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Sunday, March 20th, 2016

Entry_Jerusalem_Spanish_mural.jpg

종려가지와 십자가 사이 – 인간의 배신과 희망 (루가 23:1~49)1

‘호산나, 찬미 받으소서’ 하며 외치던 환호와 ‘그 사람을 죽이시오’ 하는 성난 외침 사이에 도대체 무슨이 있었던 것일까요? 종려가지를 들고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축하하던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고함치는 데는 불과 며칠이 걸리지 않습니다. 성지를 축복하고 손에 받아든 채로 우리는 주님의 수난 복음을 듣습니다. 이 격렬한 변질과 모순의 순간을 성주간 전례 안에서 우리 자신과 사회를 돌아보며 뼈아프게 직시하라는 부탁입니다.

불의한 재판과 모진 고문, 고통스러운 십자가 처형이 이어집니다. 인간의 배신은 재빠르고, 희망의 신뢰는 희미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희망을 욕망으로 맞바꾸는 우리 자신의 연약함, 진실을 알고도 모략으로 덮어버리는 권력의 뻔뻔함을 목도합니다. 힘을 보여줄 때 가까이하던 이들이 슬금슬금 꽁무니를 빼고, 멀리 주변부에서 안타깝게 지켜보던 이들이 조심스럽게 십자가 고통의 목격자로 중심에 등장합니다. 인간 내면의 어둠과 사회 외면의 불의 속에 감춰진 것들을 드러내며, 인간의 기존 생각과 관계를 뒤집는 일이 주님의 십자가 수난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루가복음서는 예수님의 죽음이 정치적 사건이라고 분명하게 고발합니다. 종교 권력과 정치 권력이 야합하여 예수님을 죽음으로 내몹니다. 예수님의 무죄를 분명하게 알고 있는데도, 권력자들은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려는 정치적 술수로 진실과 정의를 묻어버립니다. 서로 경쟁하던 기득권자들은 정치적 인기주의에 몸을 던져, 무고한 사람을 희생하는 불의를 작당하면서 서로 ‘다정한 사이’가 됩니다. 무죄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몰고도 자신은 책임이 없다는 뻔뻔한 변명을 내놓습니다. 모든 형태의 기득권자와 권력자가 보이는 이런 행태를 신앙인은 식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어떤 항변도 없이 무기력하게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곁에 다가온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시골 무지렁이 키레네 시몬이 난데없이 등장하고, 제자들마저 도망친 십자가의 길을 눈물 흘리며 동행하는 여인들이 예수님의 위로를 얻습니다. 십자가 처형 틀 위에서 같은 죽음의 고통을 받던 죄수가 낙원의 약속을 받습니다. 이들은 신앙의 내력, 재력과 권력과는 상관없는 사람들입니다. 다만, 하릴없이 고통과 고난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이들과 함께 십자가 위에서 이름없이 고통받는 이들의 연대를 선언합니다. 고통의 연대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 안팎에 너절한 차별과 분열과 분리의 ‘휘장’을 찢어내는 일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명령입니다.

환호의 종려가지가 아니라, 고통의 십자나무 위에 우리의 희망과 세상의 구원이 달려있습니다. 높은 권력의 기득권을 ‘비워서’ ‘종의 신분’으로 내려앉아 세상 고통의 밑바닥과 손을 잡을 때, 우리는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신앙인은 이 모든 일의 증인입니다.

ecce_homo.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3월 20일 성지 및 주의 수난 주일 주보 []

빛을 비추라 – 봉헌하는 삶

Sunday, January 31st, 2016

Presentation_2016.png

빛을 비추라 – 봉헌하는 삶 (루가 2:22~40)1

요셉과 마리아는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 봉헌합니다. 당시 율법에 따라 첫아들을 하느님께 바치며 부모 대의 하느님 신앙을 이으려는 뜻입니다. 또한, 빈궁한 살림에 마련한 작은 제물도 바칩니다.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고, 오염된 자신을 깨끗게 해달라는 청원입니다.

하느님께 드려야 할 첫째가는 봉헌은 우리 삶 자체입니다. 그 삶을 바치기로 다짐했다는 뜻에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주신 은총의 일부를 재물이나 봉사로 주님께 돌려드립니다. 세상의 종교는 종종 본래 뜻을 잃고 봉헌을 형식적인 제사로 이해하곤 합니다. 아기 예수님의 성전 봉헌은 아기와 같은 새로운 세대와 그 생각, 미래를 향한 희망이 우리의 봉헌이어야 한다고 전합니다. 우리의 헌금과 봉사와 제물은 모두 이러한 생명과 희망에 바쳐져야 합니다.

봉헌의 현장인 성전은 새로운 만남의 공간입니다. 인생의 황혼이 되도록 세상의 구원을 신실하고 겸손하게 기다리던 ‘시므온’을 만납니다. 여성 예언자로 활동하다 홀로 궁핍해졌으나 깊은 신앙의 길을 걷던 ‘안나’를 만납니다. 나이 든 세대의 신앙이 새로운 세대의 신앙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잘 드러납니다. 인생의 어른은 겸손한 기도로 새로운 세대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분들입니다. 자기 시대에 갇히지 않고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신앙이 바로 황혼의 원숙한 신앙이라고 시므온과 안나는 몸소 증언합니다.

시므온의 찬가는 주님 봉헌 사건의 절정입니다. 젊고 새로운 이들을 환대하고 격려하고 신앙을 물려주는 일이 곧장 구원과 연결됩니다. 선택된 소수만을 위한 옛 종교가 아니라, 만민에게 베푸시는 구원의 신앙이 새롭게 펼쳐집니다. 이방인들과 낯선 사람들도 누리고 기뻐하는 구원이 열립니다. 이것이 신앙의 대를 잇는 방법이며 선교입니다. 이처럼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걷는 사람들과 갓 태어난 아기의 만남이 새로운 역사를 엽니다.

