠하지만 ‘친절한 동임씨’를 우리가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우리 ‘동임’씨를 볼 때마다 저는 밤기도의 한 구절을 되뇝니다. “우리의 삶이 서로의 수고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항상 기억하며 살게 하소서.”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7년 2월 12일 치 1면 []

대림 – 깨어 견디는 교회의 신앙

Saturday, November 26th, 2016

Advent_Christ.jpg

대림 – 깨어 견디는 교회의 신앙 (마태 24:36-44)

시절이 혼란할수록 모든 문제를 단번에 풀어줄 해결사를 기대하기 쉽습니다. 전능한 해결사를 바라는 마음은 삶의 당혹감과 절망감 때문에 나옵니다. 이때 절박한 마음을 파고들어 ‘종말 사상’을 뒤집어쓴 사이비 종교들이 사람들을 유혹하곤 합니다. 그 역사가 길고 자주 되풀이 됩니다. 예수님 때도 그랬고, 오늘 복음을 기록한 마태오 때도 그랬습니다. 이를 두고 예수님은 단호히 말씀하십니다. “그때는 오직 아버지만이 아신다.” 현실의 어려움에서 나온 나약한 기대는 현실 도피일 뿐,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대신, 예수님과 교회 전통은 대림절 신앙 안에서 주님의 재림과 세상의 종말을 전혀 다른 관점에서 풀어갑니다.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의 삶 속에서 일하셨습니다. 연약한 아기로 탄생하신 예수님은 인간의 삶 속에서 우리가 하느님 나라를 경험하도록 초대하셨습니다. 세상 권력이 욕망하는 성취와는 달리, 십자가의 고난과 죽음이라는 실패 안에서 부활을 이루시어 구원을 선포하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느님’ 임마누엘 예수님의 첫 번째 오심입니다. 새로운 세상은 예수님과 함께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예수님의 부활과 성령의 강림으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탄생했습니다. 교회 전통이 교회력을 마련한 까닭은, 주님의 탄생부터 죽음과 부활에 이르는 삶을 교회가 그대로 겹쳐서 살아달라는 부탁입니다. 하느님께서 예수님 안에 오셔서 시작하신 새로운 세상은 이제 교회가 겪는 탄생과 고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로 더 널리 펼쳐져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삶이 교회의 삶과 신앙의 삶에 겹쳐지는 신비를 대림절 안에서 시작합니다. 이것이 재림입니다.

복음서를 쓴 마태오는 지금처럼 희망과 신앙이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습니다. 외부에서는 역겨운 권력의 타락이 끝을 모르고, 내부에서는 불신과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어떤 이들은 신앙의 희망을 잃고 현실에 안주하며 소비주의에 몸을 맡겼습니다. 다른 어떤 이들은 하늘만 바라보며 땅의 현실을 외면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미 오셨으니, 주님은 교회 안에서 머리가 되어 그 손발이 세상에 펼쳐져야 합니다. 교회가 이 일을 다 하지 않는 한, 예수님의 재림은 계속 연기되고 멀어질 뿐입니다.

재림의 신앙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삶의 순간마다 복음의 가치를 선택하는 일입니다. 우리 삶의 작은 선택과 결정이 모든 삶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 겪는 정치와 경제, 교육과 복지는 우리가 순간마다 선택했던 일이 쌓여서 만든 결과입니다. 깨어있는 신앙은 우리 안에 오신 예수님의 복음을 되새기는 삶입니다. 오래 견디는 신앙은 복음의 가치가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갈등과 고난을 함께 견디는 삶입니다.

깨어 견디는 교회를 향하여 이사야와 시편 기자가 우리의 대림절 신앙을 격려합니다. ‘자, 올라가라. 하느님의 산으로. 생명을 빼앗는 무기를 꺾어 생명을 먹여 살리는 도구로 만들라. 하느님의 평화, 샬롬의 세계를 만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