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의 증인 – 고난과 변화에 열린 삶

Sunday, April 19th, 2015

부활의 증인 – 고난과 변화에 열린 삶 (루가 24:36~48)1

부활은 우리 신앙인의 생각에 변화가 일어나는 사건입니다. 엠마오로 내려가던 길에서 두 제자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을 때 이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루가 24:13~35). 두 제자의 길에 끼어들어 동행한 낯선 사람은 제자들이 알고 있던 성서의 내용을 다시 풀어 주었고, 제자들이 그를 환대하여 함께 식사를 나눌 때 그들의 눈과 마음이 열려 부활하신 예수님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만남이 이끈 변화는 이제 두려움을 없애고, 새로운 눈과 몸으로 새로운 삶의 증인이 되게 합니다.

두려움은 절대 초월자인 신을 향한 종교심의 출발일 수도 있지만, 벌과 심판의 교리로 사람을 옭아 죄어 하느님의 넉넉한 사랑을 가로막기도 합니다. 두려움은 마음을 닫아 우리 안에 온갖 고정관념을 만들어서 새로운 대화와 배움을 차단하고 무시하게 합니다. 부활 신앙을 ‘뼈와 살’의 튼실한 구조와 내용으로 채우기보다는, ‘유령’처럼 두리뭉실한 태도로 얼버무리거나 윽박지르는 태도를 낳습니다. 도전에 열린 알찬 신앙만이 실체 없는 두려움의 유령을 몰아냅니다.

부활 신앙은 ‘새로운 몸’의 경험에 있습니다. 그 경험은 부활한 예수님의 몸에 남아있는 상처를 살피고 어루만지는 일입니다. 신앙인은 그 상처를 통해서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의 아픔과 상처를 비추어봅니다. 신앙의 경험은 낯선 이를 초대하여 먹을 것을 건네며 함께 나누는 일입니다. 초대와 나눔은 새로운 몸을 움직이는 근육입니다. 그런 점에서 부활은 영혼이나 정신의 일이 아니라, 살아서 숨 쉬는 몸에 담긴 혼의 문제입니다.

우리의 ‘몸-혼’에 새겨진 역사의 기억과 아픔의 감각으로 예수님의 삶에 우리 자신의 몸과 생각을 맞추어 조율하는 일이 신앙입니다. 이 기억과 감각의 조율로 다시 낯선 이들을 초대하여 나누며 배우는 관계에서 더 크고 넓어진 ‘몸’이 등장합니다. 부활한 몸의 정체가 바로 교회입니다.

부활한 몸인 교회의 사명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에 관한 ‘모든 일의 증인’이 되는 일입니다. 교회는 세상의 현실을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과 부활 안에서 다시 보고 듣고 경험합니다. 교회는 부활하신 예수님 몸의 상처를 통하여 우리의 역사와 사회, 종교와 신앙을 새롭게 해석하여 제공합니다. 이 사명은 고난의 시간과 죽음의 장소인 ‘예루살렘’에서 시작합니다. 이때를 피해서는, 이곳을 거치지 않고서는, 부활의 새 삶과 교회는 우리에게 없습니다.

이 시간과 공간의 역사는 멀게는 1960년 4.19 혁명이라는 역사의 현장이며, 가깝게는 작년 4.16 세월호 참사라는 여전히 애끊는 슬픔의 기억입니다. 우리의 부활은 이 기억과 현장에서 ‘비롯하여’ 두려움 없이 다시 일어섭니다. 여기서 교회가 섭니다. 우리는 이 ‘모든 일의 증인’입니다.

Blake_Comfort.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5년 4월19일치 – 수정 []

부활 – 상처가 서로 만나서

Sunday, April 12th, 2015

부활 – 상처가 서로 만나서 (요한 20:19~31)1

17세기 화가 카라바지오의 그림 <의심하는 토마>는 우리가 당연하듯 생각하는 토마의 불신앙을 더욱 과장하여 극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림에서 토마는 예수님의 옆구리 상처에 자기 손가락을 후벼 넣습니다. 상상만 해도 아물지 않은 상처의 쓰라림이 느껴지는 장면입니다. 주변의 두 제자마저도 호기심 어린 눈초리로 상처를 파고든 손가락을 향합니다. 과연 토마는 자기 신앙의 증거를 찾으려고 남의 고통도 아랑곳하지 않는 사람이었을까요?

doubting_thomas.jpg
(카라바지오, <의심하는 토마>, 1601~2)

예수님의 시신이 사라진 직후, 제자들 사이에서 긴박한 대책회의가 있었을 법하지만, 가리옷 유다가 빠진 제자단 열한 명 가운데 왜 유독 토마만 빠졌을까요? 스승의 죽음에 절망하여 낙향했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지만, 여드레 뒤에 그가 다시 제자단 모임에 돌아온 것을 보면, 꼭 그렇지는 않았던 모양입니다. 예수님께서 토마에게 나타나 ‘네 손으로 확인하라’고 하셨을 때도, 토마는 카라바지오의 그림과는 달리, 곧바로 그 목소리를 알아듣고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 하며 반깁니다. 절박한 마음으로 예수님의 시신을 찾으러 세상 밖을 헤매던 이가 아니고서는 이 반가움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정작 문제는 ‘무서워서 안으로 문을 닫아걸고’ 있던 상황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두려움에 따른 자기폐쇄의 벽을 뚫고 들어오십니다. “두려워 말고 평화가 있기를” 하며 건네신 말씀이 부활하신 예수님의 첫 인사입니다. ‘두려워 말라’는 말씀은 천사 가브리엘이 성모 마리아에게 예수님 잉태 소식을 전할 때 건넸던 인사입니다. 이 인사는 제자들이 풍랑 속에서 목숨의 위협을 느꼈을 때도 들려왔던 말씀입니다. 같은 인사가 부활의 경험 속에서 다시 울려 퍼집니다. 두려워 문을 닫아걸고 자신의 안녕만을 위하는 일이 불신앙이요, 그러한 두려움을 넘는 일이 신앙입니다.

