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즉문즉답 – 스케치

Friday, October 28th, 2016

466286669

‘신앙 즉문즉답’ 스케치1

주낙현 요셉 신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신앙’에 ‘즉문즉답’을 덧붙이는 일은 애초에 무리지요. 종교와 신앙처럼 복잡한 일이 없는데, 바로 물어 바로 답을 얻을 심산이라면, 오히려 깊은 신앙에 방해가 될는지 모릅니다. 그런데도 주일 11시 성찬례가 끝난 뒤 여러 교우와 신부님들이 반가운 인사를 나누는 뒷길로 저와 다른 교우들은 대성당 오르간이 있는 2층 방에 모입니다. ‘무엇이든지 물어보세요.’ 이렇게 성직자와 나누는 ‘신앙즉문즉답’을 시작합니다.

이 시간은 성공회에 낯선 새교우들이 당황하지 않고 신앙생활을 하도록 도우려고 마련했습니다. 두 해가 넘는 동안 자못 심각한 질문과 공부가 펼쳐지기도 했습니다. 새교우들과 더불어 우리 성당을 오래도록 지켜온 어르신들도 꽤 오십니다. 신학과 교리에 관련한 어려운 논의도 있고, 십자성호와 유향에 관한 질문, 마리아와 연옥에 관한 궁금증을 나누기도 합니다. 그 어떤 질문에도 높낮이를 재지 않고, 불온과 불순의 딱지를 붙이지 않는 시간입니다.

쑥스러운 분들의 입은 조용한 웃음만 머금기도 하지만, 그분들의 눈은 맑고 귀는 쫑긋합니다. 이십 여 분의 시간이 금방 지나갑니다. 머리를 쓰면 곧 허기지기 마련입니다. 어서 식당으로 내려가야지요.

짧은 나선형으로 오르내리는 계단은 어쩌면 신앙의 길인지도 모릅니다. 많은 종교는 단정짓는 교리로 사람에게 명백한 확신을 심어주려 합니다. 삶이 그렇게 분명하여 사다리 오르는 것 같으면 좋겠는데 실상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삶 속에서 실패와 의문, 머뭇거림과 혼란을 거듭하니까요.

성공회에서 새로운 신앙의 길을 묻고 찾는 분은 좀 다릅니다. 좁고 불편한데다 어지러울 듯한 나선형 계단을 오르내리기로 다짐한 분들입니다. 더 많은 계단으로 진전이 더디고 제자리를 맴돌기만 하는 듯한 길이 우리 삶이니까요. 신앙인은 이 길 위서 함께 물음과 고민을 나누며 걷습니다. 오르내리는 마음 속이 풍족히 다 채워지리라는 보장이 없어도, 그 계단과 비좁은 방으로 발길이 다시 함께 향할 때, 우리는 이미 거룩한 의문과 복된 대답을 품은 신앙의 순례자입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6년 10월 30일 치 1면 []

거룩한 신앙 – 세속과 종교 ‘사이’에서

Saturday, October 8th, 2016

Jesus_ten_lepers.jpg

거룩한 신앙 – 세속과 종교 ‘사이’에서 (루가 17:11~19)

그리스도교의 구원은 ‘밖에서’ 옵니다. 신앙은 ‘밖에서 손 내미는 구원’ 앞에 자신의 연약함과 상처를 내어놓는 일로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자기 내면의 고정관념과 안락한 영역에서 벗어나 낯선 공간으로 한 걸음 발을 뗍니다. 여기서 만나는 사람과 새로운 사건에 ‘감사와 찬양’으로 답하며, 새로운 삶의 길을 따르는 일이 거룩한 신앙입니다. 오늘 구약에 나오는 나아만 장군과 예수님의 치유를 경험한 사마리아 사람은 이러한 구원을 맛본 거룩한 신앙인입니다.

나아만 장군은 남부럽지 않은 권력과 재산을 지녔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그에게 닥친 ‘한센병’이라는 지독한 피부병 앞에서는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이때 구원의 소식이 ‘밖에서’ 들려옵니다. 권력과 재산, 지위와 명예에서 전혀 동떨어진 ‘이스라엘 여종’에게서 말입니다. 이 비천한 자의 소식에 귀 기울일 때 나아만의 치유 여정이 시작됩니다. 그가 자기 앞에 조아리지 않는 예언자의 명령에 토라져 자신의 지위를 드러내려할 때, 치유는 다시 위기를 맞습니다. 그러나 그의 ‘부하’가 건네는 조언에 ‘장군’이 귀 기울여 초라한 강물에 몸을 던질 때 치유는 되살아납니다. 기존의 경험과 고정관념은 종종 신앙의 귀를 막고 눈을 가립니다. 이때 세상 보기에 작은 이들의 지혜과 도전이 구원을 향한 변화로 우리를 이끕니다.

구원은 우리가 이 세상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정할 때 일어납니다. 예수님은 갈릴래아와 사마리아 ‘사이’에서 ‘나병 환자 열 사람’을 만납니다. 선민 유대인 종교의 땅도 아니고 이방인 세속의 땅도 아닌 ‘사이’의 땅입니다. ‘나병 환자’는 어디에도 들 수 없이 소외된 사람들입니다. 종교의 교리든 세속의 가치든, ‘전염’의 두려움에 휩싸이면 서로 편을 가르고 쫓아내고 소외시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좁고 위태로운 ‘사이’의 공간을 걷습니다. 여기서 새로운 삶의 은총이 일어납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이 뿌리 내리는 곳은 안녕을 약속하는 기존의 종교도, 성공을 보장하는 세속의 가치도 아닙니다. 고정된 기준에서 쫓겨난 사람들과 새로운 가치를 찾아 길 떠나는 나그네들이 매우 간절하고 위태로운 ‘사이의 땅’에서 만날 때 신앙이 싹틉니다.

