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이어 – 상식을 이기는 감사의 신앙

Sunday, July 26th, 2015

오병이어 – 상식을 이기는 감사의 신앙 (요한 6:1~21)1

성서의 기적 이야기는 늘 우리의 상식을 시험하는 듯합니다. 덮어놓고 믿자니 허무맹랑하고, 의심하자니 신앙의 덕이 모자란듯하여 입 밖에 내기 부담스럽습니다. 보리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 천 명을 먹이신 기적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 ‘오병이어’ 사건은 복음서 네 권에 모두 나오는 유일한 기적일 만큼 예수님의 삶과 선교의 핵심을 보여줍니다. 앞으로 다섯 주간 동안 요한이 전하는 ‘생명의 빵’ 이야기를 이해하는 열쇠이니 허투루 볼 수 없습니다. 여러분을 오늘 이야기의 장면으로 초대합니다.

– 무대는 산에 펼쳐집니다. 요한복음서는 늘 구약성서 이야기를 머리에 담습니다. 모세가 산에 올라 하느님을 만나고 계명을 받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백성을 억압과 노예의 사슬에서 끌어낸 해방자 모세를 닮았습니다. 예수님은 모여든 우리의 궁핍과 어려움을 보고 지나치지 않는 분입니다.

제자들 – 예수님은 배고픈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라고 제자들에게 지시합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손익계산서를 예수님께 내밀며 실행이 곤란하다고 머리를 젓습니다. 현실을 나 몰라라 한 무리한 요구라는 불평입니다. 빠듯한 살림에 다른 사람을 보살피거나 선교에 힘쓸 겨를이 없다는 우리의 걱정이 겹쳐지는 장면입니다.

소년의 도시락 – 어떤 사정인지는 모르지만, 예수님 앞에 소년의 오병이어 도시락이 올라왔습니다. 이름 있는 제자들과 이름 없는 소년이 비교됩니다. 큰 어른의 손익계산과 작은 소년의 봉헌이 대비됩니다. 마련해야 할 엄청난 음식과 작은 도시락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손익계산서가 아니라 무명의 소년이 지닌 작은 도시락의 정성에서 일을 펼치십니다. 신앙인은 크기와 관계없이 어떤 헌신과 봉헌에서도 새로운 일이 펼쳐진다고 믿습니다.

감사기도 – 예수님은 감사기도(유카리스티아-성찬례)를 올립니다. 다른 복음서에 나오는 ‘축복’이라는 표현과는 사뭇 다릅니다. 작은 것에 감사하는 행동으로 축복이 널리 펼쳐지기 시작합니다. 오천 명이 배불리 먹고 나서야 제자들이 움직입니다. 남은 열두 광주리 분량의 음식은 제자들이 이전에 흔들었던 손익계산서 한 장과 좋은 비교를 이룹니다. 모세의 만나는 썩었지만, 예수님의 음식은 모아도 썩지 않고 다른 사람들까지도 더 먹이는 데 쓰입니다. 삶에 감사하는 모든 행동이 풍성한 변화를 낳고 썩지 않으며 널리 펼쳐집니다. 이것이 선교입니다.

물 위의 예수님 – 은총과 축복을 받았다 해도 우리 삶은 여전히 세상의 풍파와 사나운 파도 속에서 위태로운 시간을 겪습니다. 은총과 위기를 번갈아 겪으며 우리는 두려움에 휩싸입니다. 그때 주님께서 동행하시니 ‘두려워 말라’고 용기를 주십니다. 그러는 동안 ‘어느새’ 우리는 ‘목적지에 닿게 될 것’이니 말입니다.

five-loaves-two-fish-mosaic.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7월 26일 연중17주일 주보 []

오해와 박해를 넘어 생명을 향하여

Sunday, July 12th, 2015

오해와 박해를 넘어 생명의 소식을 향하여 (마르 6:14~19)1

세상을 떠도는 ‘소문’에는 사람을 기쁘고 복되게 하는 선한 소문과 사람을 이간하고 오해하게 하는 악한 소문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소문을 바르게 식별하여 복된 것을 더 널리 나누고, 악한 것을 끊어내는 일이 신앙입니다. 교회와 사회, 역사와 정치 모든 영역에 적용할 신앙의 의지이기도 합니다.

아모스 예언자는 이스라엘 왕의 독재를 비판합니다. 이 소문에 왕의 참모와 어용 종교인은 아모스가 ‘나라를 망칠 소리’를 하고 있다며 박해합니다. 정치는 정치가에게 맡길 일이지 예언자가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비난합니다. 그러나 아모스의 응답은 단호합니다. 자신은 정치가가 아니라 농사짓는 보통사람이지만, 하느님의 분부라면 정치가 아니라 무슨 일에라도 관여하겠다고 합니다.

하느님의 분부를 시편은 하느님의 나라에 비추어 노래합니다. “사랑과 진실이 눈을 맞추고 정의와 평화가 입을 맞추리라. 땅에서는 진실이 돋아 나오고 하늘에서 정의가 굽어보리라.” 이 아름다운 가치가 성당과 예배 안에서 울리는 노래로 그칠 수는 없습니다. 왜곡된 세상을 바꾸는 가치와 실천의 소문이 밖으로도 울려 퍼져야 합니다.

못된 권력을 꾸짖고 연약하고 아픈 사람을 고치신 예수님에 관한 ‘복된 소문’이 퍼져나갔습니다. 그런데 이 소문에서 헤로데는 자신이 죽인 세례자 요한이 살아돌아왔다는 환청을 듣습니다. 헤로데는 동생의 아내를 빼앗아 아내로 삼았고, 세례자 요한은 권력자의 부도덕한 행동을 비판했습니다. 그러자 감옥에 가두었고, 자기 즐거움에 취해 던진 약속에 죄 없는 요한의 생명을 빼앗았습니다. 생명을 주시는 예수님에 관한 소문을 듣자, 생명을 빼앗은 자신의 악행과 두려움 속에서 정신착란을 보였습니다.

