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란트 – 변화냐 통곡이냐

Sunday, November 19th, 2017

talents.png

달란트 – 변화냐, 통곡이냐 (마태 25:14-30)

교회력 막바지에서 우리 인생도 명백하게 마지막에 다다른다는 사실을 생각합니다. 지난 주일 복음에서 우리는 마지막을 준비하는 일은 죽음의 준비가 아니라, 일상의 순간을 책임 있게 가꾸는 삶의 준비라고 배웠습니다. 오늘 복음은 이제 교회의 삶도 생각해 보라고 초대합니다. 저마다 다른 달란트를 받은 종의 비유는 잘 알려진 만큼이나 오해도 많습니다. 그 핵심은 우리 삶과 교회가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여 깊이 변화하지 않으면 ‘통곡’하리라는 경고입니다.

달란트는 우리 삶과 교회에 맡겨진 선물이자 책임입니다. 한 달란트는 20년 동안 한 푼 쓰지 않고 벌어야 하는 큰돈입니다. 오늘 비유에서 달란트 분배가 조금씩 다른 이유는 차별이 아니라, 감당할 책임을 헤아린 배려입니다. 행운이든 능력이든, 재산과 학식, 지위와 명예가 높다면 그만큼 책임의 무게와 양이 크기 때문입니다. 성서 본문에 쓰인 ‘더 벌었다’(16절)는 말은 경제 용어가 아니라, 신앙 용어입니다. 투자 이익을 셈한다는 뜻이 아니라, 우리 삶과 교회 안에서 이루는 하느님 나라와 그 영광의 ‘확장’을 확인하겠다는 말입니다. 우리 삶과 교회가 하느님의 영광을 ‘두 배’로 드높이 보여주며 살고 있느냐는 물음입니다.

하느님은 책임 수행의 기회를 충분히 주십니다. ‘얼마 뒤’라고 한 공동번역과는 달리, 원문에서는 ‘오랜 시간이 지나서’ 주인이 돌아옵니다. 기회와 시간이 부족하다고 불평하기보다는, 오래 견디며 계속 도전하는 일이 신앙생활에서 더 중요합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향한 신뢰와 의지 안에서 우리 처지를 헤아리시어 하느님 나라 확장의 능력과 책임을 주십니다. 신앙인은 성급한 성과에 붙들려 서둘거나 남의 것을 기웃거리지 않습니다. 오직 하느님이 주신 선물에 기대어서 새롭게 도전할 뿐입니다. ‘성공회다운’ 전통과 전례, 영성과 실천은 우리가 오래도록 견디면서 펼칠 달란트입니다.

시도하다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곳에 용서와 격려가 있습니다. 한 달란트를 받은 종은 실패의 두려움 속에서 용서의 은총을 맛볼 기회마저 잃었습니다. 넘어지고 쓰러진 이를 일으키시는 격려의 손길을 놓치고 말았습니다. 그 두려움의 결과, 오히려 주인을 향해 비난의 논리를 펴니 애처롭습니다. 사태의 진실을 왜곡하여 퍼뜨리는 시선과 언행은 신앙의 질병입니다. 세상을 향하여 하느님 나라의 영광을 보여야 할 교회가 시기와 질투, 자리 세습과 자기 영역 확장에 빠져드는 오늘입니다. 변화의 시도와 올곧은 비판을 두려워하는 소심함은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힐난합니다. 이렇게 하느님의 선물을 파묻는 교회를 오히려 세상이 걱정하는 형국입니다.

한 달란트를 빼앗아 더 번 사람에게 주는 일이 부당할까요? 이는 신앙의 용어입니다. 자신의 고정관념과 관습에 머물면, 우리는 ‘통곡’의 자리로 쫓겨납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선물은 매장당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캐내어 새로운 도전과 모험에 덤으로 주어 하느님 나라와 그 영광이 세상에 더 널리 드러나도록 합니다. 하느님은 우리 작은 인생과 작은 교회에 값진 달란트를 주셨습니다. 우리와 교회는 그 선물과 책임을 다하는 신실한 제자로 부름 받았습니다. 변화냐, 통곡이냐. 이 선택에 응답할 마지막 때입니다.

신앙의 덫, 닻, 돛

Sunday, October 22nd, 2017

gogh_sea_boat.png

신앙의 덫, 닻, 돛 (마태 22:15-22)

마음에서는 하늘과 이상을 꿈꾸더라도 몸담은 현실의 유혹과 갈등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하늘과 땅의 경계 안에서 항상 흔들리며 삽니다. 오히려 너무 쉽게 하늘의 신앙을 확신하며 세상을 초탈했다는 주장을 경계해야 합니다. 세상 풍파에 흔들리는 마음의 연약함을 악용하여 신앙의 덫을 놓는 협잡꾼이 세상에 많습니다.

안타깝지만 종교 공동체에도 교묘한 논리와 산뜻한 입발림으로 함정을 파거나 근거 없는 뒷말로 신뢰를 흩어버리는 행태가 적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사람의 안녕을 미끼로 친 덫을 식별하고, 풍파 속에서도 우리를 하느님께 붙들어 매는 신앙의 닻을 신뢰하고, 그리스도의 바람을 따라 돛을 올려 신앙의 순례를 계속합니다. 말과 발음처럼 혼동하기 쉬운 신앙의 덫과 닻과 돛을 식별하는 신앙이 간절합니다.