부활의 생명은 ‘닫아둔 벽과 마음’을 꿰뚫고 들어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의 ‘숨’이 들어오는 틈을 마련할 때라야 우리는 생명의 성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완벽하고 건강하게 ‘닫힌’ 몸과는 달리, 우리 삶에서 얻은 찢어지고 터진 상처야말로 하느님 은총이 우리 안에 들어오는 통로라는 뜻입니다. 꿰뚫고 들어오는 생명에 자신의 상처를 여는 일이 용기이며 신앙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 몸의 상처는 아물지 않았습니다. 부활 신앙은 우리 삶의 상처와 고통을 없애려는 일이 아니라, 그 상처를 통하여 삶이 지닌 고통의 깊이를 살피는 일입니다. 그 상처를 새로운 창과 렌즈로 삼아 세상에 즐비한 다른 상처와 아픔을 발견하는 일입니다. 아물지 않은 예수님의 상처는 우리의 상처, 세상의 고통과 만나 예수님의 몸과 우리 몸이 하나가 되라는 초대입니다. 부활일부터 성령강림주일에 이르는 오십일의 부활절기는 터지고 열린 상처들이 만나 우리가 그리스도의 몸이 되어 교회가 탄생하는 과정입니다.

가슴이 휑히 뚫린 자신의 상처를 안고 토마는 예수님의 상처를 만났습니다. 그 맞닿은 상처 안에서 토마는 부활하신 예수님과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목격자가 되었습니다.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5년 4월 12일치 []

사순절 – 광야의 눈물과 용기, 그리고 연대

Sunday, February 22nd, 2015

사순절 – 광야의 눈물과 용기, 그리고 연대 (마르 1:9~15)1

“인생아 기억하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가리라.” 우리는 이 선언과 함께 이마에 재를 받으며 사순절기를 시작했습니다. 사순절기는 40일 동안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우리 인생의 슬픔과 기쁨, 절망과 희망을 성찰하는 절기입니다. 하느님을 향한 우리 신앙을 되새기며 걷는 시간입니다. 예수님의 세례와 광야 경험, 갈릴래아 선교는 사순절 여정의 흐름과 본뜻을 알려주며 우리를 하느님 나라를 향한 순례의 길에 초대합니다.

세례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출발입니다. 세례의 물로 우리는 과거를 씻어내고 청산하여 새로운 사람으로 태어납니다. 아울러 세례의 좀 더 깊은 신비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 우리를 ‘하느님의 사랑하는 딸과 아들, 하느님 마음에 드는 자녀’로 세워주신다는 은총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세례 때에, 굳게 닫혀 무서울 것 같은 하늘을 ‘가르고’ 비둘기처럼 부드러운 손길로 내려왔다는 장면의 뜻입니다.

그러나 세례의 은총은 세상 사람이 말하는 성공과 성취, 안녕을 보장하리라는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는 듯합니다. 오히려 세례의 성령은 예수님께 하신 것처럼 우리를 힘겨워 흔들리기 쉬운 광야로 이끌어갑니다. 그 광야는 무서워 피하고 싶은 곳이며, 외롭고 갖은 위협을 느끼게 하는 곳입니다. 세례로 시작한 우리의 신앙은 축복의 보장이 아니라 여전히 광야 경험의 연속이기 일쑤입니다. 왜 성령께서는 예수님과 우리를 광야로 데려가실까요?

광야는 우리가 저마다 지닌 내면의 어둠이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어둠을 대면하지 않고서는, 자신의 가장 약한 부분을 들여다보고, 이를 보듬어 다스리지 않고서는 우리 신앙의 도약은 이뤄지지 않습니다. 마음의 온갖 어둠과 두려움, 여러 유혹이 넘실대는 광야의 추운 어둠 속에서 흘리는 눈물이 우리를 하느님께로 더 가까이 데려갑니다. 그 눈물은 이제 우리 마음의 어지러운 눈을 씻어내는 세례의 물이 되어 세상을 새롭고 청명한 눈으로 바라보게 합니다.

jesus weeps.jpg

이 어둠은 인간의 내면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와 세상의 어둠이기도 합니다. 세상의 어둠 속에서 고통받으며 눈물 흘리는 사람을 대면하고 만나지 않으면 우리 신앙은 도약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광야는 고통과 어려움의 눈물을 흘려 새롭게 태어나는 곳이요, 그 눈물을 나누는 사람들을 서로 발견하며 연대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우리 인생에서 겪는 광야 경험은 수고스럽고 고통스럽지만, 하느님의 시선을 얻는 은총의 시간입니다.

예수님처럼 우리의 전도와 선교도 어둡고 추운 광야에서 흘린 눈물 머금은 시선과 용기에서 비롯합니다. 아름다운 친구 세례자 요한이 붙잡혀 감옥에 갇히는 순간에 등장하신 예수님은 요한의 외침과 고난의 바통을 이어받았습니다. 예수님처럼 이제 우리는 유혹과 위협이 계속되는 세상에 나아가서 우리의 선교를 감당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세례와 광야와 전도가 이어지는 장면은 부활하셔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고 하신 예수님의 약속을 먼저 이루고 알려주는 듯합니다. 세례의 은총을 기억하며 광야의 눈물과 용기와 연대로 이제 부활을 향한 발걸음, 하느님 나라를 향한 사순절 신앙의 순례를 시작합니다.

desert_tear.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5년 2월 22일치 – 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