헤로데와 세례자 요한의 죽음을 꺼낸 복음서의 뜻은 분명합니다. 세상 권력은 자신의 쾌락과 안녕을 위해서라면 양심도 누르고 생명을 앗아갑니다. 그 결과는 두려움과 분열증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과 제자들은 아픈 사람을 고쳐주시며 생명을 살리는 길을 올곧게 걸었습니다(지난 주일 복음). 그 걸음이 오해와 박해를 받기도 하지만, 예수님은 이제 배고픈 오천 명을 “거저 주시며 풍성하게 먹이시는” 희망과 구원의 길로 뚜벅뚜벅 향할 뿐입니다(다음 주일 복음).

성공회에 관해 ‘악한 소문’을 입에 담는 이들이 있습니다. 어떤 종교인들은 성공회에 ‘이단’ 혐의를 씌웁니다. 세계 그리스도교에서 세 번째로 큰 정통 교단이라는 객관적인 사실을 알려줘도 인정하지 않습니다. 세간의 어떤 이들은 한국의 역사와 변화에 함께한 성공회를 두고 ‘진보-좌파’라는 딱지를 붙이기도 합니다. 성공회는 세상에 오신 예수님의 성육신 영성을 깊이 성찰하고 실천하는 신앙 전통이라 해도 의심을 거두지 않습니다. 혐의와 의심을 작정한 이들을 바꾸기는 쉽지 않습니다. 비난과 두려움의 영이 눈과 귀를 가렸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흔들리지 않고 오직 ‘복된 소식’의 진실에 굳게 서서 의연히 걸을 뿐입니다.

Puvis_de_Chavannes,_Pierre-Cécile_-_The_Beheading_of_St_John_the_Baptist_-_c._1869.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7월 12일 연중15주일 주보 []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Sunday, June 28th, 2015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마르 5:21~43)1

예수님께서 펼치신 ‘치유’ 이야기는 모두 ‘구원’ 이야기입니다. 성서 원어에서도 ‘치유’와 ‘구원’은 같은 뜻입니다. 예수님께서 병들고 아픈 이들을 고치신 사건에는 우리 삶의 구원에 관한 가르침과 당부가 담겨 있습니다. 복음을 비롯한 오늘 독서에 담긴 구원의 선포는 분명합니다. “고통과 죽음의 두려움에서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여성이 오늘 사건의 핵심입니다. 이 두 여성을 이해할 때, 오늘 복음의 뜻이 풀립니다. 2천 년 유대 사회에서 여성은 차별의 고통 아래 살았습니다. 한 여인이 12년 동안 하혈병을 앓았습니다. 당시 종교의 정결법은 피를 흘리는 여성은 ‘더러우니 피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사람들은 ‘오염된 여인’의 병을 치료하기보다는, 아픔을 돈벌이로 이용했습니다. 회당장의 딸은 어린 나이에 죽을병에 걸렸고, 결국 죽고 말았습니다.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을 제대로 꽃피우지 못한 상황에 관한 고발입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여성은 나이를 불문하고 착취에 희생당하거나, 주어진 능력과 뜻을 펼치지 못하고 짓눌리기 일쑤입니다.

하혈병 앓던 여인은 몰래 예수님 몸에 손을 대었습니다. 세상은 ‘두려운 남성의 체제’였기에 치유의 힘마저도 숨어서 얻어야 했습니다. 여느 ‘남성’과 달리, 작은 이들에게 세심하고 예민헀던 예수님은 그 여인을 “찾아 나오게” 했습니다. ‘나오라’는 말씀은 그의 존재 전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고통, 숨기고 싶은 자신의 연약함을 당당히 선언하며 ‘커밍아웃’(coming-out)하여 살라는 초대입니다. 이때 새로운 정체성이 선물로 다가옵니다. 예수님은 두려움에 떠는 여인을 이제 “딸”(디가테르)이라 부르며, 온전한 “평화”(샬롬)의 삶을 분부하십니다.

또 다른 ‘사랑하는 작은 딸’(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향한 애틋한 마음이 예수님의 발걸음을 재촉했습니다. 이미 죽었으니 ‘폐를 끼칠 일 없이’ 그만두셔도 좋다는 조언을 마다하셨습니다. 생명을 살리는 일, 희망을 만드는 일에는 그 어떤 일도 ‘폐’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불편을 무릅쓰고서라도 손을 펼쳐야 합니다. 무너진 자리에서 희망을 세우고 생명을 살리는 일은 두렵고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일어서라”는 말씀에는 죽음과 죽음의 세력을 뚫고 일어나신 예수님의 부활이 미리 드러납니다. 억눌린 ‘작은’ 이들의 생명은 일어서야 하고,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 우리는 어려움에 직면하여 ‘두려움을 지닌 이들과 더불어, 하느님을 신뢰하며 걷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치유는 아프고 혼란스러워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린 감수성에서 시작합니다. 자신에게만 예민하지 말고, 밖에서 다가드는 요청에 민감해야 합니다. 자신의 약함을 드러내고 한계와 정체성을 인정할 때, 구원이 펼쳐집니다.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을 멈추고 밖으로 나가 이웃과 사귀며 하느님과 신뢰를 마련할 때, 신앙이 힘을 얻습니다. 이 신앙의 힘으로 그리스도인은 세상에서 눌린 생명을 살리고 꽃피우는 하느님의 구원에 참여합니다.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Healing_Woman.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6월 28일 연중13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