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린칭, 그리고 밥 말리 “구원의 노래”
Friday, September 12th, 2008첫 흑인 대통령?
오바마가 대통령이 될 수 있을까? 투표권도 없는 이방인인 내게 이게 중요한 질문인 것은 역시 미국이라는 ‘제국’의 위치때문이다. 미국이 기침하면, 우리 한반도는? ‘같은 “제국”이니 그 통치자가 부시-매케인이든 오바마이든 매 한가지’라고, 말할 수만은 없다. 적어도 지난 8년 간 우리는 그 차이를 실감했다.
오바마 당선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뉴욕 타임즈에서만도 여러 생각들이 엇갈린다. 빈정거리는 사람부터 시작해서(브룩스), 사람의 뱃속을 건들지 못하는게 약점이라고 훈수두는 듯하면서 싫은 속내를 은근히 들이미는 사람(프리드먼), 그리고 이른바 미국 문화에 편만한 반지성주의를 찬찬히 분석해 보이는 시선(크루그먼)까지 다양하다. 오바마 지지자들의 걱정을 물어보니, 많은 이들이 크루그먼과 생각을 같이 한다. 게다가 시꺼먼 속이 훤히 보이는 공화당의 페일린 부통령 후보 지명 이후의 판세에 우려하는 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인종차별 문제는 순서에서 밀려 있다. 백인들만 만나봐서 그런가? 아마 반지성주의, 전쟁과 애국주의, 그 다음으로 인종 차별을 걸림돌의 순위로 두는 듯하다.
우리 사회에서야 내 피부가 “살색”이라 당연히 받아들여지지만, 이곳에서는 내 피부와 머리칼은 도드라진다. 피부는 감출 수 없다. ‘오바마가 흑인이 아니라면 이번 선거는 따놓은 당산 아니냐?”는 내 물음에 백인 리버럴들은 그리 쉽게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게 이면에 작동하지만, 이미 미국 대선은 워낙 호락호락하지 않은 게임이 되었고, 양 당 지지자들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분열의 폭이 크다는 이유다.
“육체의 힘을 취하고, 영혼을 빼앗아라.”
피부색이 다른 나는 여전히 끙, 하니 앉아 다른 생각을 한다. 미국 백인들이 전혀 느낄 수 없는 것들이 미국 흑인들의 삶과 역사에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 여름 런던 행 비행기 안에서 쭈그리고 보았던 영화 “The Great Debaters”의 한 장면을 떠올린다. 1930년대 미국 흑인 대학의 유명한 토론 경쟁 팀 이야기를 그린 이 영화에는 흑인 차별과 학대의 참혹한 표현이었던 “린칭”(lynching)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팀의 지도 교수인 톨슨 교수(덴젤 워싱턴 분)는 “린칭”의 기원과 속내를 이렇게 설명한다.
[이런 말이 있지…] ‘노예들을 죽이지 마라. 대신에 그들에게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을 심어 주어라. 노예는 쓸모가 있으니 잘 사육해야 한다.’ 린치가 누군지 아는 사람 있나?… 그는 웨스트 인디의 악독한 노예 소유주였네. 식민지 버지니아에 살던 노예 주인들은 이 노예들을 다루는데 문제가 생겼어. 그래서 이들은 린치(Mr. Lynch)를 보내서 그가 쓰는 방법을 가르치게 했지. ‘린칭’이라는 말은 그 사람 성을 딴거네. 그의 방법은 아주 간단했네. 하지만 아주 악독한 것이었지. ‘노예의 육체를 강하게 유지시켜라. 하지만 심리적으로는 약하게, 노예 주인에게 의지하도록 만들어라. 육체의 힘을 취하고, 영혼을 빼앗아라.’
린칭이 실감 있게 안들어 온다고? 이곳을 열어 보시라! (노약자들은 삼가시라). 린칭 장면을 담아 우편 엽서로 만들어 보냈던 여러 백인들의 ‘시선’에 동참해 보시라.
실제로 린칭은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더욱 극심해졌다. 이 참혹한 사적 형벌인 린칭은 20세기에 들어서도 계속되었다. 1960년 대의 미국 인권 운동 이후에야 린칭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대신 이 린칭의 ‘철학'(차라리 신학)은 다른 온갖 차별의 효과적인 원리로 작동하며 여러 곳에 숨어 들어 있다.
밥 말리 – [구원의 노래]
독일 공연에서 노래하는 밥 말리(Bob Marley)를 엿보았다. 그의 얼굴에 흐르는 땀이 눈물처럼 느껴졌다. 흑인 노예들의 땀은 그들의 피눈물이었다.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