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 – 윌리암 템플

Thursday, November 6th, 2008

예배는…

예배는 우리의 본성 전체를 하느님께 따르도록 내어 놓는 것이다.
예배는 하느님의 거룩함으로 우리의 양심을 회복하며,
하느님의 진리로 우리의 생각을 자라나게 하고,
하느님의 아름다움으로 우리의 상상력을 정화하고,
하느님의 사랑에 우리의 마음을 열어
하느님의 뜻에 우리의 의지가 따르도록 내어 놓는 것이다.
예배 안에서 이 모든 것이 모아질 때,
이기심이 물러나고 우리 본성의 가능성인 무아가 드러날 것이다.

William Temple, Readings in St. John’s Gospel, 1939

윌리암 템플(William Temple, 1881-1944) 캔터베리 대주교는 현대 성공회 신학과 정신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 가운데 한 분이다. 또한 20세기 교회 일치 운동의 산파였던 “신앙과 직제”(Faith and Order), 그리고 “생활과 노동”(Life and Work) 위원회를 이끌었다. 열린 사고와 분명한 정치적 입장 때문에 성직에 들어서는 순간에도, 그리고 성직자가 되어서도 여러 곤욕을 치렀다. 그리스도인 학생 운동을 적극 지원했으며, 노동당에 가입한 몇 안되는 성직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고, 맨체스터 교구의 주교였을 때는 광산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면서 노사 간의 대화를 이끌었다. 신학자로서 하느님의 내재와 초월의 긴장을 성사적인 세계관으로 풀이하려 했고, 윤리학자로서 그리스도교의 사회적 책임과 새로운 사회 질서에 대한 전망을 나누며 사회 개혁에 앞장 섰다. 전쟁 중에 방송 연설가로 국민들을 위로했고, 나치 치하에 있던 유대인들의 피난을 도왔다. 1944년 10월 26일, 캔테베리 대주교직 재임 30개월만에 세상을 떠났다.

빛과 사랑이신 하느님, 주님의 종인 윌리암 템플의 증거를 통하여 주님의 교회를 비추셨습니다. 기도하오니, 그의 가르침과 모본을 통하여 우리가, 말씀이 육신이 되신 신비에 대한 신앙과 용기와 확신을 갖게 하시고, 정의에 기반하고, 사랑을 법으로 하는 새로운 사회를 세워나가도록 이끌어 주소서. 성부와 성자와 함께 영원히 사시며 다스리시는 한 하느님이요, 세상의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기도합니다.

Lesser Feasts and Fasts, The Episcopal Church, 2006

오바마, 린칭, 그리고 밥 말리 “구원의 노래”

Friday, September 12th, 2008

첫 흑인 대통령?

오바마가 대통령이 될 수 있을까? 투표권도 없는 이방인인 내게 이게 중요한 질문인 것은 역시 미국이라는 ‘제국’의 위치때문이다. 미국이 기침하면, 우리 한반도는? ‘같은 “제국”이니 그 통치자가 부시-매케인이든 오바마이든 매 한가지’라고, 말할 수만은 없다. 적어도 지난 8년 간 우리는 그 차이를 실감했다.

오바마 당선의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뉴욕 타임즈에서만도 여러 생각들이 엇갈린다. 빈정거리는 사람부터 시작해서(브룩스), 사람의 뱃속을 건들지 못하는게 약점이라고 훈수두는 듯하면서 싫은 속내를 은근히 들이미는 사람(프리드먼), 그리고 이른바 미국 문화에 편만한 반지성주의를 찬찬히 분석해 보이는 시선(크루그먼)까지 다양하다. 오바마 지지자들의 걱정을 물어보니, 많은 이들이 크루그먼과 생각을 같이 한다. 게다가 시꺼먼 속이 훤히 보이는 공화당의 페일린 부통령 후보 지명 이후의 판세에 우려하는 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인종차별 문제는 순서에서 밀려 있다. 백인들만 만나봐서 그런가? 아마 반지성주의, 전쟁과 애국주의, 그 다음으로 인종 차별을 걸림돌의 순위로 두는 듯하다.

우리 사회에서야 내 피부가 “살색”이라 당연히 받아들여지지만, 이곳에서는 내 피부와 머리칼은 도드라진다. 피부는 감출 수 없다. ‘오바마가 흑인이 아니라면 이번 선거는 따놓은 당산 아니냐?”는 내 물음에 백인 리버럴들은 그리 쉽게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게 이면에 작동하지만, 이미 미국 대선은 워낙 호락호락하지 않은 게임이 되었고, 양 당 지지자들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분열의 폭이 크다는 이유다.

“육체의 힘을 취하고, 영혼을 빼앗아라.”

피부색이 다른 나는 여전히 끙, 하니 앉아 다른 생각을 한다. 미국 백인들이 전혀 느낄 수 없는 것들이 미국 흑인들의 삶과 역사에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 여름 런던 행 비행기 안에서 쭈그리고 보았던 영화 “The Great Debaters”의 한 장면을 떠올린다. 1930년대 미국 흑인 대학의 유명한 토론 경쟁 팀 이야기를 그린 이 영화에는 흑인 차별과 학대의 참혹한 표현이었던 “린칭”(lynching)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팀의 지도 교수인 톨슨 교수(덴젤 워싱턴 분)는 “린칭”의 기원과 속내를 이렇게 설명한다.