신앙의 길은 과거의 자리로 돌아가지 않고 그 ‘사이’를 계속 새롭게 걷겠다는 다짐입니다. 치유를 받은 아홉 명은 옛 자리로 돌아갑니다. 그들은 익숙한 자기 종교와 세속의 땅에서 기쁘게 살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따르는 신앙은 전혀 낯선 곳에서 다른 길의 선택으로만 이어집니다. 자신의 몹쓸 병 때문만이 아니라 이방인으로도 손가락질받던 사마리아 사람만이 예수님께로 돌아옵니다. 그는 ‘감사와 찬양’을 드리고, 예수님은 그에게 “길과 믿음과 생명”(19절)을 선물하십니다. 이 은총의 선물로 우리는 거룩해집니다.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우리는 안락한 집을 떠나 이 간절한 기도와 호소를 드리러 ‘사이’의 공간인 성찬례에 모입니다. 하느님께서 펼치시는 구원의 역사에 귀 기울이며 우리 자신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려 합니다. 주님께서 선사하시는 치유와 구원의 은총에 기뻐하며 성찬기도의 “감사와 찬양”을 드립니다. 이 선택 안에서 우리는 세속의 가치와 종교의 판단에서도 벗어나 진실로 하느님을 만납니다. 하찮게 작은 밀떡과 포도주가 성체와 보혈로 변화하여 우리 몸을 만나고 우리 삶을 거룩하게 가꿉니다. 이것이 우리가 걷는 믿음과 생명의 길입니다.

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Sunday, September 25th, 2016

신앙의 인생역전 – 부자와 라자로 (루가 16:19~31)

돈을 둘러싸고 사회와 인생의 희비가 출렁거립니다. 돈과 권력이 많으면 출렁이는 파도가 더 높아서 인생도 위태롭기 일쑤입니다. 복 받아 성공했다는 삶이 한순간에 무너지고 생명까지 앗아가는 일이 잦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이 비극의 원인을 간명하게 말합니다. 모든 돈과 재산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은총입니다. 우리는 청지기로서 재산을 바르고 착하게 베풀며 살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이 소유관계가 어긋나면, 우리 인생도 어긋난 비극이 되고 맙니다. 신앙인은 이 비극의 연쇄 현상이 넘실대는 세태를 멈추고 바로잡으라는 소명을 받았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부자와 거지 라자로의 운명은 죽은 후에 완전히 뒤바뀝니다. 세심하고 흥미로운 대조가 눈에 띕니다. 유명했던 부자의 이름은 안 나오지만, 천한 거지에게는 ‘나자로’라는 이름을 남겨 후세가 기억하게 합니다. 부자는 죽어서 “땅에 묻힙니다.” 그러나 무덤덤하고 차가운 땅은 현세를 살면서 세상의 고통에 무관심하며 살던 인생의 결과입니다. 돈에 사로잡힌 인생은 땅에 묻혀 잊혀집니다. 반면, ‘라자로’는 새로운 신앙의 전통인 아브라함의 ‘품’에 안깁니다. 세상이 말하는 성공과 실패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용기 있게 떠났던 아브라함이었습니다. 외롭고 나그네 같은 생명을 보듬는 따스함과 위로가 신앙의 품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약속과 희망을 얻습니다. 세상의 질서에만 묶여서 살면 땅속으로 들어갑니다. 여기가 지옥입니다. 고통 안에서도 생명을 지키려 발걸음을 내딛을 때 우리는 하느님의 품에 듭니다. 그곳이 천국입니다.

재산과 권력에 관한 태도가 신앙과 인생의 건강을 결정합니다. 아모스 예언자는 가난한 사람을 등쳐서 얻은 재산으로 호의호식하는 이들을 호되게 비판합니다. 이들의 행태는 결국 하느님의 심판을 받을 테니 정신 차리라고 경고합니다. 바울로 사도는 안타깝게 호소합니다. “부자가 되려고 애쓰는 사람은 유혹에 빠지고 올가미에 걸리고 어리석고도 해로운 온갖 욕심에 사로잡혀서 파멸합니다. 돈을 사랑하는 것은 악의 뿌리입니다”(디모 6:9~10). 우리 사회 여기저기서 목격하는 현상입니다. 재산을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다 보면 악한 곳으로 미끄러지고 맙니다. 예언자의 경고와 사도의 가르침을 귀담아듣지 않는 사람이 부활을 믿을 리 없습니다. 이런 이들의 신앙은 허세입니다.

돈과 재산, 지위와 권력은 그 자체로 좋고 나쁨도, 옳고 그름도 없습니다. 하느님께 속한 것을 인간이 자기 것이라고 고집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 ‘세상 땅’에 붙잡힌 사람들이 만든 질서 안에서 남을 빼앗고 억누르는 수단이 될 때, 그것은 눈과 귀를 가려 악한 유혹과 파멸의 길로 변합니다. 그러나 ‘하늘에 깃든 생명의 품’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손길이 될 때, 그것은 함께 누리는 복락과 은총이 되어 더욱 풍성해집니다. 그곳에 선한 재산과 정의로운 권력이 섭니다.

신앙은 생명 없는 돈과 권력에 생명을 보살피는 힘을 주겠다는 다짐입니다. 하느님의 재산을 하느님의 생명들에게 되돌려 사용하는 일이 신앙인의 사명입니다. 이 사명을 실천하는 신앙인의 이름은 영원히 잊혀지지 않습니다. 신앙인은 이렇게 땅의 질서를 벗어나, 세상을 하느님의 품으로 만들어 나갑니다. 이것이 신앙의 인생역전입니다.

Rich-man_n_Lazarus.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