오늘 우리는 한 해 동안 성전의 제대와 가정의 기도상을 밝히는 양초를 봉헌하고 축복합니다. 아기 예수님이 세상의 빛이 되어 우리 성전과 제대를 밝히듯이, 축복된 양초로 우리 가정의 기도상을 밝히라는 당부입니다. 여기서 교회와 가정에서 밝힌 불빛이 사회와 세상의 어둠에 번져갑니다. 세상의 어두운 구석에 있는 이들에게 손을 펼치고 새로운 세대, 낯선 사람들과 손을 맞잡아 세상을 밝히는 봉헌이 신앙인의 도리입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기쁨입니다.

candlemas.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1월 31일 주의 봉헌 축일 주보 []

성 가족 – 아픔과 희망을 섞은 거룩한 잔

Saturday, December 26th, 2015

성 가족 – 아픔과 희망을 섞은 거룩한 잔 (루가 2:41~52)1

가족! 입에 올려 듣고 생각만 하여도 만감이 교차합니다. 온갖 애틋한 추억과 행복이 넘실대는가 하면, 한 꺼풀만 들춰도 아픈 기억과 슬픈 상처가 고스란합니다. 사랑의 온기가 포근하면서도, 차가운 긴장과 갈등이 서린 가정입니다. 교회는 성탄 첫 주일을 요셉과 마리아와 예수님이 이룬 ‘성 가정 축일’로 지키곤 합니다. 그 뜻은 무엇일까요? 예수님의 탄생을 충분히 기뻐할 겨를도 없이 우리는 최초의 순교자 성 스테파노 축일과 아무 죄 없이 살해된 어린이들을 기억하는 축일을 지킵니다. 도대체 이 얄궂은 교회력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우리는 유년기의 예수님과 부모님을 만납니다. 열두 살은 당시로는 사춘기를 넘어 성인이 되는 전환기입니다. 부모는 신앙의 전통을 자식 세대에게 애정으로 가르치고 물려주려 해마다 성전에 데려갑니다. 그런데 돌아오는 길에는 아들을 제대로 못 챙기고 하루가 지나서야 허둥대며 찾습니다. 겨우 찾은 어머니의 염려는 아들을 나무라고, 아들의 대답은 퉁명스럽기만 합니다. 이 장면은 어쩌면 가족이 꼭 거룩하여 온전하지만은 않고, 오히려 갈등하는 일이 다반사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성서는 ‘성 가족’조차도 미화하지 않고 그 내막을 그대로 들춰냅니다.

신앙과 인생을 가르치려는 어른의 노력은 종종 종교의 타성에 젖기도 합니다. 성전이 상징하는 종교와 신앙에 자기 식대로 왔다 갔다 할 뿐 심각하게 살려 하지는 않습니다. 정작 젊은이가 성전을 알게 되어 그 안에 머물며 신앙의 대화와 배움에 열심이면 당돌하고 무례하게 보기도 합니다. 예수님은 다릅니다. 어린 나이에도 성전에서 기도와 대화에 힘을 쏟습니다. 종교와 신앙이 삶에 자명한 대답을 준다면 대화나 논쟁은 필요 없겠지요. 그러나 예배에 참석하고 어떤 교리를 잘 안다고 인생의 답이 분명해지지는 않습니다. 성서의 말씀과 해석, 성찬례의 신비를 경험하는 감각 속에서 새롭게 도전받고 풀리지 않은 의문을 붙잡고 대화할 때, 신앙이 발돋움합니다. 신앙의 의문과 대화가 계속되지 않으면 신앙은 멈추고 맙니다. 그렇다고 신앙은 늘 앞으로 치고 나가는 일만도 아닙니다. 어린 예수님은 다시 어른의 지혜와 경험 앞에 순종합니다. 불완전한 가족과 함께 더 배우고 나누고 아파하기 위해서 그 안으로 들어갑니다. 남녀노소 모두 아픔의 현실에 눈감지 않고 더 껴안을 때, 우리의 지식과 마음이 자랍니다. 모든 세대가 갈등을 무릅쓰고 서로 겸손하게 배울 때, 가족이든 사회든 새로운 화해의 길이 열립니다.

이 새로운 가족의 길은 함께 걷는 십자가의 길입니다. 머지않아 마리아는 아들 예수님을 떠나보내야 합니다. 마음이 놓이지 않아 늘 따라다녀 지켜보는 마음에 애가 타지만, 그 길을 억지로 바꿀 수도 없습니다. 늙은 마리아는 말할 수 없는 고통과 아픔으로 젊은 아들이 십자가에서 이루신 일을 지켜볼 것입니다.

자식을 먼저 보내고 찢어진 가슴의 아픔이 우리 가족과 교회, 사회 곳곳에 서려 있습니다. 갈등하고 상처 입은 가족은 남의 일이 아닙니다. 탄생의 기쁨과 더불어 상실과 실패, 절망의 상처가 우리 사회 깊은 곳에서 숨죽여 울고 있습니다. 신앙인은 이 울음 속에서 세상의 여러 슬픔을 만납니다. 그리스도인은 하느님께서 아기 예수님 안에 품으신 꿈과 아픔의 눈물을 섞어 함께 잔을 나누는 사람입니다. 바로 여기서 하느님의 새롭고 거룩한 가족이 태어납니다.

Holy_Family.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2월 27일 성탄 1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