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의 삶 – 생명을 위한 연대와 일치

Sunday, June 7th, 2015

성령의 삶 – 생명을 위한 연대와 일치 (마르 3:20~25)1

종교는 신비로운 ‘영적인 세계’에 관한 가르침과 깨달음을 다룬다는 오해가 널리 퍼져있습니다. 적어도 그리스도교 신앙은 이러한 통념과 거리가 멉니다.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창조 세계의 관계가 우리 신앙의 핵심 주제이자 내용입니다. 이 관계가 부서진 상태를 ‘죄’이자 ‘타락’이라고 그리스도인은 고백합니다. 그러므로 구원은 우리 삶 속에서 깨지고 뒤틀린 온갖 관계를 원래대로 회복하는 일입니다. 이런 관점에서라야 ‘악령’과 ‘성령’을 식별하는 잣대가 서고, ’성령’을 따르는 삶이 무엇인지 명백해집니다.

인간의 죄는 하느님께서 금하신 열매를 따 먹어서 생긴 일 자체로 보기 어렵습니다. 하느님은 여전히 ‘선들바람’ 부는 동산에서 인간과 함께 거닐고 싶으셨습니다(창세 3:8~15). ‘너 어디 있느냐?’ 며 아담을 찾으시는 하느님의 바람은 인간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며 산책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이 초대를 거절합니다. 하느님의 추궁에 아담은 여태껏 사랑한 ‘여자’에게 잘못을 덮어씌웁니다. 함께 가까이 사귀어야 할 하느님을 두려워하고, ‘내 뼈에서 나온 뼈’라고 기뻐하던 사람을 비난하고, 잘 보살피라고 맡겨놓은 피조물을 저주하는 일이 바로 ‘죄’이고 ‘타락’입니다.

동료 인간을 향한 험담과 창조세계를 부수는 행동은 악령인 ‘사탄’의 짓입니다. 예수님께서 아픈 사람들을 고치시고 차별받던 사람을 초대하여 사귀는 일을 펼치시자, 사람들은 오히려 그분을 ‘미친 사람’으로 취급했습니다. 예수님은 단호합니다. 하느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벌이는 이간질은 악령의 졸개나 하는 행동이니, 이를 제대로 묶어서 제압해야 합니다. 우리 마음에서든 교회에서든 사회에서든 이 분열의 영을 몰아내야 합니다.

성령은 ‘생명을 살리는 영’입니다. 시기와 질투로 분열된 마음, 자신의 신앙체험과 교리만이 옳다고 우기며 분열하는 교회, 세상의 생명을 보살피는 책임을 다하지 않는 사회는 ‘성령을 모독하며 큰 죄’를 짓습니다. 신앙인과 교회는 생명을 살리는 성령을 모시고 이 죄에 단호하게 맞서야 합니다. 우리는 낡은 것을 새롭게 변화하는 힘, 시들어가는 생명에 주시는 새 기운, 흩어진 것을 모아 하나로 세우시는 성령을 모신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분열의 악령이 아닌, 생명의 성령에 사로잡힌 우리는 생명을 위한 연대와 일치의 삶을 삽니다. 하느님의 창조세계에서 서로 초대하여 함께 거니는 관계를 회복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서로 대화하고 협력하며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고 사회의 아픔과 분열을 치유하는 일에서 연대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너 어디 있느냐?’ 며 초대하시는 이 사귐과 협력의 관계 공동체가 바로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그리스도의 형제자매요, 어머니’가 이루는 성령의 삶, 성령의 교회입니다.

Kollwitz_Mothers.jpg

  1.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6월 7일 연중10주일 주보 []

성령 –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되어

Sunday, May 24th, 2015

성령 –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되어 (요한 15:26~27, 16:4~15)1

부활 50일의 대단원은 성령강림 사건입니다. 성령강림절, 혹은 오순절의 본래 이름은 “부활의 오순절”이라 해야 옳습니다. 성주간과 부활 성삼일이 구원의 역사가 새롭게 열리는 진통의 시간이라면, 부활주일 이후 펼쳐지는 50일의 시간은 부활의 새 생명이 탄생하는 시간입니다. 부활한 예수의 생명이 사람들 안에서 퍼지고 스며들어, 저마다 외톨이였던 이들이 모여서 하나인 그리스도의 몸이 됩니다. 따로 떨어진 개인을 모아 서로 이어주고, 그 안에 새로운 핏줄과 숨결을 넣어주는 분이 바로 성령입니다. 이렇게 탄생한 새로운 그리스도의 몸이 바로 교회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성령은 생명과 삶의 기운입니다. 성령은 창조 때에 하느님께서 불어넣으신 숨결이며, 희망 없는 사막의 마른 뼈들이 일어설 때 불어온 바람입니다. 마리아의 태중에 맺힌 생명은 성령의 힘으로 일어났으며, 예수님의 세례 때에 내린 성령께서 자유와 해방의 복음을 전하게 하시며, 십자가의 죽음을 이기는 힘이 되었습니다. 부활의 생명으로 우뚝 서신 예수님께서는 창조에서 부활에 이르는 성령의 힘을 이제 예수님을 따르는 모든 사람에게 내리리라 약속하시며 성령의 내림을 청원하셨습니다.

