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 수요일 – T. S. 엘리엇

Wednesday, February 25th, 2009

재의 수요일 – T. S. 엘리엇

Ash Wednesday (1930) by T. S. Eliot (1888~1965)

I / II / III / IV / V / VI

V

잃은 말을 잃고, 써버린 말을 써버렸다면,

들려지지 않은, 말해지지 않은

말씀은 말해지지 않고, 들려지지 않는다면;

여전히 말해지지 않은 말, 들려지지 않은 말씀은,

한마디 없는 말씀, 그 말씀은

세상 안에 있고, 세상을 위해 있으니;

그리고 빛은 어둠 안에서 비췄고

말씀에 대역하여 불안한 세계는 여전히 흘렀으니

침묵하는 말씀의 언저리를 돌아.

아, 내 백성들아,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했느냐.

어디서 말씀을 찾을 것이며, 어디서 말씀이

다시 들려질까? 여기는 아니리, 충분한 침묵이 없으니

바다도 섬도 아니리, 아니리

육지도, 사막도, 습지도,

낮 시간과 밤 시간에 함께 깃든

어둠 속을 걷는 이들에게

여기는 옳은 시간도 옳은 공간도 아니니

은총의 공간은 없으리, 그 얼굴을 피하는 이들에게는

기쁨의 시간은 없으리, 소음 속에서 걸으며 그 목소리를 부인하는 이들에게는

베일을 쓴 여인은 기도할까,

어둠 속에 걷는 이들을 위하여, 그대를 선택했으나, 그대를 적대하는,

계절과 계절, 시간과 시간 사이에서 어쩔 줄 모르며 찢겨진 이들을 위하여,

순간과 순간, 말과 말, 힘과 힘 사이에서, 기다리는 이들을 위하여

어둠 속에서? 베일을 쓴 여인은 기도할까

입구에 서 있는 어린이들을 위하여

떠나지 않고 기도하지 못하는:

선택했으나 적대하는 이들을 위하여 기도하라.

아, 내 백성들아,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했느냐.

베일을 쓴 여인은 연약한

주목(朱木) 사이에서 그녀에게 상처입힌 이들을 위하여 기도할까

그리고 무서움에 떨며, 항복할 수 없는

그리고 세상 앞에서 우겨대며, 바위 사이에서 부인하며

마지막 사막에서 마지막 푸른 바위 앞에서

말라버린 정원의 사막 사막의 정원

말라버린 사과씨를 입 밖으로 내뱉는 이들을 위하여.

아, 내 백성들아.

(번역: 주낙현 신부)

정심기도 the Collect for Purity

Monday, January 5th, 2009

전능하신 하느님,
주님께서는 모든 사람의 마음과 소원을 다 아시고
은밀한 것이라도 모르시는 바 없사오니,
성령의 감화하심으로
우리 마음의 온갖 생각을 정켤케 하시어,
주님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주님의 거룩한 이름을 공경하여 찬송케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 아멘.

(성공회 기도서 2004)

Almighty God,
to you all hearts are open,
all desires known,
and from you no secrets are hid:
Cleanse the thoughts of our hearts
by the inspiration of your Holy Spirit,
that we may perfectly love you,
and worthily magnify your holy Name;
through Christ our Lord. Amen.

(TEC BCP 1979)

성공회는 기도서로 함께 기도하는 교회이다. 그 기도의 첫머리에 단연 이 “정심기도”가 돋보인다. 개인기도와 공동기도가 하나인 것을 드러내주는데 이만한 기도가 없다. 흥미롭게도 이 기도는 교회 전례에서 성공회 기도서에만 살아 남았다.

지난 2년 간 떼써서 성직자들과 마련한 전례 포럼과 몇몇 교회에서 교우들과 여러 대화를 나눌 때, 매번 모임과 대화를 이 기도로 시작했다. 기도서의 기도를 개인의 기도, 공동체의 기도로 삼아 몸에 배도록 훈련하는데 이 기도는 그 시작이자 정점이기도 하다.

바빠서 성무일도가 어렵다면, 이 기도로도 족하리라.

우리 말 번역도 좋지만, 사룸 미사(Sarum missal)에 살아 남았던 영어 원문은 더 깊은 생각으로 이끈다(위는 현대 영어본).

꼬리 문 생각 – 기도서의 축일

Thursday, November 6th, 2008

오늘이 윌리암 템플 캔터베리 대주교의 축일인 탓에 학교에서도 그를 기념하는 미사를 드렸다. 그는 18세기 이후 교회력에 들어 있는 유일한 캔터베리 대주교이다. 그가 별세한 10월 26일이 아닌 11월 6일이 왜 그의 축일인지는 알 수 없다. 영국 성공회 [공동 예배](2000)이 처음으로 이 날을 그의 축일로 지정했고, 미국 성공회가 이 날짜를 따랐다. 최소한 영국과 미국은 그가 교회의 윤리적 이상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그의 실천이 현대 성공회 정신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한국 성공회 기도서(2004)는 성공회 전통 안에 있는 근대 혹은 현대의 위대한 영성가들이나 신앙 위인들을 교회력에 넣는 일에 인색하다. 10월 26일은 ‘채드’라는 실체를 알 수 없는 인물, 그리고 11월 6일에는 ‘레오나드’라는 6세기 은수자의 축일로 한다.

현대의 성인 몇을 교단 전통을 막론하고 넣긴 했다. 마틴 루터 킹(4월 5일), 본회퍼(4월 9일)가 그렇다. 탁월한 일이다. 그런데 가만 보니 타의에 의한 죽음으로서 순교에 대한 남다른 존경이 비친다. 그러나 그 선택마저도 대중적인 인물, 혹은 교단적인 전통에 영향을 받은 듯하다. 독재에 저항하다 순교당한 우간다 성공회의 자나니 르움 대주교나, 천주교의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엘살바도르)는 찾을 수 없다.

현행 기도서 직전에 나온 [교회 예식서](1997) 작업에서 교회력 부분을 따로 맡아 크리스토퍼 존 수사와 함께 제안서를 만든 적이 있었다. 근거나 상관성이 떨어지는 성인들이나 인물들을 대폭 삭제하고, 성공회 전통과 정신, 그리고 근-현대 그리스도교 역사에 하느님 선교의 증인이 된 인물들을 넣으려고 애썼다. 성공회 신앙 전통을 다양하게 대변하는 웨슬리 형제, 존 키블, 프레데릭 모리스 등이 그러했고, 물론 마틴 루터 킹, 본회퍼, 로메로 대주교 등도 포함시켰던 걸로 기억한다. 그리고 성서의 여러 성인들을 위해서 구약 성서, 신약 성서의 성인들 축일을 넣어, 교회가 어떤 이름 없는 성인들의 삶을 다시 기억하도록 도우려 했었다. 신앙의 족적과 하느님의 선교의 증언은 굳이 순교를 해야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마 그 작업이 어디 구석에 남아 있을 터이나, 우리 기도서에서는 흔적이 아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