– 한 사람을 무너뜨리겠다는 생각이 위선의 야합을 만듭니다. 로마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민족주의자 바리사이파와 로마 제국의 앞잡이인 헤로데 당원이 협잡하여 예수님을 함정에 빠뜨리려 합니다. 공동의 적이 생기면 그동안 적이었던 사람도 친구로 변합니다. 적과 친구를 정의의 잣대로 구분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에 따라 아침저녁으로 바꿉니다. 이들의 합동작전이 아침에는 잠시 성공할지 몰라도, 저녁에는 서로 배신하여 물고 뜯고 맙니다. 우리 사회의 인간관계나 정치 행태가 이와 같아 안타깝습니다. 트집을 잡고 덫을 놓으려는 행태는 머지않아 자중지란에 빠집니다. 신앙인은 이 애처로운 일에 눈길을 주지 않습니다.

– 신앙인은 세상 풍파의 출렁임에 의연합니다. 우리 삶이 흔들린다 해도 깊고 굳건한 바닥에 닻을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삶의 크고 작은 풍파를 없애주는 분이 아니라, 우리 삶이 표류하지 않게 하는 근거입니다. 신앙인은 흔들리는 삶을 오히려 더 큰 파도를 넘는 훈련과 준비로 삼습니다. 더 깊고 큰 하느님에 기댄 사람은 세상이 유혹하려고 뿌리는 거짓 선전과 선동에 귀와 입을 빌려주지 않습니다.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을 분명히 식별하여, 처세와 지위로 위장한 거짓 권력마저도 끝내는 하느님의 더 크신 권위 아래 복종한다는 진실을 확인합니다.

– 풍파를 넘은 항해로만 우리 신앙은 성숙하고 하느님 나라를 향해 순례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순례는 그리스도의 삶이 역사에 불어넣은 바람을 타고 전진합니다. 모함을 이기고 정의를 세우며 사랑을 펼치는 그리스도의 바람을 온몸에 받는 돛을 높이 세웁니다.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바람 방향에 돛을 부지런히 움직이며, 교회의 가르침과 전통 안에서 지도를 확인하고, 신앙의 배움과 전례로 단련된 근육으로 노를 저어나갑니다. 이 풍파의 바다를 피하거나 우리의 수고를 다하지 않고서는 전진은 없습니다. 신앙인은 카이사르라는 세상의 풍파 위에 하느님의 항로를 그려내며 살아갑니다. 교회의 임무이며 신앙인의 책임입니다.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Sunday, October 15th, 2017

Swanson_Celebration.jpg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마태 22:1-14)

성찬례는 하느님 나라의 풍성한 잔치를 미리 맛보는 일입니다. 하느님이 마련하신 잔치의 목적은 뚜렷합니다. 하느님의 창조 세계와 그 생명을 함께 축하하고 즐기라는 초대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치와 경제는 이 초대를 자주 위태롭게 합니다. 울타리를 치고 몇몇이 독식하거나 갖가지 인맥과 이권이 만든 차별의 벽을 높이 쌓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에 맞서 하느님의 잔치를 이어가십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는 흥을 이어가시려 좋은 포도주를 제공하시고, 배고픈 이들의 처지를 측은히 여겨 배부르게 먹고 남도록 풍성히 차려 주십니다. 세상 기준으로 손가락질받는 이들을 초대하여 먹고 마시는 일로 기꺼이 그들의 동료가 되십니다. 그 잔칫상은 자신의 몸을 제자와 친구에게 내어주는 일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마침내, 새로운 생명을 축하하는 부활 잔치의 성찬례로 완성됩니다. 난해한 오늘 복음의 혼인 잔치 비유는 이 맥락에서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잔치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초대하려는 의지마저 돋보입니다. 그러나 함께 참여하여 누릴 잔치의 흥을 깨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의 사적인 성취와 손익 계산에 따라 참여를 거부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초대가 사적인 이익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판단하여 폭력으로 자기 이익을 보호하려 합니다. 하느님 나라의 신앙은 손익계산을 넘어설 때 다가오는데도 말입니다. 최근 세계의 정치경제, 그리고 우리 주변 상황과도 무척 닮았습니다. 이런 일이 계속되면 세상은 파국으로 치닫습니다.

새로운 초대에 응답하여 자신의 태도를 바꿀 때 희망이 열립니다. ‘나쁜 사람 좋은 사람’할 것 없이, 모두 생명 잔치의 혜택을 누려야 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하느님의 단비가 차별 없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잔치에 참여했다면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맞는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세상을 벗어나 신앙의 길에 초대받는 은총을 누렸다면, 자신에게 친숙한 세상의 관습을 버리고 신앙과 은총의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하느님의 잔칫상에 둘러 모인 사람은 나이와 성별, 학력과 재력, 오래된 이와 새로운 이의 구분을 넘습니다. 사람따라 존대하거나 친근하다는 빌미를 대며 반말로 하대하지 않습니다. 초대받은 손님으로서 서로 존중하고 존경하며, 서로 좋은 것을 권하고 보살피는 예법을 따릅니다.

신앙 공동체는 성찬례로 하느님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나눕니다. 세상의 삶이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더라도, 교회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에서만은 새로운 행동과 예법으로 살며 훈련합니다. 우리 모두 하느님의 손님인 사람이기에 어떤 사람도 함부로 대할 수 없습니다. 신앙의 예법을 무시하는 교회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14절)는 한탄 앞에 서게 됩니다. 우리는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여 생명의 기쁨을 서로 축하하고 서로 드높이며 살아갑니다. 교회는 이 생명 존중의 기쁨을 널리 퍼뜨리는 공동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