성령의 내림은 늘 변화를 가져옵니다. 오늘 사도행전이 전하는 성령 강림 사건의 무대는 번화한 국제도시 ‘예루살렘’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온 실력자들과 권력자들의 무대입니다. 그런데 성령은 천하고 차별받던 ‘갈릴래아’ 사람들에게 내립니다. 이들의 입으로 복음과 부활은 세계로 펼쳐집니다. 교육받지 못한 ‘갈릴래아 사람들’로만 이 놀라운 외국어 현상이 일어났을 법하지는 않습니다. 모든 힘과 특권을 내려놓고 함께 모인 공동체에 내린 성령은 저마다 지닌 은사를 이용하여 서로 도우며 복음을 전하도록 모든 사람을 변화시켰습니다. 성령으로 하나 된 공동체가 되었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교회입니다.

교회는 매 주일 생명과 변화의 성령을 청원하며 예배를 드립니다. 성찬례 안에서 성령은 예수님을 기억하고 그분의 진리를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성찬례 안에서 성령은 하찮은 밀떡과 포도주를 고귀한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시킵니다. 예수님을 기억하고 그분의 진리를 되새기며 그리스도의 성체와 보혈을 먹고 마시는 우리에게 성령이 내리시어 우리를 작은 그리스도(기름부음 받은 사람)로 세우십니다. 작은 그리스도가 된 우리는 성령의 능력으로 이제 하나인 그리스도의 몸이 됩니다. 이것이 교회입니다.

예수님께서 성령을 받아 세상에 나가 자유와 해방의 복음을 선포하셨듯이, 교회 공동체로 하나인 그리스도의 몸이 된 우리도 성령을 받아 세상에 나가 정의와 평화의 복음을 선포하며 사랑의 삶을 실천합니다. 이것이 성령을 받은 그리스도인의 삶입니다. 이것이 성령으로 충만한 교회의 선교입니다.

pentecost_2015.jpg

  1.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5월 24일 성령강림대축일 주보 []

대성당 – 치유와 환대의 성소

Sunday, May 3rd, 2015

대성당 – 치유와 환대의 성소(聖所) (마태 21:12~16)1

교회는 하느님께서 펼치신 구원에 감사하고 찬양하러 ‘모이는’ 공동체입니다. 교회는 하느님의 구원을 세상에 선포하고 실천하려고 ‘흩어지는’ 공동체입니다. 모여서 감사하는 공동체가 정처 없이 서성이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함께 사귀고 변화와 기쁨을 누리는 곳이 성당입니다. 흩어져서 선교하는 공동체가 되도록 말씀이신 하느님인 예수 그리스도를 먹고 마셔서 힘을 얻고 주는 장소가 성당입니다. 이렇게 교회와 성당은 전례의 공동체이며 선교의 공동체로 하나가 됩니다.

오늘 읽는 성서는 놀라운 소식을 전합니다. 솔로몬은 아름다운 성전을 지어 바치며 겸손히 기도했습니다. ‘저 하늘도 주님을 모시지 못할 터인데 소인이 지은 이 전이야말로 말해 무엇하겠습니까?’(열왕상 8:27). 그런데 사도 바울로 성인은 하늘도 아닌 우리 그리스도인이 ‘살아계신 하느님의 성전’이며, 하느님께서 우리 가운데서 살며 우리와 함께 거닌다고 선언합니다(2고린 6:16). 베드로서는 신앙인이 ‘살아 있는 돌’이 되어 ‘신령한 집’을 건축하고, 그 안에서 아예 ‘거룩한 사제’로 예배를 드리라고 우리를 초대합니다(1베드 2:5).

하느님께서는 보잘것없는 우리를 ‘선택하시어 왕의 사제들, 거룩한 겨레, 하느님의 백성’인 교회로 부르십니다. 세례받은 모든 신자를 ‘거룩한 사제’라 부르신 뜻이 명백합니다. 어둠 아래서 고통받은 이들을 구하시는 하느님의 구원 역사에 참여하라는 사명 때문입니다. 사랑과 자비가 없던 세상에 사랑과 자비를 넘치도록 베푸는 성소(聖所)가 되라는 초대요, 명령입니다.

예수님께서 성전을 개혁하신 이야기에 우리 교회의 미래와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성전에서 장사하는 사람을 쫓아내셨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이익과 명예를 위해서 ‘악의와 기만과 위선과 시기와 비방’을 일삼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성전을 ‘죽이는 돌’입니다. 예수님께는 하느님의 구원이 펼쳐지는 예배와 기도를 드리는 집이 필요했습니다. 군데군데 무너지는 곳을 지탱할 ‘산 돌’로 지은 ‘기도하는 집’이 필요합니다.

‘기도하는 집’에서 일어난 일은 ‘소경들과 절름발이들’의 치유와 회복이었습니다. 기도는 정신과 마음 내면의 일에 머물지 않고 몸과 행동으로 펼쳐지는 사랑 자체입니다. 낯선 사람과 고통받는 사람을 환대하고 치유하는 행동이 기도입니다. 이 활동을 보고 사람들이 외치는 ‘호산나’ 함성에 우리 교회의 성장과 희망이 있습니다.

축성 89주년을 맞은 서울 주교좌 성당은 콘크리트 도심에서 꽃과 나무의 생명을 보존하며 겸손하고 너른 품으로 지친 사람을 초대하는 쉼터입니다. 하느님의 꿈이 그리운 사람들이 모여 찬미하며 더 많은 생명이 깃들도록 품는 보금자리, 주님의 몸과 피로 힘을 얻어 세상을 향해 사랑과 치유의 손길을 펼치는 순례를 시작하는 성소(聖所)입니다.

FullSizeRender (26).jpg

  1.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5월 3일치 주보 []