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 의미 – 이브 콩가르 O.P.
Monday, March 28th, 2011그리스도교에서 전통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종종 종교개혁이라는 사고 틀 안에서만 ‘전통’을 본다. 이때 전통은 16세기 당시 서방교회가 물려받은 중세의 관습과 동일시되기 일쑤다. 그로부터 5백 년이 흘렀지만 이런 틀거리는 한국 교회와 신학에서 사라질 줄 모른다. 아마도 스스로 종교개혁의 적자라고 생각했던 청교도의 열광이 미국을 거치며 더욱 배타적으로 강화되고 한국의 식민지적 선교 환경과 그 유산 안에서 더욱 말라비틀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안타까운 일은 보수파는 그렇다 치고라도 진보적이라 자처하는 이들도 이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5백 년 동안 서방교회의 유산 아래서 천주교와 성공회, 여러 개신교회는 아무 일도 안 하고 몇몇 종교개혁자들의 논리만 되뇌고 있었을까? 천만의 말씀이다.
20세기를 통과하면서 이른바 교회 일치 대화가 무르익으며 서방교회 내의 유산은 물론, 그동안 살피지도 않았던 동방교회의 여러 전통에서도 배우며 신학과 신앙에 대한 이해는 더욱 넓어지고 깊어졌다. 게다가 16세기 종교개혁의 혁명적 사건을 인정하더라도, 당연히 그 한계도 여러 면에서 드러났다. 어떤 이들은 정말로 종교개혁이 있었느냐고 묻는다. 20세기의 여러 신학적 반성과 운동은 ‘16세기 서구 맥락과 틀’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지적했다. 이 가운데 다시 떠오르는 주제는 ‘전통’에 대한 이해였다.
전통에 대한 이해는 역사와 삶의 연속성과 단절성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이해라고도 할 수 있다. 그것은 물론 신앙의 연속과 단절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 역동성이 상실되는 순간 전통과 전통주의가 나뉜다. 그래서 교회사학자 야로슬로프 펠리칸은 이렇게 말했다. “전통은 죽은 이들의 살아 있는 신앙이요, 전통주의는 살아 있는 이들의 죽은 신앙이다.”
예고 없던 트윗 대화 (@prayandwork & @viamedia) 끝에 이 전통에 대한 생각이 이어졌다. 폴 틸리히의 다음 구절을 인용하고 있었다.
가톨릭 교회(공교회)는 서기 300년경에 마련되었다. 이 때문에 우리는 프로테스탄티즘이 (교회의) 첫 몇 세기에 대한 재확인이라고 말할 수 없다. 가톨릭적(이중적 의미) 양상들은 아주 초기에 이미 강력했다. 이는 성공회의 ‘중도’(via media)라는 것도 교회들의 분열에는 이상적인 해결책일 수 있을는지 몰라도 작동하지는 않는 이유이다. 이른바 첫 5세기에 마련된 합의라는 것은 종교개혁의 원칙들과 합의와는 다르다… 첫 5세기에는 프로테스탄티즘이 받아들일 수 없는 많은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교회에 대한 교리, 권위의 체계, 성사에 대한 이론 등이다. (영역본에서 재번역. 괄호는 옮긴이)
이 부분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을 법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살아온 (가톨릭) 전통을 무시한 채로, (프로테스탄트) 원칙만으로 교회와 교회의 가르침이 설 수는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물론 그 반대도 말이 된다. 그 참에 20세기 천주교 내의 신학적 개혁, 특히 교회와 성사에 대한 이해의 큰 변화를 가져왔던 프랑스 신학자요 도미니칸 사제인 이브 콩가르(1904-1995)의 글을 되새긴다. 그에 대한 우리말 번역 작업은 인색하다.
그의 역작 [전통과 전통들]의 요약판이요 대중판으로 불리는 [전통의 의미](영역본)의 서문을 옮겨 놓는다.
이브 콩가르 O.P. [전통의 의미] 서문
성공회 친구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그는 1956년 성공회와 정교회의 신학 대화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대표로 모스크바에 방문했다. 전통과 전통이 성서와 맺는 관계에 관한 토론이 있었는데, 러시아어 통역자는 이 전통이라는 교회 전문 용어를 잘 알지 못했다. 그래서 전통을 그냥 “옛날 관습”이라고 번역하더라는 것이었다.
많은 사람, 아마도 이 짧은 책을 읽는 독자들도 이 러시아어 통역자와 비슷하게 전통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은 전통이 별 비판 없이 그저 오랜 시간 동안 존중받고 받아들여진 관습의 집합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늘 그대로인 것일 뿐만 아니라 “늘 그렇게 행해진 것”이라고 말이다. 변화를 시도할 때마다 전통의 이름으로 반대하는 소리가 높다. 사회에서 전통은 무엇보다도 보수적인 힘이라 생각한다. 위험해 보이는 새로운 시도를 막는 장치요,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라는 제안을 물리치는 방법으로도 쓰인다. 전통은 변화를 막기 위해 쓰이는 낱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