[이런 말이 있지…] ‘노예들을 죽이지 마라. 대신에 그들에게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을 심어 주어라. 노예는 쓸모가 있으니 잘 사육해야 한다.’ 린치가 누군지 아는 사람 있나?… 그는 웨스트 인디의 악독한 노예 소유주였네. 식민지 버지니아에 살던 노예 주인들은 이 노예들을 다루는데 문제가 생겼어. 그래서 이들은 린치(Mr. Lynch)를 보내서 그가 쓰는 방법을 가르치게 했지. ‘린칭’이라는 말은 그 사람 성을 딴거네. 그의 방법은 아주 간단했네. 하지만 아주 악독한 것이었지. ‘노예의 육체를 강하게 유지시켜라. 하지만 심리적으로는 약하게, 노예 주인에게 의지하도록 만들어라. 육체의 힘을 취하고, 영혼을 빼앗아라.’

린칭이 실감 있게 안들어 온다고? 이곳을 열어 보시라! (노약자들은 삼가시라). 린칭 장면을 담아 우편 엽서로 만들어 보냈던 여러 백인들의 ‘시선’에 동참해 보시라.

실제로 린칭은 노예 해방 선언 이후 더욱 극심해졌다. 이 참혹한 사적 형벌인 린칭은 20세기에 들어서도 계속되었다. 1960년 대의 미국 인권 운동 이후에야 린칭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대신 이 린칭의 ‘철학'(차라리 신학)은 다른 온갖 차별의 효과적인 원리로 작동하며 여러 곳에 숨어 들어 있다.

밥 말리 – [구원의 노래]

독일 공연에서 노래하는 밥 말리(Bob Marley)를 엿보았다. 그의 얼굴에 흐르는 땀이 눈물처럼 느껴졌다. 흑인 노예들의 땀은 그들의 피눈물이었다.

Redemption Song

Old pirates, yes they rob I
Sold I to the merchant ships
Minutes after they took I
From the bottomless pit
But my hand was made strong
By the hands of the Almighty
We forward in this generation
Triumphantly
Won’t you help to sing
These songs of freedom
‘Cause they all I ever had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Emancipate yourself from mental slavery
None but ourselves can free our minds
Have no fear for atomic energy
‘Cause none of them can stop the time
How long shall they kill our prophets
While we stand aside and look
Some say it’s just a part of it
We’ve got to fullfill the book
Won’t you help to sing
These songs of freedom
‘Cause they all I ever had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Redemption Song

봉천동 나눔의 집, 대안 공동체

Monday, June 16th, 2008

관계는 돈이나 재원의 전달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히려 희망과 두려움과 삶의 이야기를 교환하는 일에 기반한다. 그리스도교 영성이 의미하는 바는, 함께 먹는 일, 함께 나누는 일, 함께 마시는 일, 서로 이야기하는 일, 서로를 받아들이는 일, 서로를 통하여 하느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일이며, 이런 일 속에서 모든 이들… 특별히 가난한 사람들과 내쫓긴 사람들, 얻어 맞고 사는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대안적인 전망(vision)인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다.

in Elizabeth S. Fiorenza, In Memory of Her

어제는 봉천동 나눔의 집에 다녀왔다. 성공회 나눔의 집의 선교 실천과 영성에 마음의 빚을 많이 진 사람으로서, 기회가 되는대로 들러서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기 때문이(었)다. 그 며칠 전에 몇몇 나눔의 집 신부님들과 작은 공동체 안의 전례에 대한 고민을 나누었으나, 전례란 그것이 드려지는 현장에서 함께 참여할 때라야 경험되는 법, 그래서 작년 성북 나눔의 집을 방문한 것처럼 주일 미사에 함께 참여했다.

봉천동 나눔의 집은 이제 섬처럼 남아 있었다. 재개발이 완료된 뒤 들어선 주위 아파트들에 둘러 싸여 ‘아직’ 옛모습으로 남아 있는 몇몇 이웃들과 함께 그 오래된 보금자리를 20년이 지키고 있었다. 7년 전엔가 들르고 나서 다시 찾은 나눔의 집은 그때와는 달리 한없이 작게 보였다. 그러나 이웃 여러 채의 허름한 집들 사이에 혹은 뜰에 정성스럽고 소답스럽게 핀 작은 화단과 꽃들로 여전히 아름다운 생명을 피워내고 있었다. 작은 담장을 뒤덮은 푸른 잎의 넝쿨들은 그 너머 보이는 위압적인 고층 아파트의 페인트와 대비되는 푸르고 풍요로운 생명을 시위하고 있었다.

나눔의 집은 문턱 없는 환대의 공동체요, 나눔의 공동체이다. 서로의 아픔과 기쁨을 모두 품고 와서 함께 미사를 드리고, 새로 태어난 아이를 안고 온 산모를 함께 축복하고, 축하의 떡을 함께 나누며, 콩나물밥에 간장을 비벼 먹고 시원한 콩나물국을 곁들여 배를 채웠다. 편하게 둘러 앉아 작은 공동체 안에서 누릴 전례의 기쁨과 행동들, 그리고 이를 위해 개선할 점들을 서로 나누면서 시간이 흐르자, 이제는 살짝 얼린 막걸리가 배달되었다. 걸쭉한 막걸리와 그 사발 만큼이나 진하고 편한 이야기들을 행복하게 나눴다. 1부의 미사에 드린 성찬례를 2부인 일상에서 실천으로 이어온 것이다.

기쁘고 반가운 하루를 마련해 준 이들, 그 착하고 맑은 마음들에게 깊은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